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6 Download: 0

兒童의 空間認知 能力에 關한 硏究

Title
兒童의 空間認知 能力에 關한 硏究
Other Titles
(The) Study of Spatial Cognitive Ability in the Primary School : In Analysis of Mental Mapping
Authors
이윤호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Keywords
아동공간인지능력인지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children's spatial cognitive ability are influenced by their family circumstances and trip frequency through mental mapping. A survey was conducted at three primary school in Seoul-Kujong primary school in Kang Nam Gu, Hwagye primary school in Dobong-Gu and Guam primary school in Kwanak-Gu. On hundred children were randomly selected from 4th to 6th grade of each school respectively. Three categories of puestions contained in survey were as follow : - Parent's job and education to know their family circumstances, and children's trip frequency. - Mental mapping on the way to school. - Mental mapping the recognition around school.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ren's spatial cognitive ability, the average of four spatial elements-landmark, node, path, and district were added from the first mental napping and measured the maximum cognitive length from the second mental mapping. The result is that the cognition of spatial element has no relation with family circumstances and trip frepuency but with residence environment, rode shape, and parent's careness. Especially, the maximum cognitive length is investigated to be strongly influenced by these factors. Also, this study finds that the fraction of the functional element among composition elements is the highest one and that high cognitive objects explain the landscape well in functional element in each region.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gets to the conclusion that the spatial cognitive ability of children develops as they mature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 In hope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p geographical education.;地理學은 본질적인 槪念인 空間關係와 空間的 相互作用에 깊은 關心을 갖고 있으며 地理學習이 어느 정도는 兒童이 살고 있는 環境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에 기초를 두고 있다고 볼 때 兒童이 環境을 어떻게 知覺하느냐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地理學의 知覺 대상으로서의 空間槪念을 地理敎育에 도입해야 하고 兒童의 空間理解에 대한 적절한 硏究는 地理敎育의 주요 연구 과제라고 하겠다. 本 硏究는 認知圖를 이용하여 대상 地域의 가정환경, 여행정도가 兒童들의 空間 認知 能力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目的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市內 3個 대상지역-강남구 압구정동, 도봉구 미아동, 관악구 봉천동-에서 각각 국민학교 1個校를 선택, 4, 5, 6학년 100명씩을 무작위 표집하여 登校길 認知圖와 生活地域 認知圖를 그리게 하였다. 또한 兒童의 여행정도와 가정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부모의 교육수준과 직업을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空間 認知 能力의 측정은 登校길 認知圖에서 空間要素-지표물 · 결절점, 통로, 지구-의 평균을 합하여 사용하였고 生活地域의 認知圖에서 最大 認知 距離를 측정하여 分析하였다. 그 결과 空間要素의 認知는 가정환경의 수준과 여행정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다른 양상을 띄고 있다. 즉 住居地域의 환경 및 도로망의 형태, 부모의 관심도가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最大 認知 距離는 가정환경의 수준 및 여행정도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地域의 認知圖의 構成要素를 分類해본 결과 세 地域 모두 기능적 요소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능적 요소를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높은 認知 대상이 되는 요소는 각 地域의 景觀을 잘 반영해 준다고 하겠다. 한편 학년별 認知圖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空間 認知 能力은 고학년으로 갈수록 점차 발달하고 있으며 각 地域의 景觀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性別 空間 認知 能力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