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64 Download: 0

제왕절개 초산모의 모유수유 목표달성합의가 모유수유 실천정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제왕절개 초산모의 모유수유 목표달성합의가 모유수유 실천정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mpact of an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breastfeeding gorls in the breastfeeding practice degrees of primipararous mothers of cesarean section delivery
Authors
최재원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제왕절개초산모모유수유간호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제왕절개 초산모의 모유수유 목표달성합의가 모유수유 실천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King의 목표달성이론에 근거하여, 제왕절개 초산모들을 대상으로 모유수유 목표달성에 합의한 실험군과 합의를 하지 않은 대조군의 산욕초기동안 모유수유 실천정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모유수유 간호에 있어서 초산모와 간호사의 상호작용을 통한 간호중재 방안을 제시하여, 모유수유에 대한 임상실무를 향상, 발전시키고 모유수유 실천을 높이고자 기여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1995년 11월 15일부터 1996년 2월 29일까지 서울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종합병원에서 제왕절개분만을 하고 모유수유를 계획하고 있는 초산모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995년 11월 15일 부터 1996년 1월 15일 사이에 제왕절개 분만을 한 초산모 40명은 대조군에, 1996년 1월 16일 부터 1996년 2월 29일 사이에 제왕절개 분만을 한 초산모 40명은 모유수유 목표달성합의를 위한 실험군에 각각 임의 할당하였다. 연구대상 제왕절개 초산모의 (n=80) 입원 기간은 6일에서 7일 간이였다. 연구는 연구자가 King(1981)의 목표달성이론과 그외 모유수유 실천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고안한 제왕절개 분만 초산모와 간호사의 모유수유 목표달성합의 계획안과 모유수유 실천 자가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실험군에게는 제왕절개분만 초산모와 간호사의 모유수유 목표달성합의 계획안을 사용하여 제왕절개분만후 1일부터 5단계 목표달성 과정을 통해 수집하였다. 또한 퇴원 당일에 (평균 수술후 6-7일) 모유수유 실천자가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의 모유수유 실천정도를 측정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이용하여 전산 통계처리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는 Chi-squre검정, t-test및 GLM(General Linear Models) 그리고 도구의 내적 신뢰도 검정을 위해서는 Cronbach's Alpha 값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 얻어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실험군의 모유수유 실천정도는 총평균 4.21로 많이 높은 편이었다. 한편 실험군의 모유수유 실천정도를 문항별로 알아본 결과, 전체 문항중 가장 실천 정도가 높은 문항은 「젖을 먹이 전에 손을 닦았다」(4.76점)였고 가장 낮은 실천 정도를 보인 문항은 「매 2-3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아기가 원할때 수유하였다」(3.47)이였다. 영역별로 보면 모유수유 방법영역에서 총 평균 4.17, 모유수유 결과 반응영역에서는 총 평균 4.21로 실천정도는 많이 높은편이였다. 대조군의 모유수유 실천정도는 총평균 3.28로 약간 높은 편이었다. 대조군의 모유수유 실천정도를 문항별로 알아본 결과, 전체 문항중 가장 실천 정도가 높은 문항은 「수유시 아기에게 미소짓고 다정한 말을 해 주었다」(4.35점)였고 가장 낮은 실천 정도를 보인 문항은 「젖꼭지를 뺄 때, 아기의 아래턱을 눌러주거나 양쪽 볼을 눌러서 아기가 입을 벌리도록 한 후에 유두를 뺐다」(1.47점)였다. 또한 영역별로 볼때, 모유수유 방법 영역에서 총 평균 2.96, 모유수유 결과 반응영역에서는 총 평균 3.28로 실천정도는 보통정도인 편이였다. 2. 모유수유 목표달성에 합의한 실험군의 일반적 특성중 입원기간과 모유수유 실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17.42, p<.01)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의 일반적인 특성중 연령(F=4.23, p=0.0210)및 모유수유 계획 여부 (F=5.05, p=0.0382)와 모유수유 실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수준)를 나타내었다. 3. 가설 '모유수유 목표달성에 합의한 제왕절개 초산모는 그러한 합의를 하지 않은 초산모보다 산욕초기 모유수유의 실천정도가 더 높을 것이다' 의 가설을 검정해 본 결과 모유수유 목표달성에 합의한 제왕절개 초산모는 그러한 합의를 하지 않은 초산모보다 모유수유 실천정도가 더 높게 나타나 가설은 지지되었다.(t=7.9987, p<.01). 모유는 아기에게 가장 완벽한 식품인데도 불구하고, 제왕절개 초산모는 제왕절개 분만후 입원기간인 산욕초기 동안에 젖이 돌기 시작하면서 수유에 대한 부족한 지식과 경험, 수술부위의 통증, 산욕초기 산모로서 의존적인 성향, 이 기간동안 나타나는 영아의 황달과 병원제도의 엄격한 수유규칙등으로 인해 모유수유를 잘 하지 못하고 모유수유에 많은 어려움과 유방통등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제왕절개 초산모들에게 모유수유 목표달성 합의를 해 보았더니 임상에서 모유수유 실천이 높고 산모들의 관심도 많았다. 그러므로 앞으로 임상에서 모유수유를 원하는 제왕절개 초산모들에게 구조적인 접근을 하는데 모유수유 목표달성 합의가 유용하다. 즉, 간호사는 제왕절개 초산모들이 입원해 있는 기간인 산욕 초기 동안 King의 목표달성 이론에 기초한 제왕절개 초산모와 간호사의 모유수유 목표달성도구를 적용함으로써, 초산모 스스로 모유수유 실천을 잘 할 수 있도록 성취감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목표달성 과정을 통해 제왕절개 초산모의 모유수유와 관련된 간호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1개 병원에 입원해 있는 제왕절개분만 초산모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모유수유를 하는 더 많은 제왕절개분만 초산모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모유수유 목표달성에 합의한 제왕절개 초산모들이 퇴원후에도 모유수유 실천을 잘하고 있는지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imipararous mothers-nurse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breastfeeding goals in the it' practice degrees of Cesarean section delivery.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breastfeeding goals would result in higher it's practice degrees of primipararous mothers of Cesarean section delivery. Nursing is defined as behaviors of nurses and patients that attain nursing goals through action, reaction, interaction, and transaction. For attainment of nursing goals, active participating transactions must be occured by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those goals through nurses and patients mutual goal setting and establishment of their active relationships(King, 1931;Ha, 1977). Based on King's theory of Goal attainment(1931), this study was plan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only design using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breastfeeding goals in early postpartum as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o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80 hospitalized mothers in early postpartum period who planing or hesitating to breast feed after primary Cesarean section delivery. The objects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n=40) who didn't agreement of on the means to achieve breastfeeding goals-thoes admitted from November 15, 1995, to january 14, 1996, and an experimental group who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breastfeeding goals in the breastfeeding practice-thoes admitted from january 15, to February 29, 1996. The instument for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breastfeeding golas in the early postpartum period included five step goal attainment process through action, reaction, and interaction with primipararous mothers; mutual early breastfeeding goal setting: sxploration of the mens to achieve goals; agreement on the means ; implementation of the mens. this instrument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King's elements that lead to transactions in nurse-patient interations. And the data was collected at dischage day(6-7 days) by self evaluation tool to all of 80 hospitalized mothers in early postpartum period. The data were analysed by using in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computerized program and included percentage, x-test, t-test and GLM(general linear models).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showed same quality by Statistical Analysis. 2. The degree of breastfeeding practice in experimental was considerably high(92.6). And aspect of Quastuanail, 「I'm washed my hand before breastfeeding」was considerably high(4.76), but rather low in 「Whenever baby want the breastfeeding, I tried breastfeeding that's interval was 2-3 hours 」(3.47). The degree of breastfeeding practice in control group : The most practice high score of answering was 「lovely smile and speaking send to baby during breastfeeding」(4.35), and The most practice low score of answering was 「If you stop the breastfeeding and hide your nipples from your baby, you must press down your baby's both cheeld」(1.47) Total Mean score of breastfeeding practice degrees was 71.50. 3. There was few difference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xpermental group and breastfeeding practice degrees that was hospital duration(F=17.42, p<.01). Because agreement on the means to achieve breastfeeding goals influence in the breastfeeding practice degrees. There was miner difference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ntrol group and breastfeeding practice degrees that was Age(F=4.23, p<.05), Breastfeeding Plan(F=5.05, p<.05). So, If practice of breastfeeding Nursing intervention, We must consider primipararous mothers of Age and hospital duration. 4. In the this study's hypothesis, that the higher degree of breastfeeding practice in experimental group, was supported(t=7.9987, p<.0l). There were miner difference on the breastfeeding practice degree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n each part of the area, breastfeeding methoed area(t=8.95, p<.01), Worth(t=37, p<.05), baby condition (t=4.81, p<.01), Mother's condition(t =3.96, p<.0l), Convrrsion of recognition(t=3.44 p<.01). So, experimental group's breastfeeding practice was higher then control group. Through this study, I'm sure that this study will be basic materials for systemic breastfeeding nurse-patient interaction and contribute to theory development about breastfeeding practice degrees of primipararous mothers Cesarean section delivery. And I suggest that the various kinds of studies about the more objects be done for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