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5 Download: 0

일본 기모노 직물문양을 이미지화한 패턴 연구

Title
일본 기모노 직물문양을 이미지화한 패턴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Japanese Fabric Pattern
Authors
유정자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직물디자인전공
Keywords
일본기모노직물문양이미지화패턴샘플제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일본은 지리적으로 태평양권 동남아시아의 문화를 중국, 한국을 통하여 영향을 받으면서 흡수, 전개되어 왔다. 일본의 불교 미술이 시작된 7, 8세기(야요이, 아스카시대)의 건축, 회화, 조각등의 제작은 백제 혹은 신라시대에 한국에서 건너간 사람들에 의해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라고 전해진다. 그동안 강대국으로 발전된 일본의 문화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넓은 안목을 배경으로 동양의 미술문화의 큰 테두리 속에서 한국보다 많은 연구를 추진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본 연구자는 한국이 고대에 있어서 문화적 우월성을 지녔던 민족이었지만 그동안 전통 직물문화를 적극적으로 발전시켰던 일본 직물문화를 연구함으로써 본 논문에 한국직물 문화발전을 위한 기초적 자료가 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을 두었다. 다시말하면, 직물디자인은 한나라의 문화적 척도로서, 문명의 전달자로서, 인간생활과 가장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일본의 직물문화를 기초로 인간의 지혜와 역사를 이해하며 아울러 문양의 일반적인 개념과 "기모노"에서 나타난 문양의 발생, 유래, 분류등 전통적인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전통 문양의 문양별 시대에 따른 발전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일본인의 정서가 일본의 기모노의 문양에 준 영향과 일본의 문양이 21세기의 일본과 서구의 예술 및 패션, 현대 텍스타일에 미친 영향, 가치, 응용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전통적인 기모노직의 특징은 현재에 와서는 모던한 감각적인 것으로 응용되고 있으며 특히 소비성향에 부합되어 현대적 이미지를 표출, 생산되고 있다. 본 작품제작은 기모노의 현대적 문양에 나타나는 단순하고, 추상적인 이미지를 반영하여 식물 길상문중 고목과 후목의 아름다움을 색상과 면분할로 단순화, 추상화시킴으로써 현대적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현대사회에서 대두되고 있는 자연 추구, 환경에 대한 관심을 표현함으로써 대중적인 감각을 표출하고자 하였다. 기법은 이중직, 허니콤, 평직의 조직변화를 토대로 질감변화를 중심으로 샘플제작을 하여 소재 및 제직의 특성상 오비와 쇼올, 아트웨어등 다방면에 응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에 한국의 섬유산업과 섬유예술 분야를 발전시키기 위해 그동안 발전된 일본 및 세계의 직물산업 및 섬유예술에 대한 관심을 가지며 본 논문이 한국직물 발전에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According to ancient Japanese history books, Japanese clothing design originated from Chinese Wi or Korean Shilla dynasty in times of Yayoi, and they became to have a lot of designs in their clothers. The reason is that Kimono was developed, produced in Momoyama times and there lies in their clothing life of high quality with embriodery, dyeing, and sibory etc. At that time, modern textile culture was splendidly bloomed and motivated by Toyotomi Hideyoshi's culture policy. And it also stems from many kinds of motives, which has more than 2000 designs of each family, that is, their thought of enjoying the nature. General concepts of clothing design : origination, classification, kinds, and traditional meaning, are examined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