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하우영-
dc.creator하우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7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8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7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868-
dc.description.abstract부평지역에는 유문암질 용결 응회암, 유문암, 응회암과 같은 화산암이 환상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화강암이 이 환상구조의 내·외부에 분포하고 있다. 화산암은 high-K의 유문암질암의 특징을 나타내며 화강암은 모드 분석과 노음 조성에 의하면 부평, 인천, 김포 지역별로 각각 화강암, 몬조 화강암, 몬조 섬록암에 해당된다. 화강암질암의 주성분, 미량성분, REE의 지구화학적 특성으로 부평지역의 화산암 및 화강암과 김포, 인천 지역의 화강암은 동일기원이 아님을 지시해준다. 각섬석 지질압력계와 각섬석-사장석 지질온도계에 의해 계산된 김포지역의 화강암의 관입심도와 관입온도는 각각 5.6(±0.5)Kbar, 807℃ 로 얻어졌다. 고체상을 포함하는 유체포유물(Ⅲ, Ⅳ Type)과 기상과 액상의 2상 유체포유물(Ⅰ, Ⅱ Type)의 균일화 온도와 염농도는 각각 316℃(20.9wt.% NaCl)과 241℃(8.95wt.% NaCl)이다. 유체포유물 연구의 결과 화강암질 마그마의 후기 진화 단계에서 다량의 순환수의 유입이 있었던 것으로 사료된다.;Volcanic rocks such as rhyolitic welded tuff, rhyolite and tuff in the Bupyeong area form a topographic circular structure. Granitic rocks are distributed inside and outside area of the circular structure. Volcanic rocks define a high-K rhyolite. Granitic rocks from the Bupyeong, lncheon and Kimpo area, on the basis of modal and normative compositions, belong to granite, monzogranite and . monzodiorite, respectively, Geoche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major, trace elements and REE among the Bupyeong, Kimpo and lncheon granitic rocks, indicate non-idential source of granite magma. Based on the hornblende geobarometer and hornblende - plagioclase geothermometer, the emplacement pressure and temperature of the Kimpo granite obtained to be 5.6(±0.5)Kbar and 807℃, corresponding to those of the Jurassic granitic rocks, Homogenization temperature and salinity of solid daughter mineral bearing fluid inclusions(Ⅲ and Ⅳ type) and two phases inclusion (Ⅰ and Ⅱ type) for quartz of the Bupyeong granites are 316℃(20.9wt.% NaCl) and 241℃(8.6wt.% NaCl), respectively. The fluid inclusion data shows a considerable influx of the meteoric water in the late evolution stage of the granitic magma in the Bupyeong a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지질개요 및 암석기재 = 3 A. 지질개요 = 3 B. 화성암류의 암석기재 = 5 Ⅲ. 암석화학적 특징 = 9 A. 주성분 원소의 특징 = 9 B. 미량원소와 REE = 23 C. 화강암질 마그마의 계열 = 36 Ⅴ. 조암광물의 광물화학 = 48 A. 사장석 = 48 B. 각섬석 = 60 Ⅴ. 유체포유물 연구 = 68 A. 연구 목적 및 방법 = 68 B. 유체포유물의 분류 및 균일화온도와 염농도 측정결과 = 68 Ⅶ. 결론 = 78 참고문헌 = 80 Abstract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779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부평지역-
dc.subject유문암질-
dc.subject화강암질-
dc.subject암석-
dc.subject암석화학-
dc.title부평지역 유문암질 및 화강암질 암석의 암석화학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Petrochemical study of the rhyolitic and granitic rocks from the Bupyeong area-
dc.format.pageviii, 8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