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7 Download: 0

조각보의 면구성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Title
조각보의 면구성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Other Titles
(A) Study of Costume Design
Authors
민병희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 

의상디자인전공
Keywords
조각보면구성복식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ostume as a field of 'Arts in Life', having existed with the human race,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cultural development. Every culture has built up its own unique culture of costume according to climatic & endemic elements, social & economic circumstances, customs, religions, and viewpoints of beauty. Comparing the Oriental and Western cultures in costume, the former has been developed to conceal human body, while the latter has rather emphasized a physical body line figuratively shown. This feature of Oriental costume can be found in our traditional 'Bojagi' (small wrapping-cloth) as well as in clothing. 'Bojagi' is one of the hereditary commodities, the usefulness of which is easily limited only to a wrapping and ornamental purpose. It has been for such various uses as hiding, covering, and symbolical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plane design of 'Bojagi' appropriately to the human body-shape, by examining such a wrapping-function of 'Bojagi' as we come to recognize from its original word 'Bojau˘i'(褓子伎) to the clothing itself and to analyze the formative aspects of the patchwork cloths in terms of design and represent those elements as the forms of modern costum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by referring to sundry records and to make it available in the modern fashion by analyzing the figu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148 Bojagi-works recorded in the book 「Old Bojagi」among Hur Dong-Hwa's collections, besides the 21 others found in museum or personal possessions. The period-range of this study is the later Yi dynasty. Through the research on this age, it is expected to trace out the whole aspects of traditional 'Bojagi'. It's because all the original 'Bojagi' and the references & records handed down until the present are those of the later Yi dynasty, during the period in which various patterns of Bojagi were used together and widespread in the society.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the concept of our traditional 'Bojagi' and the reason for its development are examined, while the kinds of our traditional 'Bojagi' and the expressive skills in the patchworks are reviewed. Also, with the figurative analyses of the patchworks, those designs, the characteristics of color-arrangements and materials are inquired into. And the works are made considering geometrical designs, colors, etc. as those motifs. In conclusion, first, it was learned that the ornamental characteristics of Bojagi and Patchwork were fit for the artistic and high value-added costume design. Second, a new possibility was ascertained to make the figures of modern costume through transforming and applying the flat-design of 'Bojagi' and 'Patchwork' into that of modern costume. Third, it was made certain that the patchworks enabled the Korean traditional beauty to be modernized, and could be a motif to develop the peculiarity and universality of the Korean beauty. As mentioned above, the researches on our peculiar "patchwork wrapping-cloths" should not only succeed to our tradition but also be helpful to make the patchworks modernized in accordance with the modern fashion without breaking off the tradition.;복식은 인류의 생존과 더불어 공존하고 있는 생활예술의 한 분야로서 문화의 발전 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기후와 풍토, 사회 경제적 여건, 생활 풍습, 미의 관점, 종교 등에 따라 각기 독특한 복식 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동서양의 복식 문화를 비교해 볼 때 동양의 복식은 인체를 드러내지 않도록 감싸주면서 발전해 온 반면, 서양의 복식은 인체의 선을 조형적으로 드러내면서 발전해 왔다. 이러한 특성은 복식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전통 보자기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우리의 전통 생활용품 중의 하나인 보자기는 흔히 물건을 싸 두거나 장식적인 것으로만 한정짓기 쉽지만 의외로 사용 범위가 넓어서 가리는것, 덮는것, 신앙적인 것, 상징적인 것등 그 용도가 다양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보자기가 보자의(褓子衣)라는 어원에서 알 수 있듯이 보자기의 싸는 기능을 옷에 비유하여 보자기의 평면적 면구성을 인체 조형에 알맞게 응용하고,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조각보에 표현된 면구성을 연구 분석하여 그 요소를 응용한 현대 복식으로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과 허동화씨의 수집품 중 「옛보자기」에 수록된 148점 외 박물관 및 개인 소장품 21점의 면구성적 특성을 분석하여 현대적 감각에 맞는 디자인으로 제작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조선시대 후기로 한다. 이 시기는 현재 전해지고 있는 보자기 실물 및 관계 문헌들이 모두 조선시대 후기의 것들로서 전통 보자기의 전체상을 추적해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양식의 보자기들에 혼용되고, 세간에 보다 광범위하게 쓰여졌기 때문이다. 연구내용은 우리나라 전통보자기의 개념과 발달을 고찰하고 전통 보자기의 종류와 조각보의 표현기법을 살펴보았다. 또한 조각보의 조형적 분석으로 조각보의 면구성과 색상 및 소재의 특성을 규명하고,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조각보의 기하학적인 면구성과 색상 등을 모티브로 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결론으로 첫째, 조각보의 장식성은 고부가 가치를 지닌 예술성 있는 복식디자인 개발에 적합한 특성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각보의 면구성을 현대복식에 응용함으로써, 현대적 감각의 복식 조형을 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각보는 전통미를 현대화하여 한국미의 고유성과 보편성을 발전시키는 모티브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우리나라 고유의 조각보를 연구하는 것은 전통의 계승이라는 측면뿐아니라 전통의 현대화라는 관점에서 그 의의를 둘 수 있으니 단절됨 없이 지속적으로 연구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