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혜경-
dc.creator유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0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89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7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891-
dc.description.abstract교육이 수행하는 인간의 정신활동 성장의 영역 중, 정의적인 측면의 성장에 기여하는 교육활동이 음악교육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음악교육에 있어서 음악을 받아들이고 자기화 시키는 '음악적 귀'를 키우는 일에 일익을 담당하는 청음영역에 관심을 갖는다. 청음력은 음악적 창작활동은 물론 기악, 연주, 감상 등의 활동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의 청음교육 실태를 파악하여 청음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효과적인 청음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달성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려서부터 음악적 재능을 개발하여 음감을 발달시킨 예술계 중학생들과 일반적 음악교육을 받은 일반중학교 학생들의 음악교육 형태, 음악적 표현정도, 청음과 감상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일반중학교의 남학생과 여학생들 사이에 음악교육 형태, 음악적 표현정도, 청음과 감상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일반중학교 교사와 예술중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청음 수업현황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가지고 진행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중학생들은 가창에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청음훈련을 중시하고 있지 않으며, 예술계중학생들은 악기연주에 관심은 나타내고 청음을 중시하고 있었다. 두 집단간 청음에 대한 인식, 청음의 중요성, 필요성, 청음훈련시 어려웠던 점 등에서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는 여학생이 청음 교육을 더 많이 받았고, 청음에 대한 지식, 인식, 중요성 등은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청음의 필요성과 청음시 어려웠던 점에서는 두 집단간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음악적 표현 형태에서는 학교 종류에 따라 다장조의 4/4박자 가락표기, 3/4박자음의 리듬표기, 주요 3화음의 식별, 계명표기, 선율과 음의 기억 가능성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넷째, 성별에 따라서는 다장조의 4/4박자 가락표기, 3/4박자 음의 리듬표기, 주요3화음의 식별, 계명표기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선율과 음의 기억 가능성에서는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째, 학교특성에 따른 감상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없었고, 청음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별에 따라서는 감상과 청음 모두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음악교사들의 인식에서는 교사들이 모두 청음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으나 일반중학교 교사들의 경우 학생수준이나 실력차이, 많은 학생수, 기자재의 부족 등으로 청음교육의 진행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를 분석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중학생들은 예술계중학생들에 비하여 학교에서 청음교육 실시의 어려움으로 청음교육은 단계적으로 받지 못하기 때문에 청음을 어렵게 인식하고 있으며, 흥미도 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일반중학교에서 학생들의 음악적 성장을 돕기 위하여, 체계적인 청음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또한 효과적인 청음학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에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한다. 본 연구는 일반중학생과 예술계중학생 사이의 청음에 대한 태도와 실력 정도의 비교 였지만 성장 단계에 따라 음악교육을 시작하여 받은 학생들에 있어서 청음에 대한 태도와 실력정도를 비교하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는 학생들이 음악을 접한 시기에 따라 효과적인 청음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은 줄 것이다.;Music education is an action which contributes to the growth of emotion. This study is focused on music dictation which takes a part in developing musical-ear which receives and identified music. Ability of music dictation is very important in instrumental performances, and appreciation of music as well as musical composition. Thus,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music dictation and finding an effective education method of music dictation. The research established the following hypotheses: First, between students of art middle school who developed their musical sensibility from their childhood and students of ordinary middle school who did not, how much are they different in forms of the music education, the degree of musical expression, and the recognitions of music dictation and appreciation? Second, between boys and girls, is there any differences in forms of the music education, the degree of musical expression, and the recognitions of music dictation and appreciation? Third, what i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lasses that art middle school teachers and ordinary middle school teachers recognize? The result are: First, students of general middle school are more interested in singing than training ability of music dictation. But students of art middle school are interested in musical performance and music dict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ecognitions, importance and need of music dictation and difficulty of training dictation. Second, between sexes, girls have more education in music dictation than boys. And there was also statistical differences in achievement, recognition and importance of music dict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ed or difficulty of the music dictation. Thir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dictation of c major rhythm 4/4, 3/4 discrimination of the 3 primitive chords, dictation of melody, and the memory of melody by school. Fourth,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dictation of c major rhythm 4/4, 3/4 discrimination of the 3 primitive chords but no differences in memory of melody by sex of the students.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ppreciation of music b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ic dictation by school.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both appreciation and music dictation by sex of the students. Sixth, all teachers recognized importance of the music dictation but teachers of ordinary middle school express the difficulty of teaching due to different achievement among individuals, overpopulated class, and the short of equipment. The conclusions are: Compare to the students of Art school, Students of ordinary school recognize the dictation of music more difficult and loose interest in learning due to the failure of appropriate education. To help music education in ordinary school, we should carry out systematic music dictation education and make every effort to develop a program of learning music dictation. It has been studied so far the differences of achievements and attitudes between the students of ordinary and art middle school. It must be continued to study of achievement and attitude between students who begin their music education by age so that it helps to decide the most effective age to start education of music dict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음악교육의 목적 = 5 B. 청음 교육 = 7 C. 관련연구 = 23 Ⅲ. 연구 방법 = 26 A. 연구 대상 = 26 B. 연구 도구 = 27 C. 연구 절차 = 29 D. 연주 가설 = 30 Ⅳ. 연주 결과 = 32 A. 연구 대상자의 특성 분포 = 32 B. 학생들의 배경에 따른 음악적 실태 = 33 C. 교사들의 배경에 따른 청음에 대한 의견 = 52 Ⅴ. 요약 및 결론 = 66 참고문헌 = 70 부록 : 학생용 질문지 = 72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008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일반중학교-
dc.subject예술중학교-
dc.subject청음교육실태-
dc.subject음악교육-
dc.title일반중학교와 예술중학교의 청음교육실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music dictation through comparison between ordinary and art middle school-
dc.format.pagex, 9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