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승애-
dc.creator양승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4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5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7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530-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유방암 발생율이 증가함에 따라 조기에 유방암을 진단하려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류근원 등,1994). 유방암의 발생원인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현 시점에서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율을 낮추는 가장 좋은 방법은 조기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다. 현재 유방암을 조기발견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유방조영술, 전문가에 의한 신체검진 및 유방자가검진을 함께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중 유방자가검진은 가장 경제적이며,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 치료 가능한 초기의 종양발견에 효과적인 방법이다(Huguley 등, 1981). 그러나 이러한 예방적 건강행위 즉 유방자가점진은 개인이 갖고 있는 신념에 따라 행동으로 옮겨지게 되므로 대상자의 건강신념은 그 실행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신념과 함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과 방법을 알아야만 실제로 실천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인식이 낮고, 홍보및 전달매체가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유방자가검진이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건강신념과 함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뒤따라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Becker와 Rosenstock의 건강신념 모델을 기초로 하여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신념과 유방자가검진 실행정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면서 체계적인 유방자가검진 교육방법과 일반적인 교육방법에 따른 유방자가검진 실행정도의 차이를 확인하여 대상자들의 유방자가검진 실행정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내 C병원 갱년기 크리닉을 방문하는 여성들 가운데 연구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여성 101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 가운데는 갱년기 크리닉에서 실시하는 유방자가검진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그룹, 의사 혹은 간호사에게 유방자가검진에 대해 일반적인 설명을 들은 그룹, 일반대중 매체를 통해 유방자가검진을 배운 그룹이 포함되어 있다. 자료수집기간은 1996년 9월 30일부터 10월 19일까지 총 20일간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중 건강신념에 관련된 측정도구는 이종경(1982)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중심으로 했으며 유방암과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과 실행정도 측정도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본 연구자가 작성한 후 간호학 교수의 수정을 받고 예비조사를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연구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alpha가 각각 유방자가검진 실천방법 측정도구: .90, 건강신념 측정도구 중 민감성: .74, 심각성: .71, 유익성: .64, 장애성: .54, 지식측정도구: .80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와 ANOVA로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연령은 유방암 호발연령군에 속하는 40~60세사이의 중년기 여성들이였으며 대다수가 기혼자였다. 교육정도는 고졸이상이 58.3%였으며 경제수준은 100만원 이상이 86.3%로 대부분이 중류층 이상이었다. 월경 상태는 폐경된 여성이 72.6%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2. 건강신념과 유방자가검진 실행정도와의 관계는 유방암에 대해 지각하는 심각성이 높으면 유방자가검진 실행정도가 높았으며(r=0.29, p=0.01) 그외에 민감성(r=0.11, p=0.35), 유익성(r=0.19, p=0.10), 장애성(r=-0.02, p=0.87)은 유방자가검진 실행과 의미있는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 유방암 및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과 유방자가검진 실행정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r=0.20, p=0.08). 4. 유방자가검진 교육방법에 따른 유방자가검진 실행정도 체계적인 유방자가검진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대상자와 의사 또는 간호사에 의해서 일반적인 설명을 듣거나, 대중매체를 통해 배운 대상자들 간에는 유방자가검진 실행정도에 있어서 의미있는 차이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대상자의 실행정도가 높았다(F=9.89, p=0.0002). 이상의 결과로 건강신념중 유방암에 대해 인식하는 심각성이 높으면 유방자가검진 실행정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유방자가검진 교육방법에 따른 실행정도에 있이서는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대상자가 다른 방법으로 유방자가검진을 배운 대상자보다 유방자가검진 실행정도가 의미있게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대상자에게 유방암으로 인해 올 수 있는 심각성을 강조하고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실행정도를 높이고 계속적인 강화교육과 평가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일련의 간호중재는 궁극적으로 유방암의 조기발견과 조기치료를 가능하게 하여 유방암으로 인한 여성의 사망율을 감소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As the breast cancer incidence increases recently, the trend of early brat cancer diagnosis is heightened. Since an accurate cause of breast cancer is not available at the present time, the best way to the reduce mortality by breast cancer is the early detection and thus the early treatment. The most effective ways for the early detection for breast cancer, such as mammography, physical examination by physician, and breast self-examination(BSE) are encouraged. Amongst the three, BSE is the most economical and can be done easily. Also BSE is the most effective way for clinically curable early cancer detection. Since this kind of preventive health act such as BSE, is put into practice according to a personal belief,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person's health belief and her degree of BSE practice. In the present situation in Korea, where there are low recognition of BSE and lack of public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edium, a systematic health education with their health belief to enhance the BSE practice is needed to activate BSE. There are two purposes for the present investigation : Firs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model variables and practice of BSE; Second, to know the difference in practice of BSE according to the two different educational methods namely a systematic education for BSE and a general education for BSE.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and Health Belief Model variables was assessed in a convenient sample of 101 women. Susceptibility, seriousness, benefits, barriers, knowledge of breast cancer and BSE and degree of BSE practice were measured by scales that were test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Women Visited the Climacteric Clinic at C Hospital in Seoul were used. Some (n = 35) were taught by systematic education for BSE by a researcher, the others were given by a general education about BSE by medical doctors and nurses(n = 9), or through a mass media(n = 23).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30, 1996 to Octerber 19, 1996 which took a total 20 days.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instrument; Chronbach's alpha for instrument to mearsure method of BSE practice was .90, instrument to mearsure health belief, the susceptibility was .74, seriousness was .71, benifits was .64, the barrier was .54 and knowledge was .8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AS program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NOVA.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degree of BSE practice and seriousness(r = 0.29, p = 0.01) 2. The degree of BSE practice of the women who were taught by systematic education for BS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s(F = 9.89, p = 0.0002).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ractice of BSE and knowledge(r = 0.20, p = 0.08), susceptibility(r = 0.11, p = 0.35), benefits(r = 0.19, p = 0.10) and barriers(r = -0.02, p = 0.87). In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riousness and the degree of BSE practice. The degree of BSE practice was higher among the women who received the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on breast cancer and BSE than among those who received only a general education about BSE from medical doctors or nurses or through mass medi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용어 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7 Ⅱ. 문헌고찰 = 8 A. 건강신념 모델 = 8 B. 유방자가검진 = 9 C. 건강신념과 유방자가검진과의 관계 = 11 1. 유방자가검진 실행을 돕기위한 교육 = 13 Ⅲ. 연구방법 = 16 A. 연구설계 = 16 B. 연구대상 = 16 C. 유방자가검진 교육 프로그램 = 17 D. 연구도구 = 18 E. 자료수집 = 20 F. 자료분석 = 20 G. 연구자의 윤리적인 측면 = 21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22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2 B. 건강신념과 유방자가검진 실행정도와의 관게 = 24 C. 유방암 및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식과 유방자가검진 실행정도와의 관계 = 26 D. 유방자가검진 교육방법에 따른 유방자가검진 실행정도 = 27 Ⅴ. 결론 및 제언 = 29 A. 결론 = 29 B. 제언 = 31 참고문헌 = 32 부록 = 39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784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년기 여성-
dc.subject건강신념-
dc.subject유방 자가검진-
dc.title중년기 여성의 건강신념과 유방 자가검진 실행정도와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e of Breast Self-Examination and Health Belief Model Variables in Middle Aged Women-
dc.format.pageix, 6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