View : 6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숙심-
dc.creator정숙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6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1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8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15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and compare the understanding and attitude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Cheju-do. For inquiry,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114 kindergarten teachers and 582 parents whose children go to kindergarten in four administrative districts of Cheju-do namely, Cheju City, Sogwipo City, North Cheju county, and South Cheju County. Each ques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frequency by percentage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Par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ge. Analyz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ost of teachers and parents think tha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very necessary. And they think it is good to start at the age of 5. As for the number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chools, teahcers think there are enough schools in Cheju-do, but parents do not think s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regarded as helpful in developing children's potential ability. But some consider it helpless because it might cause to decrease the children's interest in study of elementary school. 2. View of the childhood education As for the children's ideal character, teachers hope children to have harmonious personal relationship, and parents make much of their honesty. About the children's activity after school, teachers answered they would go to private institutes but parents said they would play freely. In fact, teachers' thought turned out to be similar to real situation. About their children's misbehavior, some parents admonish them not to do such a ting, and many of them try to answer their children's questions kindly. Such responses show the positive attitdude. 3. Cont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Both the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whole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y think teaching of written language must be done according to the levell of children's demand and development. 4. Parents education Most of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 that they themselves should be in charge of the children. As for the necessity of parents education, a lot of teachers think it necessary because it is very helpful for good education of children. But others think that parents education is waste of time. In fact, teachers educate parents through kindergarten parents association or home information. Teachers say that it is desirable for parents to read their children fairy tales at home. Parents say they sometimes teach their children letters. About the relation between home and kindergarten, some teachers say home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kindergarten education. Parents say they are equal. Some parents consult other parents about their children education or they leave it as it is. 5. Education environment As for types of education, most teachers take both large group activity and small group activity. And they select various kinds of interesting activities. But rearing animals and growing plants turned out not to be chosen frequently in the kindergarten.;본 연구는 제주도내에 있는 유치원 교사들과 부모들의 유아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및 태도를 분석하고, 비교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제주도 행정구역 4개시, 군<제주시, 서귀포시, 북제주군, 남제주군> 총 121개 유치원 중에서 공·사립 교사 114명과 현재 유치원에 다니는 자녀가 있는 학부모 58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처리는 문항별로 백분율에 의한 빈도처리와 X^(2)검증을 하였으며, 교사 변인으로는 공·사립으로, 부모는 연령별로 분류하였다. 변인간에는 X^(2)검증을 하였다.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의 필요성 인식에서 교사와 부모는 똑같이 2년이 적당하다고 하였고, 유아교육 시작연령도 5세부터가 적절하다고 하였다. 또한 제주도 내 유아교육 기관수에 대해서도 교사는 적당하다고 생각하는데 반해 부모는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유아교육 비용은 비싼편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유아교육의 필요성에서 부모들은 잠재능력 계발을 위하여 꼭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필요치 않은 이유는 「국민학교에 가서 흥미를 잃을까봐」로 인식하고 있었다. 2. 유아 교육관 인식에서 교사와 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이상적인 어린이 성격은 교사는 대인관계가 원만한 성격이라고 인식하는 반면 부모는 정직한 성격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방과후 유아들 활동에 대해서 교사는 학원에 갈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부모는 자유롭게 놀이 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유아의 문제 행동에 대한 부모의 태도는 훈계로서 타이르며, 자녀가 묻는 질문은 가능한 한 대답하려 한다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3. 유아교육 내용 인식에서 교사와 부모 모두가 유아교육에서 중요한 것을 전인교육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문자지도는 교사와 부모 모두가 아동의 요구 및 발달 수준을 고려해서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4.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와 부모 모두가 유아기 교육 담당을 교사와 부모가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부모교육의 필요성에서 교사는 「꼭 필요하다」고 이해하고 있으나, 부모는 「보통이다」로 이해하고 있으며, 필요한 이유는 교사와 부모 모두가 「올바른 자녀교육을 위해서」라고 응답하였으며 부모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에서 부모들은 「시간 낭비」라고 인식하고 있었는데, 실제 부모교육 실시방법으로 교사는 유치원 부모회나 가정통신문을 이용하고 있었다. 또한 가정에서 부모-자녀 활동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는 「동화책을 읽어준다」라고 인식하고 있는데 반해 부모는 「틈틈히 문자지도를 해준다」로 응답하므로 부모들이 조기교육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가정(부모)과 유치원(교사)과의 관계에 대해서 교사는 가정교육이 우선이고, 유치원 교육은 보조적 역할이라는 견해를 갖고 있는데 반해 부모는 가정과 유치원 교육은 대등하다고 응답하면서도 실제 부모들은 유아교육 상담을 다른 부모와 하거나 하지 않는다는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었다. 5 .유아를 위한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들은 교육활동유형을 대·소집단으로 나누어 병행하고, 흥미영역별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데 많은 유치원에서 실시되고 있지 않은 활동으로는 동물·식물기르기 활동 등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 1 B. 연구 목적 및 문제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유아기의 개념 및 유아교육의 중요성 = 4 B. 유아교육 교수방법과 교육환경 = 9 C. 유아교육과 가정교육 = 15 Ⅲ. 연구 방법 = 21 A. 연구 대상 = 21 B. 연구 도구 = 21 C. 자료 처리 = 24 Ⅳ. 결과 및 해석 = 25 Ⅴ. 요약 및 결론 = 59 참고문헌 = 64 부록 = 68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4153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유아교육-
dc.subject교사-
dc.subject부모-
dc.subject인식-
dc.title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제주도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dc.format.pageviii,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9.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