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6 Download: 0

조선 조각보의 문양에 나타난 추상성

Title
조선 조각보의 문양에 나타난 추상성
Other Titles
Archetype and symbolization in chogakpo of the chosun period
Authors
권정은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조선조각보문양추상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세기 말의 현재는 다양한 미술양식이 공존하면서 표현의 새로운 실험이 계속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그 많은 표현 양식 속에서도 개인과 문화, 시대를 초월하여 공통된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칼·융(C.G.Jung)은 이러한 현상을 '원형'의 개념으로 설명했는데, '과거'와 연결된 인간의 정신이 인간 무의식 속에 선재(先在)되어 있어서 인간은 개인을 뛰어넘는 공통된 집단 무의식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19세기 이조시대의 조각보에 담겨진 우리민족의 집단 무의식-원형은 무엇인지 고찰하고, 이 조각보와 시대와 문화가 다름에도 형식상 많은 유사성을 보이는 몬드리안과 클레의 추상회화를 비교하여, 민족의 원형을 넘은 미술 원형의 궁극적인 귀결점을 살펴보았다. 조각보는 당시 여인들이 여가생활 삼아, 또한 폐물을 이용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제작된 것이지만, 그 안에는 우리 민족의 원형이 무의식적으로 상징화되어 나타나 있다. 그것은 조선시대의 지배사상인 유교와 우리 전통의 자연주의 사상 및 무속 신앙이 융화된 것으로 조각보의 색채와 형태를 통해 드러나 있다. 그 중, 대표적일 것이 '음양오행설'로서, 특히 오색을 중심으로 조각보의 색채가 구성되어졌다는 점과 조각천의 형태가 원형과 사각형으로 크게 구분되고 있으며, 사각형은 또한 삼각형과 함께 구성되기도 한 점이 그 예이다. 음양론은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상징의 기본법칙인 '이원론'과 같은 모습을 갖는데, 특히 원과 사각형은 세계적으로 공통되게 나타나는 이원성의 대표적 상징이다. 그리고 모든 상징은 '이원의 합일', 즉 '우주의 조화'를 나타내고자 한 인간 정신의 반영을 담고 있으며, 오행설 역시 우주를 관장한 다고 보는 다섯 가지의 자연세력의 순환과 안정을 설명한 우주의 도식이다. 결국, 조각보 안에는 우리 민족의 원형과 함께 세계적으로 공통되는 인류의 원형이 함께 담겨 있는 것이다. 조각보와 유사한 형식의 추상회화를 제작한 몬드리안은 신지학의 영향과 그의 신조형주의 이론에 입각하여 만물을 이원론적인 시각에서 바라보았다. 그리하여 눈에 보이는 자연물이 아닌, 그 안에 감추어진 자연의 보편성을 찾고자 했다. 그가 사용한 수직·수평선은 만물을 이원성으로 이해한 것의 결과였으며, 그는 '개인적인 것'이 아닌, '객관성'과 '보편성'의 추구를 위해 기본 삼원색과 세가지 무채색으로 색사용을 제한하였다. 클레의 회화 주제는 '우주'였다. 왜냐하면 그 역시 회화는 개성을 초월한 인간과 예술의 근원적인 차원으로 회귀되어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는 그러한 보이지 않는 세계의 법칙을 위해서, 선과 색 그리고 명암이라는 순수 조형요소를 이용하였는데, 특히 선과 색의 대립과 조화는 우주의 원칙과 조화를 뜻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자연의 가장 구조적인 리듬의 표현 수단으로 수직선과 수평선을 내세웠는데, 그 역시 우주는 이원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서로 어울리면서 통일체로 되어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의 수직선관 수평선의 어울림은 격자무늬의 구조를 가진 색채 구성 회화를 만들게 된 것이다. 결국, 융의 말처럼 인간의 정실은 민족의 과거, 인류의 과거, 나아가서는 모든 생물의 과거와 연결되어 있고, 그것은 궁극적으로 '우주'에 귀결되므로 누구에게나 우주의 조화에 대찬 인식은 내재되어 있는 것이라. 그러므로 "미의 원형"은 인류의 집단 무의식에 내재된 '우주 조화의 인식'이다. 그리고 그것은 예술을 통해서 가장 잘 드러나며, 특히 추상형의 상징을 통해 표면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미술의 비전문가인 보통 여성에게서 제작된 이조시대의 조각보가 현대 추상 회화와 공통성을 갖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라 하겠다.;Today, new ways of artistic expression are being sought amidst the coexistence of various artistic styles. Among such styles, one can discover that the sense of beauty represents one common element which transcends individual, culture and time. C.G.Jung explained this phenomenon with his concept of archetype that human thoughts can be represented as a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is thesis examines the ultimate artistic archetype which goes beyond the cultural one by studying Korean cultural collective unconsciousness in the 19th century Chogakpo and by comparing it with the abstract paintings of Mondrian and Klee. Even though Chogakpo was fabricated by ordinary housewives for recreation, it symbolizes much of our cultural collective unconsciousness. Through its shape and color, Chogakpo shows a mixture of our traditional ideas, such as confucianism, naturalism and shamanism. Among them,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can be considered as the main idea, based on the fact that Chogakpo consist of five colors and that its shape is usually a circle or a quadrilateral sometimes accompanied by trilateral. The Yin-Yang Theory is similar to dualism, the basic principle of symbolic representation. Circles and quadrilaterals commonly appear as symbols of duality worldwide. All symbolization reflect the desire to express the combination of duality-in other words, the harmonization of the universe. The Five Element Theory represents the universe as a diagram, which interprets circula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five natural forces which control the universe. Thus, in addition to the Korean archetype, Chogakpo contains human archetype, which is common throughout the world. Affected by Theosophy and Neo-Plasticism, Mondrian, who produced abstract paintings similar to Chogakpo, conceived all creation from a dualistic point of view. He tried to seek universality of nature instead of a natural object itself. He used parallel and perpendicular lines to symbolize dualism and limited his usage of color to the three primary colors and two achromatic colors to seek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Similarly, Klee thought that paintings should be linked to the facts of human origin and regarded the universe, the archetype of painting, as the theme of his works. He applied pure plastic elements - line, color and clair-obscure - to express this invisible universal principle. Especially, his contrasting and harmonizing of lines and colors signified the universal principle and harmonization. He utilized parallel and perpendicular lines as means of structural expression of nature, similar to rhythm in music. Such attempt reveals his idea that the universe has a dualistic structure, in which the two opposite elements unite by harmonizing with each other. Accordingly, his idea of such harmonization resulted in check-patterned constructive paintings with colors. As C.G.Jung emphasized, each individual possesses an awareness of universal harmony, because human spirit is associated with the history of race, mankind, and in a large scale, all living creation, and, ultimately, the universe. Therefore, the artistic archetype is an awareness of universal harmony that is inherent to the human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is mostly exposed through the art, especially abstract symbolization. This explains the similarities between Chogakpo and modern abstract pain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