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윤희-
dc.creator최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2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9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7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905-
dc.description.abstract언어는 중요한 의사 전달 수단으로서 의사소통의 필수적인 매개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언어를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유아나 장애 아동의 경우에는, 언어 이외의 방법으로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 즉, 소리나 몸짓, 표정 등의 비언어적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은 아동과 상호작용을 하는 상대방에 따라, 보다 목적을 가진 의사소통 행동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민감하게 이해하고 적절하게 반응하는 성인의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장애 아동의 경우, 상호작용하는 성인들이 그러한 아동의 비언어적 행동을 잘 인식하지 못하며 또한 성인들 간에도 이해하는 정도가 다르다고 한다. 장애 아동의 경우에는 부모 외에도 많은 다른 사람들(교사, 치료사, 다른 가족 등)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며, 이들이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의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그러므로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해 상호작용하는 성인들 간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는 것은 아동의 의사소통에 대한 진단 및 평가 과정의 한 부분으로써, 이후 장애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발전시키기 위한 교수 전략의 기초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 아동과 가장 빈번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부모와 교사가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아동의 행동을 얼마나 민감하게 인식하며, 그 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이 얼마나 일치하고 있는가를 알아봄으로써 발달 장애 유아의 의사소통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교수 전략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복지관에서 조기 교육을 받고 있는 발달 장애 유아 1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그 아동들의 부모(어머니)와 담임 교사 14명에게 아동의 행동을 담은 비디오테이프를 관찰하게 한 후 행동에 대한 인식 정도를 보고하게 하였다. 아동의 행동에 대한 관찰 결과는 Wilcox와 Kouri, Caswell(1990)의 연구에서 사용한 행동 형태와 행동 기능의 범주에 따라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자료를 처리하였다. 부모 집단과 교사 집단의 인식의 민감도는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변인별, 유형별로 인식 빈도를 t 검증하였으며, 일치도는 각 변인별 동의 빈도 분석을 사용하여 자료를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발생·행동 형태·행동 기능에 대한 빈도를 보면 부모 집단과 교사 집단 모두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개인간 인식 빈도에서는 최저 0%에서 최고 58.06%의 편차를 나타냈다. 2.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형태의 유형별 빈도를 보면 부모 집단과 교사 집단 모두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얼굴 표정에 대한 인식을 제외한 모든 형태 유형에서 평균적으로 교사 집단이 부모 집단보다 더 민감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식 순서에는 두 집단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기능의 유형별 빈도를 보면 부모 집단과 교사 집단 모두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평균적으로 요구하기·모방하기·무의미의 기능은 교사 집단이 더 민감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결하기·설명하기/대답하기·전달하기·인사하기·긍정적인 상호작용적 표현하기·부호화할 수 없는 행동 기능은 부모 집단이 더 민감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식 순서에는 두 집단간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각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의 일치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즉, 행동 발생이 일치한 경우는 33.64%, 행동 발생과 행동 형태가 일치한 경우는 20.58%, 행동 발생과 행동 기능이 일치한 경우는 12.35%, 행동 발생과 행동 형태, 행동 기능까지 일치한 경우는 10.14%로 나타났다. 5. 각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형태의 유형별 일치도 순위를 보면 상지 움직임·목소리·입의 움직임·몸전체·목/머리·눈의 움직임 하지 움직임·부호화할 수 없는 행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6. 각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기능의 유형별 일치도 순위를 보면 인사하기·전달하기·요구하기·종결하기·긍정적인 상호작용적 표현하기·설명하기/대답하기·모방하기 ·무의미·부호화할 수 없는 행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볼 때, 부모와 교사는 발달 장애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민감도에 차이가 있으며, 일치도는 매우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장애 아동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민감도 차이를 줄이고 일치도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The importance of the interpersonal environment to children's aquisition of communication skills is widely acknowledged, both for children developing normally and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f particular importance to children's early development is exposure to social interchanges in which a caregiver/adult responds to a child's behavior in a sensitive manner. Responsivity refers to an adult's tendency to recognize children's behavioral cues and provide contingent, appropriate, and consistent responses to those cues. Thus, during the earlist phase of communication development, children's communications are not purposeful from the child's perspective. Communication that occurs is a result of a partner's ability and tendency to attribute meaning to a child's nonsymbolic and frequently unconventional behavior. A partner must consistently recognize a child's communicative or portentially communicative attempts and respond to those attempts in a contigent, appropriate, and consistent manner. But varing partners, including their caregivers, teachers are likely to recognize different forms of children's communicative or portentially communicative behavior. So, The primary focus of this study was on partner sensitivity to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respect to initial recognition and consistency of recognition of communication cues. Aspects of partner sensitivity to communication behaviors of 14 presymbolic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examined. Targeted communication partners were those with whom the children interacted on a regular basis and included their mothers,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ach child's mother and special educator separately viewed the selected video sample of mother-child interaction. Procedure were developed whereby the children's communicative partners served as informant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a) recognition of children's communicative cues both individually and between partners ; (b) consistency of cue recognition between partners. Analyses were conducted in two major phases. The first phase focused on determination of the adults' basic recognition sensitivity, or tendencies to identify the children's behavior as communication. The second phase foused on recognition consistency and included a series of analyses that examined the varying ways in which the adults agreed in their identifications and associated descriptions of the children's communic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by t-test and percentaged of adult's overall agreement in their identifications of communication for each child. The results revealed two major findings. First, it was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sensitivity with respect to observing partners. Second, the results overwhelmingly indicated wide individual variability in the adults basic recognition abilities as well as their recognition consistency. It was concluded that sensitivity, as measured in the study, was highly partner-child specific, with some children likely to be exposed to more optimal interactions than others. When these issues are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findings regarding high variability in the observing partners' basic recognitions of communication, suggestions can be made regarding partner-based programs for presymbolic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8 A. 비언어적 의사소통 = 8 1.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대한 정의 및 기능 = 8 2.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발달 = 10 B.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 과정 = 20 1. 상호작용을 통한 의사소통의 중요성 = 21 2. 의사소통에 영향을 주는 상호작용 요소 = 23 3. 장애 아동과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 25 C.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진단과 평가를 위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 28 1. 장애 아동의 의사소통에 대한 평가 = 29 2. 부모와 교사간 협력 평가의 중요성 = 30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4 A. 연구 대상 = 34 B. 연구 도구 = 36 C. 자료 수집 = 37 D. 자료 분석 = 42 Ⅳ. 연구 결과 = 44 A.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부모-교사의 인식의 민감도 = 44 B.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부모-교사의 인식의 일치도 = 55 Ⅴ. 논의 및 제언 = 61 A. 논의 = 61 B. 제한점 = 67 C. 제언 = 68 참고문헌 = 70 부록 = 81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879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장애-
dc.subject유아-
dc.subject비언어-
dc.subject의사소통-
dc.subject행동-
dc.title발달 장애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artner recognition to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c.format.pageix, 9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