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7 Download: 0

텍스트의 수사구조가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문 독해에 미치는 영향

Title
텍스트의 수사구조가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문 독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Rhetorical Structure on Korean EF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in English
Authors
심지영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텍스트수사구조영어학습자영문독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hetorical structure on Korean EF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in English. By examining the role of rhetorical structure which represents the logical structure of a text and helps readers understand the overall organization of the text, this study pursues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ading process and suggests the necessity of rhetorical strategy training in an EFL classroom. This study also giv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comprehension test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hetorical structure on EFL reading comprehension, subjects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read three expository texts, either in good or in poor rhetorical form. The three texts have different organizational patterns such as collection of descriptions, causation, and contrast. The subjects also took tests which were differentially sensitive to macro level and micro level comprehension.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much better able to answer macro comprehension questions after reading the good versions than after reading the poor versions. However, the college students achieved similar scores on macro comprehension tests for both versions. Therefore, a significant effect of rhetorical structure was found only in low-level readers' macro comprehension. The effect of the transformation of rhetorical structure was the greatest in the causation type and the weakest in the collection of descriptions. This indicates that the causation is the most highly organized type and the collection of description is the least. Second, th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milar micro comprehension scores regardless of the rhetorical form of the text, good or poor. This result was the same with the college students. These suggest that rhetorical structure played no role in micro comprehension.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cro comprehension and micro comprehension of each text. This indicates that a text may be difficult to process at the micro level but not at the macro level, and vice versa. In conclusion, rhetorical structure has an effect on low level readers' macro comprehension rather than micro comprehension. The effect is most prominent when the text is structured in the causation type. The contrast type is the next effective and the collection of description is tile least. And macro comprehension doesn't correlate significantly with micro comprehen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f students use the rhetorical structure as the clues for macro comprehension their reading skill would improve. These also suggest that both macro and micro comprehension should be evaluated in comprehension tests. More research in general along the lines of the research pursued in this study--on the effects of rhetorical structure on EFL renders--is called for. Especial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role and interaction of factors that contribute to good rhetorical structure. At the same time, the empirical studies which actually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rhetorical structure should be conducted.;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의 수사구조가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문 독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논문은 영문 독해에 있어서 텍스트의 논리 구조를 인식하게 하는 실마리가 되어 글의 전반적인 요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는 수사구조의 역할을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독해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추구하고, 한국의 영어교육현장에서 더욱 효과적인 독해 지도와 평가를 하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실험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3학년과 대학교 2학년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수사구조의 변형이 독해에 미치는 영향력을 기술집합형, 인과형, 대조형의 3개의 구성유형별로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을 두 개의 동질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에게는 수사구조가 명확한 독해 지문을, 다른 집단에게는 수사구조가 명확하지 않은 독해 지문을 읽게 한 후 거시 수준과 미시 수준의 독해 측정 문항을 통해 이해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적 이해력 평가에 있어서 텍스트의 수사구조가 텍스트 이해에 끼치는 영향은 학습자의 영어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고등학생 집단은 모든 구성유형에서 수사구조가 명확하지 못한 독해 지문보다 수사구조가 명확한 독해 지문을 읽었을 때 거시 이해 점수가 높았으나, 대학생 집단의 경우는 모든 구성유형에서 수사구조 변형이 거시적 이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사구조의 명확성이 영어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의 거시적 이해를 돕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고등학생 집단의 경우 수사구조 변형으로 인한 점수 차가 큰 순서가 인과형, 대조형, 기술집합형으로 나타났으므로 한국인이 잘 인식하는 강한 구성유형의 순서는 인과형, 대조형, 기술집합형의 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미시적 이해력 평가에 있어서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 모두 독해 지문의 수사구조가 명확한 경우와 명확하지 않은 경우 간에 독해력 평가의 정답률은 모든 구성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텍스트의 수사구조 변형은 미시적 이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각 독해 지문에서 거시적 이해와 미시적 이해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개별 학습자에게 있어 독해 지문에 따라 전체적인 거시적 이해는 쉬워도 부분적인 미시적 이해는 어려운 독해 지문이 있는가 하면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독해 지문의 수사구조 변형은 미시적 이해보다는 거시적 이해에 영향을 끼치며, 수사구조 변형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구성유형은 인과형이고 그 다음은 대조형, 기술집합형의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수사구조의 영향력은 특히 영어수준이 낮은 고등학생 집단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거시적 이해를 돕는 수단으로서 텍스트의 수사구조를 단서로 이용하는 것이 독해에 도움이 되리라는 것을 간접적으로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거시적 이해와 미시적 이해의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독해력 평가에서 거시적 이해와 미시적 이해 두 가지 모두를 측정할 필요성을 시사해 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험 방식을 통해 독해시 수사구조의 역할을 종합적으로 조사 연구하였는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수사구조를 결정하는 개개 변수의 역할과 변수 간의 상호작용을 조사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리라고 본다. 또한 실제 수업 현장에서 수사구조를 파악하는 훈련이 독해에 도움을 주는지 검증하는 것도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고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