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301 Download: 0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간호 이미지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Title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타난 간호 이미지에 관한 내용분석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contents analtsis on image of nursing on television drama
Authors
임미림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텔레비전드라마간호이미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e tried to inquire the people's views on nursing or nurses, correct the image of nurse and take it as a basis to be applied on nursing education examining the image of nursing on Television drama playing a important role of mass media. 153 nurses of the characters in drama is applied to the analysis object of this study by selecting 3 dramas of Television ones the nurse play a more important role than sorrounding characters from January 1 to October 31 in 1995. Contents analysis method was used in Data Analysis, 7 Items was used after Coders previously modify and compensate it based on research documents of Kalish & Kalisch(1986), Yoon Young(1983), Lee Hye-Ok(1982), Lee Young-Bok, etc in analysis items. 3 Coders made the Codings the article on each person by Item seeing the recorded Film making the Coding Paper each Items is written by the character. The average of reliability degree was 93% which measured the reliability degree by the method of Holsti. The statistic method of Frequency, Percentage was used using SAS Program in data processing. The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s. 1. The general feature of nurses on the drama is that they are all women which is 20 or 30-aged single(64.7%) without children. 2. Relative importance of 78.4% nurses in drama is depicted as sorrounding characters and most of them was expressed as the character plating sorrounding role. 3. The affair attitude of nurses shown on drama is revealed as mechanical(57.5%), passive(56.4%), autonomous(37.3%) and adept(33.3%). 4. The activity of nurses was classified with professional/simple affair, personal/assistant affair. The technical affair such as I.V., Vital Sign check, Blood Pressure Check, Blood Gathering, I.M., I.V., etc is mainly depicted as a professional affairs and the screen of simple affair such as Receiving Telephone, Carrying Tray or Dragging, Stretcher Car, Dressing Car and or Wheel Chair than professional affair. Personal sanitation, B.P. check, Vital sign check, Assessment of patient condition, assistant meal of patient, taking over report, etc was expressed as a personal affair and the affairs related with medical treatment of most doctor or assistant measure was included in the assistant affair. 5. The place nurses of the drama appears are hospital(ward corridor, nurse room, rest room, divining room, hospital yard)(57.3%), rest room, coffee house, restaurant(20.1%), home(17.2%), other(outdoor)(5.4%). 6. The appearance feature of nurses is shown on common physique (83.0%), common stature(68.6%), decent costume(78.4%), attractive appearance(39.9%), noble action(25.5%). The feature of character of nurses depicted on Television drama is faibleness(59.5%), passive(56.9%), emotional(50.3%), not interllectual (49.0%), obedient(43.8%), strict(39.2%), authoritative(36.6%), selfish(32.0%). realistic(29.4%),sympathetic(18.3%). The image of nurses is illuminated as the exterial scene of technical affair such as assisting the doctors and affair focused on accident and educational activity of nurses or extended role is nor depicted on Television drama. therefore, the people regard the nurse as sexual object with good appearance than professional worker working professional nursing. We want the following epigraph based on above conclusion. 1. The continuos research is required on the image of nurse shown on various mass media. 2. The later research is required on application strategy of mass media for advancing the image of nurse. 3. The research confirming the change of the image of nurse by epoch analyzing the drama by epoch. 4. The research to strengthen the objectivity by comparing analyzed data on drama & analyzing it is required.;간호전문직의 발전은 간호에 대한 대상자들의 요구와 인식이 존재할 때 이루어진다. 따라서 간호 대상자들인 대중의 간호에 대한 이미지는 간호 전문직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아직도 대중매체에 노출된 간호는 현실과 다르게 표현되고 있음은 물론 전문직 간호로서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묘사되고 있지 않다. 간호 이미지를 간호의 정체성을 찾는 일이라고 하였고(Kelly, 1980), 대중들이 간호나 간호사에 대해서 갖는 신념, 생각, 느낌들의 총합(Kalisch & Kalisch)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간호 이미지의 구축에는 대중매체와 같은 외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Pouter & Ponter, 1991), 즉 대중매체에 부정적으로 묘사되는 간호 이미지는 간호사의 자존감에 영향을 주고, 간호사의 신념과 가치, 자신감은 저하시킨다. 이러한 요소들은 간호사 업무수행에 있어 중요한 영향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중매체의 중심매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텔레비전의 드라마에 나타난 간호 이미지를 살펴봄으로써 대중들이 간호나 간호사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들을 알아보고, 대중매체에서 잘못 묘사된 간호 이미지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과 함께 이것을 간호교육에 적용시킬 기초로 삼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1995년 1월 1일부터 1995년 10원 31까지 방영된 텔레비전 드라마 중 간호사가 주변인물 이상으로 등장하는 드라마 3편을 선정하여 극 중 등장하는 간호사의 153개 역할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내용분석방범을 사용하였고, 분석유목은 Kalisch & Kalisch(1986), 윤용(1983), 이혜옥(1982), 이영복(1970) 등의 연구문헌을 근거로 한 것을 3명의 코더가 내용분석 유목은 검토하고, 수정, 보완한 후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역할비중, 업무태도, 활동내용, 등장장소, 외적 특성, 성격특성 등 7개의 항목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코딩방법은 각 유목을 적은 코딩지를 등장인물별로 작성하여 3명의 코더가 녹화필름을 보면서 각 인물에 대한 사항을 항목별로 코딩하였다. 신뢰도 측정은 Holsti의 방법에 의해서 측정하였는데 평균 신뢰도는 93%였다. 자료의 처리는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드라마에서 간호사의 역할비중은 78.4%가 주변인물로 묘사되어 대부분 주변역할을 하는 인물로 표현되었다. 2. 드라마에 나타난 간호사의 업무태도는 기계적(57.5%), 수동적(56.4%)이고, 자율적(40.5%)이며 불친절(37.3%), 숙달된 것(33.3%) 순으로 나타났다. 3. 간호사의 활동내용은 전문적/단순 업무, 독자적/보조적 업무로 구분하였다. 전문적 업무로는 혈액. 수액 주입, 활력증후측정, 혈압체크, 채혈, 근육주사, 정맥주사 등의 기술적인 업무가 주로 묘사되었고, 전문적 업무보다는 전화 받기, 트레이를 들고 다니거나 스트레처카, 드레싱카, 휠체어 등을 끌고 다니기 등의 단순업무 장면이었다. 독자적 업무는 개인위생, 혈압. 활력증후 측정, 환자상태사정, 환자의 영양공급, 인계보고 등으로 표현되었고 보조적 업무는 대부분 의사의 진료나 처치 보조와 관련된 업무가 많았다. 4. 극 중 간호사들의 등장장소는 병원(병동복도, 간호사실, 휴게실, 식당, 병원 뜰)(57.3%), 휴게실·다방·레스토랑(20.1%), 가정(17,2%), 기타(옥외)(5.4%)의 순으로 나타났다. 5. 간호사의 외적 특성은 보통의 체격(83.0%)과 보통의 신장(68.6%), 단정한 의상(78.4%)으로 표현된 반면, 매력적인 용모(39.9%), 고상한 행동(25,5%)의 특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텔레비전 드라마에 묘사된 간호사의 성격 특성은 연약(59.5%), 수동적(56.9%), 감정적(50.3%), 비지적(49.0%), 복종적(43.8%), 엄격(39.2%), 권위적(36.6%), 이기적(32.0%), 현실적(29.4%), 동정적(18.3%)인 성향 순으로 나타났다. 7. 극 중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모두 여성이며, 20대-30대가 84.3%, 자녀가 없는 상태가 54.9%, 미혼이 64,7%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간호 이미지는 의사를 보조하는 정도의 기술적인 업무와 사건 중심의 업무 외적인 장면들이 주로 비춰지고 있고 간호사외 교육적 활동이나 확대된 역할은 텔레비전 드라마에 거의 묘사되고 있지 않았다. 이는 대중이 간호사를 전문직 간호를 수행하는 전문 직업인으로 인식하는데 장애를 줄 수 잇다. 이상의 결론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한다. 1. 다양한 대중매체에 나타난 간호 이미지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2. 간호 이미지 향상을 위한 대중매체의 활용전략에 대한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3. 시대별로 나누어 드라마를 분석하여 간호 이미지의 시대별 변화를 확인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4. 드라마를 분석한 자료와 시청자의 반응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