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영미-
dc.creator서영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6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7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6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785-
dc.description.abstractAs the era of urbanization in present modern cities, the trend toward high density of population in a big city have been increasing more and more. According to the rapid growth of a city and the lives of automobilism, the human being, a real master in a city, is intimidated with a lofty buildings and speedly automobiles in fact. It means that the human being is under the control of the loss of humanity and the inhuman elements. The city environment offers the field of experience through one's life and public environment which can satisfy diverse demands to the citizens. In other words the open space in the city environment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creative life space which it brings personality and value to men's activity. Therefore, the open space which can service a safe activity space to the pedestrians in cities means the re-establishment of human environmen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human-centered environment by an extract, application and designing of some pattern languages through the understanding, analysing , and solving the city environmental problems. On this background, the procedure and approach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is study considers its problem definition, outline of the purpose, extend of research and description of them. 2. To help an understanding the theme of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theoretically the related books and studys on the city environment. ㆍ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open space in the city environment, investigating the general idea and social part on the open space. ㆍStudying the significance and component elements on the classified plaza, park and street of open space. ㆍConcretely studing contents set limits la the open space only for the pedestrians. ㆍBased on the city environmental matters, this study presents the basis of design modeling. 3. According to selecting space which has local characteristic as an university street, this study considers the concept and function of university culture to construct the cultural environment of university culture.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some problems by an observation1 and data base on the autskerts of university. 4.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design method and the basic design plan as an advance project for an environment design. ㆍ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other to solve the design problems, this study considered on pattern language composed of positive theory appling the semi-scientific rule. ㆍIn advance this study examines some present conditions on selecting space before the step of design, studying plans for design as putting in other some problems by an observation and data base. 5. Based on the fore-theory, this study suggests a experimental model of design. ㆍThis study presents a settlement to apply some pattern languages as an experemental model for an environmental design of open space. ㆍThis study has a propriety and significance by synthesizing and investigating on the evaluation of the design outcome. 6. Finally, this study comes to a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a special meaning on making the open space within a city in point of being able to set a high value on the quality of men's life.;현대는 도시화시대(都市化時代)이며 대도시에 인구가 집중되고 고밀화(高密化)되는 경향은 좀처럼 늦추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도시의 급속한 팽창과 자동차의 생활화로 인하여 도시의 주인인 인간은 도시내에서 쾌적한 생활여유 공간을 확보하지 못한 채 고밀화·고층화된 건물군과 혼잡스럽게 질주하는 자 동차에 위협받고 있으며 이는 인간성의 상실과 비인간적인 요소가 인간을 지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도시환경은 도시생활인에게 있어서는 일생을 통한 경험의 장이되고 다양한 시민요구를 서비스하는 공공환경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도시환경에서 오픈 스페이스는 인간이 영위하는 활동에 성격과 가치를 부여해주는 창조적인 생활공간이다. 그러므로 도시내에서 인간적인 스케일을 가지고 보행인의 행동의 자유를 보장할 수 있고 쾌적하고 즐길 수 있는 오픈 스페이스는 인간적 환경의 회복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환경과 보행공간으로 구성되는 오픈 스페이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도시민이 쉽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삶의 질적인 향상을 위하여 도시환경의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문제해결을 통해 패턴언어를 도출하고 적용하며 디자인해 봄으로서 도시환경에 활기를 주고 인간 중심의 환경을 구축한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사회의 교육·문화적 측면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는 대학가를 대상지로 선정한 것은 대학 역시 도시내에 위치함으로서 현대 도시가 갖는 도시 환경 악화에 따른 문제점들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향락적이고 소비지향적인 문화의 팽창으로 건전한 대학문화 형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므로 오픈 스페이스 확보를 통하여 건전한 대학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지역적으로도 쾌적한 환경 창조의 가치를 가지는 환경기자인의 모형 사례를 제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과 과정을 거쳐서 진행하였다. 제1장 : 연구의 문제 제기와 목적, 그범위와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2장 : 연구 주제 설정 이유를 위한 근거로 도시환경에 있어서 오픈스페이스에 대하여 관련서적과 논문을 통해 고찰하였다. · 오픈 스페이스의 일반적 개념과 사회적 역할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서 도시환경에 있어서 오픈 스페이스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 광장, 공원, 가로의 세 종류로 오픈 스페이스를 구분하여 그 개념과 구성 요소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 보행자공간으로서의 오픈 스페이스로 범위를 한정시킨 개념으로 좀더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 도시환경에 대한 문제점을 발견함으로서 디자인 모형제시의 기초를 확립한다. 제3장 : 대학가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지닌 대상지 선정에 따라 대학문화와 주변지역의 문화환경 조성을 위하여 대학문화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대학가 주변환경에 대하여 관찰과 자료를 근거로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제4장 : 환경디자인을 위한 사전계획으로 이론적 디자인 방법을 연구하고, 디자인을 위한 기본적 계획을 제시하였다. · 디자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준과학적 법칙을 적용하는 실증적 이론을 바탕으로 한 패턴언어를 사용하기 위하여 그 이론적인 내용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 디자인단계에 앞서 대상지 선정에 따른 여러가지 현황에 대한 조사를 하고, 관찰과 자료를 근거로 하여 문제점을 정리함으로서 디자인을 위한 기본계획을 확립하였다. 제5장 : 앞의 연구를 근거로하여 디자인 모형 사례를 제시하였다. · 연구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의 해(解)로서 패턴언어를 도출, 적용하여 오픈 스페이스 환경디자인을 위한 모형 사례로서 본 연구의 해결안을 제시한다. · 해결안으로서 제시된 디자인에 대한 종합 및 검토를 실시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과 의의를 찾는다. 제6장 : 결론을 내림으로서 연구를 맺는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심각해져 가는 도시문제의 해결책으로서 오픈 스페이스의 확보를 통하여 인간에게 정서적인 만족을 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도시민의 문화적 흐름까지도 바꿀 수 있는, 건전한 인간생활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서 그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디자인 사례를 제시해 봄으로서 보행 자 중심으로 계획되어진 도시 오픈 스페이스는 도시민의 삶의 질(Quality of Life)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도시내 오픈 스페이스의 조성에 관한 연구의 가치와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목차 = ⅳ 제1장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제2장 도시내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에 관한 일반적 고찰 = 4 2.1. 도시내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의 일반적 개념 = 4 2.2. 도시내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의 기능 = 7 2.3. 오픈 스페이스의 유형 = 9 2.4. 보행자공간으로서의 오픈 스페이스 = 20 2.5 오픈 스페이스로서의 보행자공간의 현황 및 문제점 = 34 제3장 대학문화와 주변환경 = 36 3.1. 대학문화의 개념과 기능 = 36 3.2. 대학문화와 대학환경 = 37 3.3. 대학문화 창출과 주변환경 = 38 3.4. 대학주변 환경의 실태와 문제 = 41 제4장 환경디자인을 위한 사전계획 = 46 4.1. 실증적 이론에 의한 준과학적 접근방법 = 46 4.2. 디자인을 위한 기본계획 = 53 제5장 디자인 모형 사례 연구 = 64 5.1. 디자인 단계 = 64 5.2. 패턴언어에 의한 공간디자인 = 70 5.3. 디자인 시각화 = 82 5.4. 종합 및 검토 = 98 제6장 결론 = 101 참고문헌 = 104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567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도시환경-
dc.subject오픈 스페이스-
dc.subject디자인-
dc.title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오픈 스페이스 디자인 모형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대학가 문화광장 조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xperimental modeling of the open space design for an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dc.format.pagex, 11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