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건설현장의 환경디자인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Title
건설현장의 환경디자인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the possibility of applying environmental design to the constructing field
Authors
정봄아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 

광고디자인전공
Keywords
건설현장환경디자인forus-zone광고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hen we see around the urban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environment rises its head as an important problem. In other words, man began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as he turned his eyes to the outer world he could see and feel after perceiving himself. Modern age is an age of urbanization, and the tendency toward population influx into big cities and high density of it accelerates more and more everyday. In the case of Seoul, development has been too rapidly propelled disregarding its scale and only economic efficiency and functions emphasized that plans for harmonizing natural scenery, preserving, cultural relics and keeping alive zonal, regional characteristics have been neglec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urban appearace, discover phenomena and spaces which mar the scenery and grasp and analyze problems to solve them. Particularly, selecting constructing field as a subject was because of the seriousness of aggravation of urban environment by buildings and construction sites, so my aim was to inform this and solve the problem.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evant books and articles were referred. 1st Chapter : Presents issues to discuss and describes the purpose, realm and methods of studying. 2nd Chapter : Defines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design by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environment and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upon culture to reveal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design. Also investigates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current art to examine the people's changing sense about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aesthetics and explore methods of applying them to design. 3rd Chapter : Finds urban images and represented images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ose images and man. 4th Chapter : Examines the zonal characteristics of Seoul, Chong - ro as a subject of study with specific character of a constructing field. 5th Chapter : Sets up the aim of design based on the above investigation and examination and establishes the concept of design as modern one of the 20th century's genres of painting. 6th Chapter : Synthesizes and reviews presented designs for solving problem and finds validity and significance of study. Through the above process, this study tries to present some changes that have occured in the constructing fields and lead visual pollution of the urban environment renew it into a new urban space.;현대는 도시화시대(都市化時代)이며 대도시에 인구가 집중되고 고밀화되는 경향은 점점 가속화 되고 있다. 서울의 경우 도시 규모에 비해 개발이 너무 급진적으로 이루어지고, 경제성과 기능성에만 중점을 두어 주변 자연 경관과의 조화, 문화유적의 보전, 가로별 지역별 특성을 살리는 경관에는 소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미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도시인들에게 시각적 공해로 작용하는 현상과 공간을 발견하여 그 문제점들을 파악, 분석하여 그 해결안을 찾아내는데 근 목적을 둔다. 특히, 건축공사현장을 대상지로 선정한 것은 대도시내의 대부분 공간을 차지하는 빌딩군과 그것을 구축하는데 필수불가결한 공사현장이 도시환경미화의 악화에 미치는 심각성을 알리고 그 해결점을 찾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것을 형상화 시키는 방법들에 대해 관련서적과 논문을 통해 고찰하였다. 제 1장 : 연구의 문제 제기와 목적,그 범위와 방법을 기술한다. 제 2장 :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통한 환경디자인의 개념을 인식하고 환경이 문화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아 환경디자인의 중요성을 밝히려 한다. 현대미술에 나타난 환경적 특성을 고찰하여 변화하는 환경의식과 환경미학에 대해 연구하여 디자인에 적용할 방법을 모색한다. 제 3장 : 도시가 갖는 이미지와 그것이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재창출되는 이미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 디자인적 측면에서 도시의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을 살펴본다. - 그래픽 디자인의 방법으로서 범위를 한정시킨 개념으로서 좀더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제 4장 : 건축공사현장이라는 특수성을 지닌 대상지 선정에 따라 서울, 종로, 대상지의 특성과 문제점을 알아본다. 제 5장 : 위의 연구를 근거로 하여 디자인에 필요한 디자인 목표를 설정하고, 디자인의 컨셉을 20세기 회화쟝르의 모더니즘으로 잡아 그 개념을 정립한다. 연구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의 해(解)로서 패턴언어를 도출, 적용하여 도시 공간디자인을 위한 모형사례로서 본 연구의 해결안을 제시한다. 제 6장 : 해결안으로서 제시된 디자인에 대한 종합 및 검토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과 의의를 찾는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건축현장의 변화를 제시함으로써 심각해져가는 도시환경의 시각공해를 새로운 도시공간으로 거듭나게 유도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