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민자-
dc.creator장민자-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4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5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75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531-
dc.description.abstract회복실에서의 환자간호는 전신 마취 및 수술 환자가 생리적 불균형으로부터 회복될 때까지 제공받는 집중적인 관리(concenturated care)이며(Beal, 1962) 조기이상, 정맥과 수혈요법, 호흡기능유지, 감염관리, 일반적 안위간호를 포함한다(Drain, 1994). Edwina(1983)는 회복실로 옮겨진 환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안위를 위한 편안한 환경을 제공해 주며 호흡기능, 심폐기능, 수분과 전해질의 유지를 위해 세심한 관찰과 간호를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같이 수술후 환자간호에 있어서 회복실에서의 환자간호는 중요한 측면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마취에서 깰 때까지의 회복간호가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아 체계적인 간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간호사 자신들이 아직도 경험이나 전통에 의한 간호를 수행하는데 기인한 것으로써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한 환자간호를 수행한다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회복실 간호사들이 수술후 환자간호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그러한 간호행위를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회복실에서의 수술후 환자간호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회복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수행하고 있는 수술후 환자간호를 분석하고 그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수행정도를 파악함으로써 회복실에서의 수술후 환자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내 7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회복실 간호사 100명을 임의추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1996년 10월 28일부터 11월 5일까지 9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본 연구자가 작성한 일반적 특성 11문항과 회복실 간호업무에 관한 9문항, 회복실 간호사 교육에 관한 7문항, 회복실의 환자간호 측정도구 70문항 총 97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Alpha= .97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ANOVA로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회복실 간호사의 연령은 28-31세미만인 경우가 27.0%로 가장 많았고, 미혼이 62.0%, 종교인이 57.0%였으며, 최종학교는 전문대학을 졸업한 경우가 51.0%로 가장 많았다. 병원근무경력은 5-10년미만인 경우가 34.0%, 회복실근무경력은 1-5년미만인 경우가 57.0%로 가장 많았다. 회복실 간호사로서의 역할은 대부분 회복실과 마취중 환자간호의 두 가지 업무를 함께 담당하고(94.0%) 있었으며, 3교대 근무형태인 경우가 58.0%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회복실 간호업무의 현황을 보면, 회복실에서 환자가 기본적으로 체류하는 시간은 60분이 57.0%, 회복실을 담당하는 간호사 수는 평균 5명이상이 40.0%로 가장 많았고, 마취 후 회복평가점수를 측정하는 경우는 32.0%로 나타났다. 회복실 간호직에 대한 간호사의 만족도는 그저 그렇다고 대답한 경우가 50.0%로 가장 많았고, 만족하는 경우는 41.0%, 불만족하는 경우는 9.0%로 나타났다. 3. 회복실 간호사 교육의 현황을 보면, 정규교육과정과 실무교육과정에서 회복실 간호업무에 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경우는 78.0%였고, 이 경우 교육경험은 회복실 근무를 하면서(50.0%)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실 간호업무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고 대답한 경우는 22.0%였는데, 이 경우에 동료나 선배 간호사를 통해 배운다고 응답한 경우가 29.0%로 가장 많았다. 현재 회복실 신규 간호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있는 경우가 55.0%, 회복실 경력 간호사를 위한 계속교육프로그램은 있는 경우가 36.0%로 나타났으며, 회복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대부분 수술 후 환자간호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는데(98.0%), 이는 회복실 간호사를 위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4. 회복실의 수술후 환자간호 영역별 중요도 및 수행정도를 살펴보면, 회복실의 환자간호는 '정맥 및 수혈요법 간호, 호흡기능유지 간호, 감염관리, 안위 및 안전 간호, 퇴실관련 간호, 입실준비 간호, 환자 사정 및 감시'의 7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는데, 7개 영역 중 중요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 것은 "호흡기능유지 간호(M=4.75, SD=0.30)"였으며, 가장 낮은 영역은 "환자사정 및 감시(M=4.49, SD=0.37)"로 나타났다. 한편, 수행정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측정된 것은 "정맥 및 수혈요법 간호(M=4.69, SD=0.36)"였고, 가장 낮은 영역은 "환자 사정 및 감시(M=3.82, SD=0.47)"로 나타났다. 5. 회복실 간호사의 수술후 환자간호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수행정도를 보면, 연구대상자 100명에 의해 측정된 전체적인 회복실에서의 수술후 환자간호에 대한 중요도 점수는 총점 평균 320.87±22.80, 문항평균 4.58±0.32이며, 수행정도 점수는 총점 평균 293.98±22.67, 문항평균 4.19±0.32을 보여 중요도에 비해 수행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별로 보면, 중요도에서는 "기관지 삽관을 위한 응급카트가 준비되어 있다(M=4.93, SD=0.25)"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병실로 갈 때 간호사가 동반한다(M=3.82, SD=1.03)"가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수행정도에서는 "산소를 공급한다(M=4.91, SD=2.28)"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병실로 갈 때 간호사가 동반한다(M=2.35, SD=1.63)"가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6.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간호사 수에 따라 수술후 환자간호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회복실 간호사의 수술후 환자간호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정도간의 상관관계는 정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중요도 인식이 높을수록 수행정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회복실 간호사의 수술후 환자간호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수행정도는 모두 높게 나타나 회복실 간호사들은 수술후 환자간호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회복실 전문간호사로서 수술후 환자간호에 있어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정확하고 안전하며 개별적인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경험뿐 아니라 정확한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환자간호에 임해야 하며 이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회복실의 수술후 환자간호 중 중요도 및 수행정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온 항목은 그 저해요인을 찾아내고 해결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2. 보다 체계격인 회복실에서의 환자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회복실 환자사정도구 및 평가도구의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study wa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clinical nursing by rating of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postoperative nursing activity in recovery roo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rbitrarily selected 100 nurses in 7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working for the recovery room. The period for collecting the data was 9 days from Oct. 28th to Nov. 5th. 1996. The instrument for study was the quetionaire that is total 97 question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11 questions made by the researcher from investigation of documentary records, 9 questions related to nursing task in the recovery room, 7 questions related to training for nurses in recovery room, 70 questions for measuring of postoperative nursing activities. The trust rate of this tool was Chronbach's Alpha- .97 and the trust rate for each factor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actors was Chronbach's α = .79~ .90. The Collected data was dealt by the method which are a real number, percentage, an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ANOVA with SA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 the subject of this study, ages between 28-31 the nurses in the recovery room were the most frequent of 27.0%. The working record in the hospital showed that experience of years between 5-10 was the most frequent of 34.0%, and the working record in the recovery room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years between 1-5 were the most frequent of 57.0%. In most cases(94.0%) they are taking care of nursing work for the anesthesia and recovery room alternatively. The working type showed that the 3-shift was the most frequent of 58.0%. 2. Regarding the time of basic stay in the recovery room, 60 minutes (57%) was the most frequent, regarding nurses who was in charge of the recovery room, over 5 people (40%) was most frequent, and 32.0% measures the post anesthesia score. Regarding satisfaction about the degree of nurses about the nursing career, 50% says so-so fairly satisfied, and 41.0% satisfafied, 9.0% unsatisfied. 3. About the training for the nurses in the recovery room, 78.0% have had the tranig about nursing work of the recovery room , 51.0% have had the training in clinical field which was the most frequent, 22% have not had the training about nursing work of the recovery room. Currently the 55.0% has the training for the new nurses in the recovery room, the 36.0% has the continual training for the experienced nurses. The 98.0% feels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nurses in the recovery room. 4. Based on 7 categorized components from the questionaires, the highest points on the degree of importance were questions related to Maintaing respiratory funtion care(mean of 4.74) and the lowest were Patient assessment & monitoring(mean of 4.58), on the degree of performance, the highest points were Intravenous & Transfusion therapy(mean of 4.69) and the lowest were Patient assessment & monitoring(mwan of 3.82). 5. The remark for the degree of importance on nursing work in the whole recovery moms measured by 100 subjects was average, 4.58±0.32 which means very high, the remark for the degree of performance was average 4.19±0.32 which means very high. The result were found out that the degree of importance was higher than the degree of the performance. 6.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ral characteries and importance,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8.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postoperative nursing activity in recovery room,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r=0.7446, p<0.000l). As we have seen in the abov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postoperative nursing activity in the recovery room were both high, it shows the nurse in recovery room have implemented real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문헌고찰 = 6 A. 회복실에서의 수술후 환자간호 = 6 Ⅲ. 연구방법 = 15 A. 연구 설계 = 15 B. 연구 대상 = 15 C. 연구 도구 = 15 D. 자료 수집 = 16 E. 자료 분석 = 17 F. 연구자의 윤리적 측면 = 17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18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8 B. 회복실 간호업무의 현황 = 20 C. 회복실 간호사 교육의 현황 = 24 D. 수술후 환자간호 영역별 중요도 및 수행정도 = 28 E. 수술후 환자간호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정도 = 30 F. 일반적 특성과 간호사 수에 따른 수술후 환자간호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정도 = 33 G. 수술후 혼자간호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정도간의 상관관계 = 36 Ⅴ. 결론 및 제언 = 37 A. 결론 = 37 B. 제언 = 40 참고문헌 = 41 부록 = 44 = Abstract =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789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회복실 간호사-
dc.subject수술-
dc.subject환자간호-
dc.subjectNursing Activity-
dc.title회복실 간호사의 수술후 환자간호에 대한 중요도 인식 및 수행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tion on Postoperative Nursing Activity in Recovery Room-
dc.format.pageix, 6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