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보영-
dc.creator이보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4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8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415-
dc.description.abstractPeople are indifferent to the value and importance of color though they live in plenty of color information. The color and color information of a city which is used unsuitable and disorder cause negative stimuli to people such as emotional instability and disgust, as a directly connected matter of health and safty of people. Therefore, the color which IS used improperly should be understood as a environmental matter on the basis of the relation between man and environment, and its importance has been more empasized because it influences the physiology, psychology, and thought of people For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human life and the recovery of urban's identity, some efforts are needed to harmonize color with the whole organically in the intergrated environment. The environmental color has been neglected indifferently in the social context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nd this funcions as an interfering factor with the creative and purposive human activity, as a result of mechanization from the rapid industrialization, in other words, the human isol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color from street environment, plans the Environmental Color Plan, which is systematic and purposive, for the solution, and considers a plan for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view. Also, as the impotance of naturalism and environmentalism has been gradually expand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paradigm, the change from the Munsell System which IS mechanistic and quantitative, used in the past, to the Natural Color System which is relative and organic is brought to color. The Natural Color System observes color phenomenally and lays stress on the relative mutual relation. In this system, man, as the main body, controls the environmental color and this is a systematic and purposive method for the recovery of nature from the artificial environment and for the realization of humanity. Therefore, the Environmental Color System according to the Natural Color System in street environment aims at encouraging the cultural self-esteem and pride of people through the recovery of urban's identity, and this study progresses as follows : First, the relation between man and environment, city and street environment, and street environment and color are put in order through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street environment as an information system. Second, the meaning of the study on environmental color is arranged through the problems of the street environment in Seoul Third, the proper system of the environmental color system IS considered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system of color. Fourth, the desirable color harmony in street environment is considered through the theoretical arrangement of color harmony Fifth, the rebuilding district around Sejong-ro is selected as a subject of the environmental color system, the Color Palette is suggest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Natural Color System by means of Natural Color Specimen; an alternative plan for the Environmental Color System is suggested Sixth, through the linguistic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Color Plan, the propriety of the study is demonstrated. These processes of the study regard the Natural Color System as a standard of the plans for the improvement iii quality of view. Judging from this, the Environmental Color Plan leads the recovery of urban's identity and pleasant, systematic environment, and, therefore, contributes to the health and happiness of people. Also, the study on the Environmental Color Plan which is purposive and scientific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environment has its meaning as an alternative plan to present a direction of the Environmental Color Plan in Street environment in the future.;인간은 수많은 색채정보속에서 생활하고 있으면서도 그 가치와 중요성에 무관심하다. 무질서로 가득 채워진 도시의 색채, 색채정보는 인간의 건강과 안전에 직결 된 문제로서 시민에게 정서불안, 혐오감 등의 부정적 자극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부적합한 색채의 사용은 환경문제로서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바탕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인간의 생리, 심리,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인간 삶의 질적 향상과 도시의 정체성 회복을 위해 색채를 통합된 환경속에서 전체를 유기적으로 조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오늘날 우리 도시의 환경색채는 도시화, 산업화의 성장만을 추구해온 사회적 맥락 속에서 무관심하게 방치되어 있는데 이것은 급속한 산업화에 따른 기계화, 즉 인간의 소외에 따른 결과로서 창의적이고 목적적인 인간행위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로환경에서 환경색채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을 위한 체계적이고 합목적적인 환경색채를 계획함으로써 경관이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또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자연주의, 환경시대에는 색채에 있어서도 과거의 계량적이고 기계론적이며 정량적인 먼셀시스템 Munsell System에서 상대론적이고 유기적인 자연색체계 Natural Color System로의 변화를 가져오게 하였다. 자연색체계는 색채를 현상적으로 관찰하여 상대적인 상호관계성을 중시하는 색체계로 인간이 주체가 되어 환경색채를 조절하려 인공환경의 자연성 회복과 인간화 실현을 위한 체계적이고 합목적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도시 가로환경에서 자연색체계에 의한 환경색채계획은 도시의 정체성 회복을 통해 시민의 문화적 자부심과 긍지를 고양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첫째, 정보체계로서 도시 및 가로환경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고찰해 봄으로써 인간과 환경, 도시와 가로환경, 가로환경과 색채의 관계를 정리해 보았다. 둘째, 가로환경에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환경색채 연구의 의의를 정리해 보았다. 셋째, 색채의 일반적 체계들을 정리하고 비교하여 환경색채계획에 적합한 체계를 살펴보았다. 넷째, 색채조화의 이론적 정리를 통해 가로환경에서 바람직한 색채조화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다섯째, 환경색채계획의 대상지로 세종로변의 재개발 지역을 선정하여 계획함으로써 경관의 질적 수준재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자연색체계 NCS의 방법에 의해 자연색표본 Natural Color Specimen 조사를 통하여 칼라 팔레트 Color Palette를 제시하였다. -환경색채 계획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환경색채계획에 대한 언어적 평가를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은 경관의 질적 수준제고 방안으로 자연색체계를 준거의 기준으로 하였으며, 환경색채계획을 하는 것은 도시의 정체성 회복과 쾌적한 환경, 질서 있는 환경을 유도하여 인간의 건강과 행복에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합목적적이고 과학적인 환경색채계획에 대한 연구는 미래 가로환경에서 환경색채계획의 질적 수준제고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목차 1. 서론 = 1 1.1 문제제기와 연구의 필요 = 1 1.2 연구의 목적 = 3 1.3 연구의 범위와 방법 = 4 2. 정보체계로서 가로환경과 환경색채에 나타나는 현황 및 문제점 = 6 2.1 환경의 지각 = 6 2.1.1 인간과 환경 = 6 2 1.2 도시환경의 특성 = 8 2.2 가로환경의 이해 = 13 2.2.1 가로환경의 개념 = 13 2.2.2 가로환경의 구성요소 = 15 2.2.3 정보체계로서 가로환경과 환경색채 = 17 3. 색의 체계화 = 31 3.1 색의 체계 = 31 3.1.1 먼셀 시스템 Munsell System = 32 3.1.2 플래너테리 시스템 Planetary System = 36 3.1.3 자연색체계 (NCS : Natual Color System) = 39 3.1.4 색체계의 비교 = 45 3.2 환경색채의 이해 = 48 3.2.1 환경색채의 개념 = 48 3.2.3 환경색채의 영향 = 49 3.3 색채의 지리학 = 53 3.3.1 건축과 색채 = 53 3.3.2 색채 지리학 The Geograpy of Color = 56 4. 색의 조화론 = 59 4.1 배색과 조화 = 59 4.1.1 배색의 이해 = 62 4.1.2 조화와 부조화 = 66 4.2 조화론의 전개 = 68 4.2.1 정성적(定性的)방법에 의한 조화론 = 69 4.2.2 정량적 방법에 의한 조화론 = 73 4.2.3 자연색체계에서의 조화이론 = 76 5. 자연색체계(NCS)에 의한 환경색채계획 = 80 5.1 환경색채계획 = 80 5.1.1 대상지 현황분석 = 81 5.1.2 계획목표 = 83 5.2 칼라 팔레트 Color Palette 작성 = 86 5.2.1 자연색채표본(Natural Color Specimen)조사 = 88 5.2.2 칼라 팔레트 (Color Palette) = 107 5.2.3 배색유형제시 = 117 5.2.4 언어적 평가단계 = 121 5.3 종합 및 검토 = 126 6. 결론 = 128 참고문헌 = 130 ABSTRACT = 1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435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시각정보체계-
dc.subject도시환경색채-
dc.subjectNCS-
dc.subject자연색체계-
dc.subject경관-
dc.title시각정보체계로서의 도시환경색채 기능과 자연색체계(NCS)적 접근방법에 의한 경관의 질적 수준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unction of urban environmental color as visu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method for quality leveling of landscape by the natural color system-
dc.format.page13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