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윤주-
dc.creator신윤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6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4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8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47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문장부사(sentence adverbs)의 특성을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측면들에서 고찰하며 이를 기준으로 선행연구의 문장부사 유형과 범위를 재고하는 것과, 문장부사의 부연어(disjunct adverbials)로서의 특징에 대한 기존 분석들을 살펴보고 그 중에서 가장 타당한 통사적 분석을 결정한 후 문장부사의 발화해석과정을 알아 보는 데 있다. 문장의 일부를 수식하는 술부부사(predicate adverbs)와는 달리 문장부사는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부사로서 절 대신 쓰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문장부사는 음성 언어에서보다 간결하고 응집성 있는 표현이 선호되는 문자언어에서 더 많이 쓰여진다. 또한 문장부사를 사용함으로써 화자는 문장부사를 제외한 명제내용에 대하여 사실여부, 확실성의 정도와 가치판단 등의 주관적 판단을 부연적으로 설명하게 된다. 이처럼 화자가 문장내용에 대해 논평을 전달하는 문장부사의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특성에 대한 정화하고 올바른 이해는 영어교육현장에서 중요하다. 위에서 언급한 이 연구의 목적과 필요를 위해서, 본 연구는 문장부사를 문헌을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 분석하고, 시사지를 중심으로 한 실제 영문자료를 통하여 선행이론들을 검증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사의 기능상 분류에 따르면 문장부사는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것으로 문장의 일부를 수식하는 술부부사와는 구분된다. 둘째, 문장부사의 선행연구들로는 대상지향의 관점에서 보는 의미해석론적 분석, 사실성과 양상의 관점에서 보는 의미론적 분석, 기술적 분석, 그리고 화용론적 분석이 있다. 한편, 이 연구들을 살펴보면 문장부사라고 간주하는 부사와 유형과 범위에 있어서 학자들간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가장 논란이 되는 문장부사의 유형은 주어지향적 부사와 영역부사, 그리고 접속부사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문장부사의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측면을 문장력사의 범위설정 기준으로 고려해 보았을 때, 영역부사, 접속부사, 그리고 시간·장소부사들은 문장부사의 범위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즉, 문장부사의 범주 속에는 문체부연어와, 양상부사와 평가부사로 나누어지는 내용부연어를 포함시키는 기술적 분석이 타당하다고 하겠다. 넷째, 통사적으로 완전히 유리되어 있는 문장부사의 특성은 Espinal(1991)이 제시한 3차원적인 분석을 통해서 가장 잘 설명되고, 문장부사의 해석이 화용적 단계에서 핵심문장에 대한 논평의 관계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맥락에 따라서 화자나 청자를 지칭하는 INDIVIDUAL이 결정된다고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sentence adverbs from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points of view and to reconsider the type and scope of sentence adverbs suggested in the existing studies from the standard composed of these properties. The second purpose is to select the most proper analysis of the syntactic structure of sentence adverbs among the existing ones and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utterance interpretation of sentence adverbs. Unlike predicate adverbs, which modify a part of the sentence, sentence adverbs are a sentence-modifying adverb and can be used instead of clauses. The is why sentence adverbs can seen in a written language rather than a spoken language. In a language short, compact expressions are preferable to long, complex ones. Furthermore, sentence adverbs convey the speaker's comment on the style, form, and content of what he is saying. Therefore,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precisely understand sentence adverbs in English education. For the purposes and needs of this study, sentence adverbs from the various theoretical viewpoints were considered and analyzed by means of the validity of existing studies through authentic English materials mainly such as current English newspapers and magazine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ntence adverbs are defined with respect to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adverbs, distinct from predicate adverb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know the difference of modification and meaning between them. Second, existing studies have a different view of the type and scope of sentence adverbs. Particularly discussed is whether subject-oriented. domain, and conjunctive adverbs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sentence adverbs or not. Third, sentence adverbs have disjunctive properties from the main sentences from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points of view. Syntactically, they can appear in almost all the positions in a sentence freely and be gradible. Semantically, they are the predication of the main sentences. Pragmatically, they convey the commentary messages on the main sentences. The standards made up of these propertie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proper to include subject-oriented adverbs in the scope of sentence adverbs and exclude conjunctive, domain, time, and place adverbs from it. Moreover, the approach to include style disjuncts and content disjuncts (which are divided into modal and evaluative adverbs) in the scope of sentence adverbs is proper. Fourth, the discontinuity of sentence adverbs is evidence that they are disjunct adverbials and separated from the main sentences syntactically. Three-dimensional analysis suggested by T. Espinal is necessary to explain this property. In addition, sentence adverbs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main sentences on the syntactic and semantic level have come to be related and interpreted on the pragmatic level according to Espina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부사의 유형 = 3 A. 형태·의미상 분류 = 3 B. 기능상 분류 = 4 Ⅲ. 문장부사에 대한 선행연구 = 14 A. 의미해석론적 분석 : 대상지향의 관점에서 = 14 B. 의미론적 분석 : '사실성'과 '양상'의 관점에서 = 17 C. 기술적 분석 = 19 D. 화용론적 분석 = 21 Ⅳ. 문장부사의 특성 : 선행연구에 대한 재고 = 34 A. 언어 연구의 영역별 측면 = 34 B. 문장부사의 범위 해석의 측면 = 47 Ⅴ. 문장부사의 통사구조와 해석 = 52 A. 통사 구조 = 52 B. 발화 해석 = 61 Ⅵ. 결론 = 68 참고문헌 = 70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1154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영어-
dc.subject문장부사-
dc.subjectSENTENCE ADVERBS-
dc.subject영어교육-
dc.title영어 문장부사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NGLISH SENTENCE ADVERBS-
dc.format.pagevi, 7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