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태군-
dc.creator김태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7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5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7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535-
dc.description.abstract'최소 제한적 환경'에서 '적절한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장애아동을 분리된 특수학교에서 일반학교로 이끌어 내는 통합교육은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에게 미치는 학업적, 사회/행동적 성과에 관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통합교육의 움직임 속에서 시각장애분야는 다른 장애분야 보다도 가장 늦게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켰고, 그만큼 통합교육의 효과나 필요성에 관한 연구도 방대하지 못했다. 그간 행해져온 연구들은 시각장애아동이 통합교육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발달 성과에 대해 여러 측면에서 보고한 것이였으며, 통합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지속되기 위한 요소들을 밝히면서 공통적으로 주장하는 바는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간의 이해와 상호협력적 관계에 대한 지적이였다. 통합교육이 장애아동을 일반학교에 배치시키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장애아동이 적절한 사회적 망을 형성하며 생활하고 교육받을 수 있도록 교사의 학급 내 아동간의 중재가 동시에 작용해야 함을 생각할 때 장애아동과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는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중요한 요소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아직까지도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이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통합교육을 위한 선행의 단계로서 교사간의 합의되고 공유할 수 있는 인식의 폭과 내용이 요구되고 이를 위하여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연구가 더욱 더 시급해 지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맹학교 교사와 일반교사의 태도에 대하여 조사해 봄으로써 두 교사간의 인식의 차이를 밝히고 드러난 차이점들을 개선하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맹학교 교사와 일반교사의 태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전국의 13개 맹학교에 재직중인 80명의 유, 초등부 교사와 서울지역의 9개 초등학교, 경기지역의 1개 초등학교등 모두 10개 초등학교의 교사 95명을 대상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는데, 연구문제 1은 t-test를 실시하였고, 그 중에서 영역7에 해당하는 '통합교육의 방해요인 순위'는 문항별로 총점과 평균으로 환산하여 처리하였다. 그리고, 연구문제 2는 two-way ANOVA를 실시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맹학교 교사와 일반교사의 태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맹학교 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2.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하위영역별 차이에서 '통합교육의 개념'에서는 맹학교 교사가 일반교사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었고, '교사시간과 노력의 요구'에서는 일반교사가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시에 학업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노력과 인내가 더 요구될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학업적 기대'에서는 맹학교 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시각장애아동의 학업능력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행동적 기대' 영역에서는 맹학교 교사보다 일반교사가 시각장애아동의 행동적 기대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통합교육 시작시기'의 영역에서는 맹학교 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유아기 통합에 대해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다. 그외에 '교사의 전문성' 영역에서는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맹학교 교사와 일반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을 방해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맹학교 교사들은 '통합교육을 위한 행정적/재정적 지원 부족'을 가장 큰 방해요인으로 지적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통합교육을 위한 관련 서비스 지원 미비', '일반교사들의 전문성 부족'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일반교사들은 '일반교육 과정, 자료, 시설 수정의 어려움', '일반교사들의 전문성 부족',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 부족'의 순으로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의 방해요인을 지적 하였다. 4.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맹학교 교사와 일반교사는 교사의 연령과 교직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교사의 성별은 교사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특수교육 관련연수 경험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통하여,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태도는 맹학교 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위영역별로 통합교육의 개념, 학업적 기대, 행동적 기대에 대해서 맹학교 교사가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교사시간과 노력의 요구에 대해서 일반교사가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통합교육 시작시기에 대해서 맹학교 교사가 일반교사보다 유아기 통합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고 교사의 전문성에 대해서는 태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의 방해요인에 대해 맹학교 교사는 '통합교육을 위한 행정적/재정적 지원 부족', '통합교육을 위한 관련 서비스 지원 미비', '일반교사들의 전문성 부족'을 일반교사는 '일반교육 과정, 자료, 시설 수정의 어려움', '일반교사들의 전문성 부족',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 부족'의 순으로 지적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맹학교 교사는 일반교사 보다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각 하위영역별로 나타난 교사 집단간의 인식의 차이와 통합교육의 방해요인에 대한 지적은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교사의 연령과 교직경력에 따라 나타난 유의미한 차이는 저연령, 낮은 교직 경력의 교사들이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며 이와 같은 점이 고려된 교육청주관의 일반연수나 그 외의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Mainstreaming lead the chilren with handicaps from separate setting to general school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al service' in the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h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studies about academic, social / behavioral effects of mainstreaming. In this movements of msinstreaming, department of visual impairments & blindness changed later than other department of handicaps so, there were not so much study on effect and needness of mainstreaming. The study is report on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s development achievement in the mainstreaming environment, and identifying study on components of successful mainstreaming. Through the studies they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teachers' shared acknowledgement and cooperative relationship. When we think about teacher's intervention to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teacher's attitudes are important components of successful mainstreaming. Therefore, in this time is required the study of tescher's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for process of discussed and shared inter-teachers' opinions. So, this study about teacher's of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general teachers'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intend to find out differences of teachers' perception and offer basic data on improvements. In this study selected 80 teachers of the visually handicapped and 95 general teschers for the purpose. Arid gave questionare on teachers' attitude toward mainstreaming. T-test and Two-way ANOVA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As the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attitude toward mainstreaming of children with visual handicaps between teacher of visually handicapped and general teacher, it turned out that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 on mainstreaming than general teachers. 2. In each subdivisional difference of attitude toward mainstreaming, in division of 'the concept of mainstraming',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than general teachers, in the division of 'demand for teacher's time and effort', general teachers acknowledged that there needed to be more effort and endurance of teachers in mainstreaming. In the division of the 'expectation of academic toward children',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had more positive perception about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an general teachers, in the division of the 'behavioral expectation', general teachers had negative perception than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In the division of the 'the beginning period of mainstreaming',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had positive perception about mainstreaming in early childhood than general teachers. Other than that, in the division of 'the professionality of regular teachers'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ttitude on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and general teachers. 3. As the result of comparing barriers of mainstreaming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selected 'lack of legal / financial support for mainstreaming' and general teachers selected 'difficulty of adaptation on general curriculum, materials, school environment' as the most disturbing factor. About the second disturbing factor,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selected 'lack of related service for education of children with visual handicaps' and general teachers selected 'lack of teacher's professionality'. And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selected 'lack of teacher's professionality' and general teachers selected 'lack of attention for mainstreaming' as the third disturbing factor.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selected 'difficulty of adaptation on general curriculum, materials, school environment', general teachers selected 'lack of legal / financial support for mainstreaming' as the fourth disturbing factor. About the fifth disturbing factor,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selected 'lack of attention for mainstreaming' and general teachers selected 'many of children in general class'. 4. As the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attitude toward mainstreaming concerning the background variable of teachers,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and general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ir age and years of teaching. And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 their gender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ir experience of special education training experience. Synathesizing the results above, it can be see that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have more posotive attitude toward mainstreaming of children with visual handicap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more special education training is give to general teachers, so that they have insights, courage and professionality about education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nd the meaningful meeting is needed between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and general teachers to make a correlated educational philosophy and acknowledg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시각장애아동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 7 B. 시각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전개과정 및 의의 = 9 1. 시각장애아동 통합교육의 전개과정 = 9 2. 통합교육을 통한 시각장애아동의 학업성취 발달 = 12 3. 통합교육을 통한 시각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달 = 14 C.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 = 16 1.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태도의 중요성 = 16 2.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 19 3.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를 측정한 선행연구 = 24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연구도구 = 28 C. 연구절차 = 32 Ⅳ. 연구결과 = 35 A.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맹학교 교사와 일반교사의 태도 비교 분석 = 35 B. 맹학교 교사와 일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 분석 = 46 Ⅴ. 논의 및 제언 = 56 A. 논의 = 56 B. 제한점 = 61 C. 제언 = 62 참고문헌 = 63 부록 1. = 74 부록 2. = 85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988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시각장애아동-
dc.subject통합교육-
dc.subject맹학교 교사-
dc.subject일반교사-
dc.title시각장애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맹학교 교사와 일반교사의 태도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teachers of visually handicapped and regular teachers' attitudes toward mainstreaming of children with visual handicaps-
dc.format.pagexi, 97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