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승희-
dc.creator김승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4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5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64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542-
dc.description.abstract예술이란 인간 정신의 근원적인 표현활동으로써 인간 내부의 강한 표현 욕구가 가시적으로 표출된 것으로 대상에 대한 예술가의 심상수용에 따라 다양한 양식으로 나타난다. 현대의 조형예술은 대상에 대한 외적인 재현이나 소재 선택의 편협함에서 벗어나 작가의 내면세계에 기초한 주관적인 조형언어로 창조적인 조형세계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염색공예는 섬유예술의 한 분야로서 과거의 기능적 의도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소재와 기법을 개발하고 작가의 내적 주장에 의한 미적표현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자연의 많은 표현 대상중에서 돌의 집합을 표현 소재로 선정하고 이를 복잡한 현대사회의 지친 인간군상으로 비유하여 2차원의 평면위에 3차원의 입체공간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염색회화로서의 조형적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서, 예술에 대한 본질과 표현에 대한 개념, 자연을 소재로 표현한 근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작가들의 작품세계에 대한 미술사적 고찰과 본인의 작품에서 조형적 기반의 표현요소인 입체와 공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실제 10점의 염색 작품을 제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첫째, 자연은 미적 표현의 대상으로써 무한한 가능성을 갖고 있으며, 예술가는 자연 대상을 단순하게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세계와 결합하여 인간적 내용으로 형상화할 수 있으며 입체와 공간이라는 조형적 표현방법을 통해 대상을 재구성하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다. 둘째, 자연대상을 형상화하기 위한 표현방법으로 염색 기법중 납방염과 스크린 프린트기법을 혼용하여 사용하였는데 납방염기법은 단계적인 방염과 염색에 의한 색의 농담 변화로 입체의 깊이와 확장된 공간감을 표현하는 데 적합하였으며, 스크린 프린트 기법은 대상이 갖고 있는 독특한 형과 질감을 표현하는 데 적합하였다. 따라서 작품을 제작하는 데 있어서 기법의 선택은 한가지 기법에만 의존하지 않고 혼합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염색공예의 다양한 표현가능성을 재확인 하였다. 세째, 섬유예술에 있어서 현대의 염색공예는, 다양한 소재의 선택과 재료, 기법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와 개발을 통해 섬유라는 매체가 갖는 표현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꾸준한 창작활동을 통한 새로운 조형세계를 구축하여 현대의 조형예술로써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작품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 철저한 작가정신에 의한 조형세계를 추구 하고자 한다.;Are that is the basic expression activity of the visual revelation of strong desire to express human mind and something inside human being, is shown in many different froms according as how the artists perceive the images of the objects. Now, modern plastic art has freed itself from the only exteoir reproduction of objects and from the restricted choice of materials and it is pursuing the creative plastic art world in subjctive formative terms from the inner world of artists. In this context, dyeing craft art has got out of the past functionalism only as a part of fiber art and has freely developed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now has forcused on the aesthetic expression by the artist's intrinsic motivation. Thereupon, I've chosen the group of stones as objects of expression from many natural expression resources and by comparing this to the tired group of people living in a three-dimention on the panel, pursuing the plastic possibility as a dyeing painting works 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achieve this, I have surveyed the essence of art, the notion of expression, art history about the various works of the artists who expressd nature as object from modern to contemporary ages and cube and space that are the formative bases of my works. On the ground of these theories, I produced 10 works, analyzed them like this. First, nature has infinite possibility as are object. Therefore artists can manifest nature not as a mere reproduction but as the humanistic meaning conbined with the artists' inside and can reorganize the object in the way of the plastic expression method such as cube and space. Second, as an expression techinque to embody the natural objects, I co-used Batik dyeing and Screen print from the dyeing techniques. Batik dyeing technique produced change of shades of colors by the gradual repetition of dyeing hence it was proper to express the depth of cube and extending sense of space. And screen print technique was appropriate to express the unique shape and textur of objects. Therefore while producing works, by using different teachniques not one, I reconfirmed the various possibility of expression. Third, modern dyeing crafts art in fiber art should overcome the limitation of expression which fiber has in itself by the diversification of objects and constan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chniques. And it has to enlarge its domain as a modern plastic art by the steady creative activity I intend to pursue the palstic art and which based on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works and sought the soln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및 연구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예술과 표현 = 3 B. 대상의 재현과 변형 = 6 C. 공간적 재구성을 위한 조형요소 = 12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19 A. 작품의 형성 = 19 1. 표현대상-소재 = 19 2. 표현재료 및 기법 = 29 3. 제작과정 = 30 B. 작품 분석 = 32 Ⅳ. 결론 = 52 참고문헌 = 54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664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자연대상-
dc.subject공간적 재구성-
dc.subjectnatural objects-
dc.title자연대상의 공간적 재구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작품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special reconstruction of the natural objects : Centering on the products of Works-
dc.format.pagev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