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인옥-
dc.creator이인옥-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6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7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6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787-
dc.description.abstract20세기 이래로 현대 디자인은 자본주의의 경제체제에 기반한 '예술 민주화'를 통한 공리적 서비스에 그 이념적 뿌리를 두고 있다. 때문에 모든 논의의 중심은 그러한 가치를 유지시키고 전개시키기 위한 '방법과 테크닉'의 문제들(how to design)에 초점이 모아진다. 그것은 고정된 또는 규범화된 가치내에서 엄격한 테크닉의 타당성과 방법적 원리 그 자체로 디자인 이론의 주된 성격을 설정해 왔다. 이러한 도구적 이론들은 인과관계를 밝히지 않으므로 사회-경제-정치 그리고 예술적인 총체적인 변화에 무기력한 개념적인 한계를 갖는다. 디자인의 본질은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원리들에 놓여지는 것이 아니라 특정 문화권내에 독특하게 형성되어진 어떤 존재양식의 전형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존재 양식의 전형에 대한 인과관계를 밝히고 이에 대한 이해를 의사소통 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미디어 사회, 소비자 사회, 후기산업사회, 포스트 모던사회등으로 불리는 지금의 시점은 디자인의 영역에 사회, 문화, 예술의 총체적 맥락이 포함되어져야 할 시기이다. 따라서 현대인이 일상적으로 부딪히는 문화에 기반하여 예술과의 상호작용으로 그것을 승화하는 작업이 시도되어야 할 시점이라고 본다. 본 연구는 문화와 예술과 환경의 상호소통이라는 주제하에 환경디자인의 개념적 확대와 디자인 언어의 확장을 꾀하였으며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대중사회의 대중문화의 개념과 정의, 그것의 비관론과 낙관론을 비교 고찰하였다. 2. 대중문화의 이미지를 차용해 미술영역의 확장을 꾀한 POP ART사조를 연구하여 그것의 일상성, 미적차원, 대중성의 미학을 환경디자인의 개념적 차원으로 확대시킨다. 3. POP ART의 개념이 구체적으로 환경디자인에 미친 영향과 표현되어진 양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4. POP ART의 개념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양상과 그 현황을 살펴보았다. 5. 대중문화와 특수한 부분문화의 맥락에서 대상지를 선정하여 연구된 이론을 공간화 하였다. 6. 공간화의 과정은 개념적인 접근을 우선으로 하고 기능적인 구성으로 보완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 '현실'의 맥락으로부터 형태를 취하는 예술은 인간의 삶으로부터 유리됨이 없이 일체가 되고, 문화, 사치적 환경과 공간적 환경이 상호소통하는 체제는 결국 환경의 개념적 확대와 질적인 향상을 초래함을 알 수 있었다. 소통의 질서는 미래의 환경디자인이 지향해야 할 바이며, 미래에 대한 새로운 미학의 가능성과 방향성의 제시였음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Since the tum of the 20th century, modem design has had its ideological root in public service through democratization of art, which is based on capitalistic market system. So most discussion has been focused on ways and technique-that is, how to design-to maintain and expand such values. It has defined strict technical validity and methodological principles as the main character of theory of design within the boundary of fixed or customized value system. Since such methodical theories do not establish causal relations, they have languid conceptual limit in responding to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artistic changes in general. The nature of design does not lie in the constructing principles. Rather it is formed by certain existing patterns, which are particularily developed within a certain cultural boundary.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causal relationship of raw model of existing patterns and to communicate the understanding of it.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 the current era, which is called media society, customers ' society, post -industrial society, and post-modern society, is the era in which social, artistic, and cultural aspects should be included in design as a whole. Thus I see that, based our understanding of culture, now we should sublimate design in art synergistically. Under the theme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art and cultur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onceptual expansion of environmental design and lainguage of design. It has been processed as follows: a. Review of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public culture in public society and comparison and contrast of passimism and optimism of it; b. Expansion of public aethetics and artistic asepct of Pop Art into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design; c. Review of the impact and expressed patterns of Pop Art in detail; d. Review of the continued patterns and its current status of Pop Art up to the current period; e. Identification of the place of Pop Art against the backdrop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culture and a particular part of sub -culture ; f. "Conceptual approach first, then functional structure secon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 found that art, which finds its forms of expression in reality, cannot be separated from our daily life and tends to be integrated as one. Mutual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spacial environment and cultural/social environment, in turn, invites conceptual expansion and qualitative improvement. The future environment design should be directed towards order in communication. The value of this research lies in that it has suggested new directions and possibility of aethestic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1. 서론 =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2. 대중문화에 대한 일반적 고찰 = 4 2.1. 대중의 개념 = 4 2.2. 엘리아스 카네티(Elias Canetti)의 대중에 대한 분석 및 해석 = 5 2.2.1. 대중의 형성과 환경과의 관계 = 5 2.2.2. 대중의 종류 = 6 2.2.3. 대중의 내적 작용 = 7 2.3. 호세 오르테가 이 가제트(Jose´ Ortegs Y. Gasset)의 대중인의 특성 = 7 2.4. 대중문화의 비관론 = 8 2.5. 대중문화의 낙관론 = 10 2.5.1. 대중매개문화의 특성 = 11 2.5.2. 대중매개문화의 구조 = 12 2.5.3. 지그문트 바우먼의 구조적 해석 = 13 2.6. 대중문화와 예술 = 14 3. POPART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7 3.1. POP ART의 미술사적 배경 = 17 3.1.1. 후기 현대 미술의 양상 (사회 현상적 측면) = 17 3.1.2. 추상표현의 쇠퇴와 아쌍블라쥬의 등장 = 20 3.1.3. POP ART의 전개 = 24 3.2. POP ART의 일상성의 개념 = 29 3.2.1. 팝작가들의 다양한 일상성 = 31 3.2.2. 미학적 차원의 일상성의 의미 = 39 3.2.3. 현실적 차원의 일상성의 의미 = 40 3.3. 팝아트의 기호성 = 41 3.3.1. 기호와 상징 = 41 3.3.2. 기호와 상징의 기능 구분 = 43 3.3.3. 팝아트 작품에 나타난 기호표현 = 43 3.4. POP ART의 KITSCH 개념 = 49 3.4.1. 키치의 어원 = 49 3.4.2 키치와 환경 = 49 3.4.3. POP ART에 있어서의 KITSCH = 52 4. 건축에서의 POPULISM = 56 4.1. 포스트 모더니즘과 POP ART = 56 4.2. 대중주의 건축 = 57 4.2.1. 로버트 벤츄리 (Robert Venturi) = 57 4.2.2. 찰스무어 (Charles Moore) = 61 4.3. 아키그램의 전위적 건축 = 64 4.3.1. 아키그램의 전위적 개념 = 64 4.3.2. 아키그램에 대한 반론 = 66 4.4. SITE의 환경건축 = 67 4.4.1. 예술의 복합화 개념 = 67 4.4.2. 대중적 언어와 환경의 예술화 = 68 4.5. POST POP의 현대적 제 양상 = 71 4.5.1. 하이퍼리얼리즘 = 71 4.5.2. 패터닝과 데코레이션 페인팅 = 73 4.5.3. 뉴이미지 페인팅 = 76 4.5.4. 설치미술 (Installation) = 78 5. 디자인 프로그래밍과 공간적 적용 = 84 5.1. 디자인 개요 = 84 5.2. PROGRAMING = 85 5.2.1. 대상지의 선정 = 85 5.2.2. 대상지의 문화환경적 분석 = 86 5.2.3. 대상지의 이용형태에 따른 분석 = 89 5.2.4. 대상지의 주변 건축 스타일의 분석 = 95 5.2.5. 디자인의 목표 설정 = 96 5.3. DESIGNING = 97 5.3.1. 공간구성의 기본계획 = 97 5.3.2. 공간구성의 개념적인 접근 = 98 5.3.3. 기능적 접근 = 102 5.3.4. 공간적용에 따른 해결안 = 116 5.4. 종합 및 검토 = 136 7. 결론 = 139 참고문헌 = 143 ABSTRACT = 1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9746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대중문화-
dc.subject환경 예술-
dc.subjectpop art-
dc.subject환경디자인-
dc.title대중문화의 관점에서 본 환경 예술로서의 pop art와 환경디자인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op art as an enviromental art through the view of popular culture and the application of space design-
dc.format.pagexi, 14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