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선경-
dc.creator이선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6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8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7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814-
dc.description.abstract1, 2차 세계대전이라는 인류역사상 초유의 경험 끝에 인류는 경제적·사회적·정치적 혼란으로 인간의 정신과 존재하는 모든 안정된 형태는 근본부터 흔들리게 되었다. 이로 인해 탄생된 인간의 모습은 불안정 속에서 왜곡되거나 변형되었으며 이러한 상황 속에 19C 후반까지 팽배되어온 합리주의적, 사실주의적 사고는 점차 인간의 감성적 측면을 중시하는 실존주의 정신으로 변화되었다. 실존주의는 문명화된 사회에서 개성과 인간성이 상실되어 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되찾고 본래의 자신에로 귀환함으로써 소외와 자아상실의 상태로부터 자아를 회복하고자 원하는 인간의 바램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존주의 정신이 잘 드러나있는 예술의 형태인 표현주의를 중심으로 인간본연의 모습과 삶인 불안, 죄, 공포, 허무, 죽음 그리고 더 나아가 문명, 사회, 역사를 분석하고 표현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은 순서와 방법에 의해 전개한다. 우선 Ⅱ장에서는 내용적 측면에서 인간의 본질에 대하여 파악하고 그 근원에 대한 연구와 동시에 인간내면표현의 예술을 추구한 표현주의 회화의 사상적 배경과 작가를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각종의 맥을 형성하려 한다. Ⅲ장에서는 방법적 측면에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인간형상의 변화에 대해서 연구함과 동시에 현실적 존재로서 '인간형상'이 갖는 의미와 현실에 대한 변화, 인간의 상황과 상황 속에서 갖게 되는 인간의 이미지를 살피고자 한다. Ⅳ장은 이러한 연구배경하에서 이루어진 작품을 제시한다. 작품은 사회적 상황에서 인간성이 상실된 형상을 다루고 있으며 이 문제들은 효과적으로 시각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단순화되거나 변형되어진 사진과 X-ray 필름을 사용함으로 시각효과를 증대시켰다.;Human spirit of all the confirmed shape ad them has flipped from their foundation, for the human being's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confusions which has drawn on world war Ⅰ,Ⅱ that was the first experience of all the human being. Since human's generated figure has distorted or transformed in the unstability. In this situation, the reasonable and realistic thought has rised high and gradually changed, until late 19th century. It. seems that the existentialism. It emphases the human's sensitive side. The existentialism is human's desire, that is, modern human being get back their figure and return among the cultural society. Because they lossed their individuality and personality. And they want to recover his ego from their alienation and the statement of ego lossed. Therefore this study represents the shape of the art that attaching importance to expressionism. It be known to the existential spirit. I want to express human's original figure and life, that is, anxiety, sin, terror, vanity, death and then furthermore analyze and express the civilization, society and history. The order and way of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that. First of all, in the chapter Ⅱ, I want to catch hold of human's nature because I take a side biew of the substance. I want to research the thinkable background of expressionism which inquire to the art of human internal express. Through I attaching importance to the author, I want to from the various veins. In the chapter Ⅲ, I take a side view of way. So, I study the change of human's shape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and at the same time, I look into human's image that has the meaning of 'human shape' as a real existence. Human's image has the meaning of the change of reality and the meaning of the human's situation. In the chapter Ⅳ, I present the works through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works deal with the shape that lost human nature in the social situation. And the works simplified, for effectively risualied means or became larger the visual effectiveness as the works used the transformable photographs and X- ray fil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내용적인 연구 = 3 A. 인간 내면의 본질과 표현의식 = 3 B. 내면표현으로서의 예술 = 6 C. 표현주의 회화에서의 인간표현 = 7 1. 표현주의의 사상적 기틀 = 8 2. 이론적 배경 = 10 3. 표현주의를 활용한 작가분석 = 11 Ⅲ. 방법적인 연구 = 15 A. 미학적 측면에서의 인간의 표현변화 = 15 B. 예술적 측면에서의 회화와 사진 = 17 Ⅳ. 작품전개 및 분석 = 24 A. 작품전개 = 24 B. 작품분석 = 25 Ⅴ. 결론 = 37 참고문헌 = 38 ABSTRACT = 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028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상실된 인간성-
dc.subject모티브-
dc.subject형상성-
dc.title상실된 인간성을 모티브로 한 형상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hapeness of human in losting personality-
dc.format.pagevii, 4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nbsp-
dc.identifier.major광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