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정-
dc.creator이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6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78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6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788-
dc.description.abstract의상은 그 시대의 문화적 배경과 의식을 반영하며 표출하는 밀접한 문화매체이다. 이제 의상은 단순한 기능적 측면 이외에 착용자의 의식과 심성을 반영하여 그 시대의 사회적 분위기를 나타내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화적 매체인 의상을 통하여 자연을 동경하는 인간의 심성을 표현하고자 자연물과 인공물의 사진형 이미지를 비치는 소재의 겹침을 통해 초현실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문화적 매체로서의 의상의 가치를 인지하고 의상 디자인의 표현영역을 넓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문헌고찰을 통해 표현 미디어로서의 사진의 특성 및 투시에 의한 중첩효과와 이에 따른 초현실적 표현을 살펴보고 작품을 고찰하였으며, 또한 이와 같은 사진형 이미지가 작품에서 표현될 수 있는 프린트 기법 및 그 응용 의상작품과 비치는 소재의 겹침 효과를 응용한 의상작품을 표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실물 작품 8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현 미디어로서의 사진은 사진만이 창출할 수 있는 사진적 시각으로 그 표현영역의 폭이 넓으며 작가의 내적 의도가 쉽고 빠르게 전달됨이 인지되었다. 둘째, 프린트의 표현영역에 있어서 사진의 응용은 그 적용범위가 넓고 기호화, 패턴화된 이미지보다 메시지의 전달이 빠르고 효과적이었으며, 이미지 표현기법으로 사용된 실크스크린염과 잉크-젯 프린트는 이미지가 사실적으로 표현되기에 적합하였으나 잉크-젯 프린트는 제작후 견뢰도가 약해 기술적 연구가 필요함이 인지되었다. 셋째, 투시에 의한 중첩(Overlapping)은 전체적이고 동시적인 시각적 효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로 제작된 초현실적 표현은 이미지를 은유적이고 상징적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하였다. 넷째, 비치는 소재(See-through)를 통한 투시의 공간적 표현은 시각적 형상으로부터 깊이를 가진 공간, 투시적 일루젼(Illusion)을 느낄 수 있으며 움직임에 의한 변화를 느낄 수 있었다. 의상 디자인의 표현방법에 있어서 메커니즘(Mechanism)을 이용한 적용매체의 개발이 그 표현영역의 확대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실제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기법연구에 대한 디자이너의 보다 적극적인 활동이 요구되어진다.;Fashion provides a snap shot, of a particular period's cultural influences and mores. Moreover, by observing the fashion we can learn much about the life style of a society during the period in question. In today's world where there is much concern about our nature and environment, people long to return to a simpler and more natural way of life. The goal of my study is to provide a medium through which fashion can be employed for expressing the society's views and values.(for example, restoration of nature) In order to complete this study works of photographic art embodying the concept of visually overlapping images and textile design techniques were collected and analyjed. Out of this study 8 pieces were produced. The result of my study can be summarijed along 4 lines of thought: First, using photographs as part of fashion design provides an easier way to understand what the artist is attempting to convey. Second, while silk screen and ink-jet printing allows for clear images, once incorperated into the textile the resolution tended to be of unsatisfactory quality. A more sophisticated method must be developed to maintain the original resolution. Third, the technique of ovelapping images made it possible to convey surrealistic concepts. Fourth, using transparent fabric it was possilbe to enhance the surrealistic images with other illusions. While this study clearly shows the possibilities of producing surrealistic imag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photographic images and fashion design. More research is needed in not only refining the technique of producing this fashion medium but also, in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his design concept into a more practical for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ⅹ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사진 = 3 (1) 표현미디어로서의 사진의 특징 = 3 (2) 사진형 프린트 염 = 13 (3) 사진형 프린트염을 응용한 의상 디자인 = 20 B. 중첩 (Overlapping) = 25 (1) 투시에 의한 중첩이미지 = 25 (2) 이중 이미지의 초현실적 표현 = 28 (3) 공간적 투시를 응용한 의상 디자인 = 35 Ⅲ. 작품제작 = 40 A. 작품제작 의도 및 방법 = 40 B. 작품 및 작품해설 = 41 Ⅳ. 결론 및 제언 = 85 참고문헌 = 87 ABSTRACT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0020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중첩 이미지-
dc.subject초현실적 표현-
dc.subject의상 디자인-
dc.title중첩 이미지의 초현실적 표현을 응용한 의상 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진형 프린트의 공간적 투시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Fashion design utilijing overlapping surrealism-
dc.format.pagexiv, 9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nbsp-
dc.identifier.major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