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1 Download: 0

장애유아의 일반유치원 통합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도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비교

Title
장애유아의 일반유치원 통합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도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 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s of Special and Kindergarten Teachers about Importance of Skills necessary for Mainstreaming in kindergarten of Children with Handicaps
Authors
장대은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Keywords
장애유아일반유치원 통합특수교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장애 아동의 교육이 특수교육 현장에서 일반교육 현장으로 점차 옮겨져 가고 있다. 이 두가지의 서로 다른 교육적 환경 사이에는 교육과정적 요구, 교수방식, 행동적 기대, 물리적 환경의 배치, 아동들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양상 등에 있어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통합교육을 준비하는 차원에서 이러한 두 환경간의 차이에 대해 보다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장애를 가진 아동의 일반 유치원 통합교육이 보다 성공적일 수 있기 위해서는 변화된 환경적 특성과 미래의 통합환경에서 요구되는 행동기술들에 대해 잘 알고 있는 교사에 의해 장애아동의 준비와 통합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의 통합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특수교사 집단과 일반유치원 교사집단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두 교사집단에 대한 각각의 변인에 따라 구체적으로 어떠한 기술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일반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서울 시내 23개 조기교육실 및 복지관에 재직중인 특수교사 111명과 16개 일반유치원에 근무하는 99명의 일반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유치원 통합준비를 위해 기대되는 기술’척도를 가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는데, 장애유아의 통합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도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유치원 교사집단의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서 t-test를, 장애유아의 통합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성 인식이 교사의 전공여부와 통합경험 유무의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각각 t-test와 two-way ANOVA를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유아의 통합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특수교사 집단과 일반유치원 교사집단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기술 전체에 대한 평균점수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기술에 따른 두 교사집단의 중요성 인식을 비교해 보면, 독립생활 기술, 지시따르기, 장소이동에 대한 적응, 자조기술, 집단활동에 대한 참여, 교실내 규칙 준수하기 등의 기술에 있어서 특수교사가 일반유치원 교사보다 장애유아의 통합을 위해 필요한 기술로서 그 중요도를 더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교사의 변인으로서 교사의 전공여부와 통합경험 유무에 따른 장애유아의 통합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에 대해 특수교사 집단과 일반유치원 교사집단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전공여부가 통합준비기술의 중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특수교사의 경우, 학업적 기술과 의사소통 기술(수용언어)의 중요성에 있어서 비전공 교사가 특수교육을 전공한 교사보다 유의하게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경험 유무에 대해서는 두 교사집단의 통합준비기술 중요성 인식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가 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장애유아의 통합준비기술에 대해 덜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집단과 통합교육 경험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볼 때, 통합교육 경험이 없는 교사일수록, 특수교사일수록 장애유아의 통합에 필요한 기술에 대해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장애유아의 통합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성 인식에 있어 두 교사집단이 유사한 견해를 갖고 있었으며, 기술영역에 따라 부분적으로 특수교사는 장애유아의 통합을 준비시키는데 있어 일반유치원 교사가 기대하는 것 보다 더 많은 기술교육에 대한 부담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통합교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사의 변인에 대한 연구결과에서 교사의 전공여부는 특수교사와 일반유치원 교사 각 집단에 대해 통합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도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통합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변인에서는 통합교육 경험이 없는 교사가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 통합을 위해 더 많은 기술습득을 장애유아에게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교사의 통합교육 경험은 장애유아가 일반유치원 환경에서 갖추어야 할 기술영역들을 많이 정하지 않고 반드시 요구되는 기술목록들만 선정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장애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가능하게 하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를 교육하는 교사의 장애아동의 일반유치원 통합에 필요한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큰 차이가 없었음에 대해서는 장애유아의 통합을 준비하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한 현상이라 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나타난 기술영역에서의 두 집단간 인식의 차이는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 극복해 나가야 할 현행 과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해 나가기 위해서는 특수교사와 일반유치원 교사를 위한 교사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일반유치원 통합에 대한 다양한 경험들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발달과 이들이 가진 기술에 대해 보다 명확한 이해를 할 수 있기 위해 두 교육분야가 서로 긴밀한 연계를 가질 수 있어야 할 것이다.;With increasing frequency, handicapped children are moving from preschool handicapped teachers education to regular education placements. These two educational settings often differ in curriculum demends, teaching style, behavioral expectations, physical design, social interaction patterns. Successful transitions for preschool children with handicaps to integrated kindergartens may be promoted by teachers who know the setting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demands of future mainstream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