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우소정-
dc.creator우소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0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2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6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241-
dc.description.abstractIn the past crucial situation mostly consisted of war and natural disaster. But today science and civilization highly developed man-made disasters occur frequently due to the misuse of science, people's carelessness and improper technical management.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eoul city the capital of our country, compressed growth has been made for the last rather short 30 years to follow up the advanced powers and accumulated problems during this period of high growth recently came into surface in succession. Outstanding examples are the man-made disasters like the breakdowns of Sungsu Bridge and Sampoong Department. These man-made disasters not only will occur more frequently than the other disasters but also are crises considerably could eliminated by careful efforts, thorough management and proper use of techniques that more concern is required. So this study is to define every man-made disaster except war as a crisis and emphasize the necessity of managing it. For effective crisis control, there must be synthetic, systematic management activities from elimination and mitigation of the causes of crisis cast off passive post-crisis management to response, recovery activities afterward. That is, when mitigation and preparedness activities against crisis are done together with post-crisis response and recovery activities, efficiency of crisis management can be higher. To support this fact, problems in Seoul city's administrative system of crisis management and plans for improvement are to be investigated and groped for through a case study of one typical man-made crisis recently occurred, i.e., Sampoong Department breakdown. Variables such as systematic aspects of law and organization, manpower and equipment,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e other environmental elements also will be examined by the steps of crisis management to know in what ways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First, mitigation step is a step in which recurrence of crisis is prevented and possibility of occurrence is lowered before hand to ensure the safety of people and protect their life and property. In the case of Sampoong breakdown, absent of an integrated law managing man-mades crisis, false legislation for safety checkup and insolvent construction can be raised into a question. Second, preparedness step is a step in which operating plans for emergency are made or power to response disaster are maintained when the possibility of crisis Occurrence is high in spite of mitigation efforts, and in the case of Sampoong breakdown, negligence of safety management, lacks of manpower and professionalism, and improper preparatory training caused the disaster. Third, response step is a step in which man's life is saved just before, during and directly after a crisis, property damage minimized and effect of recovery is promoted. We can not perfectly prevent disaster no matter how hard we try to call people's attention to a crisis. But when there has been many efforts to prevent crisis, it really is easy to response and reduce damage than when there hasn't In case of Sampoong, delays and confusions of cooperative system, inefficiency of emergency rescue system due to its pluralization, absent of emergency medical system and lack of rescue equipment can be raised into a question. Fourth, recovery step is a step in which crucial conditions and chaotic situations are quickly restored to the previous state, and there is emergency recovery and long-term recovery. In case of Sampoong, recovery activity is focused on the compensation. As noticed above, arranging plans for improvement based on the problems and causes analyzed in the case of Sampoong, we can see that for effective crisis management there must be reinforcement of legislative, organizational systems, efficiency of safety management, expansion of equipment and all given conditions, consistency of cooperative system, rapid emergency rescue system, establishment of emergency medical system and proper compensation and recovery activities. In conclusion, to heighten the efficiency of Seoul city's crisis management, positive concern for pre-crisis steps entirely disregarded and efficient operation of post-crisis steps are demanded in balance.;과거에는 위기상황이라고 하면 전쟁이나 자연적 원인에 의한 천재지변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과학과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과학기술의 남용과 인간의 부주의, 그리고 기술의 부적절한 관리로 이해 인적재난이 빈발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수도인 서울시의 경우 30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선진국들을 따라잡기 위해 압축성장을 하였고, 이러한 고도성장기 동안 누적된 문제점들이 최근 들어 속속 드러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성수대교 붕괴, 삼풍백화점 붕괴와 같은 인적재난들이다. 이러한 인적재난은 다른 재난들에 비해 앞으로 발생확률이 더 높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면밀한 노력과 철저한 관리, 기술의 적절한 사용으로 상당부분 근절시킬 수 있는 위기상황이기에 더욱 관심이 요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쟁을 제외한 인적재난을 위기로 개념 정의하고, 인적재난이라는 위기상황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효과적인 위기관리를 위해서는 이제까지의 소극적인 사후관리에서 벗어나 위기발생 전 위기 원인을 예방하고 완화하는 활동에서부터 위기발생 후의 대응·복구활동까지 종합적이고 단계적인 관리가 순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즉 사전단계의 완화·대비활동, 사후단계의 대응·복구활동이 함께 이루어져야 위기관리의 효율성이 제고된다는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최근에 일어난 대표적 인적재난사고인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사례분석을 통해 서울시 위기관리행정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모색해 볼 것이다. 사례분석을 위한 변수로서 위기관리단계별로 법·조직의 제도적 측면, 인력 및 장비, 교육 및 훈련, 기타환경의 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첫째, 완화단계는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인명과 재산을 보고하기 위해 위기의 재발을 방지하고 위기발생의 가능성을 낮추는 단계이다. 삼풍사고의 경우 인적재난을 관리하는 종합법의 부재, 부실한 안전점검 법규, 부실공사가 문제점으로 제기된다. 둘째, 대비단계는 위기발생 이전에 완화단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위기발생 가능성이 높을 경우, 비상시에 필요한 또는 그에 대비하는 운용계획을 작성하거나 위기발생에 대한 대응능력을 유지시키는 단계인데, 삼풍의 경우 안전관리소홀, 위기관리인력과 전문성의 부족, 위기대비훈련의 부적절성이 문제이다. 셋째, 대응관계는 위기가 발생하기 직전, 도중, 직후에 인명을 구하고,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며, 복구의 효과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취해지는 단계이다. 아무리 재난위험을 제거하였다 해도 위기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는 없다. 그러나 사전에 많은 노력이 기울여진 경우에는 그렇지 못한 경우보다 위기에 대처하기가 훨씬 수월하고 그 피해가 줄어든다. 삼풍의 경우 공조체계의 지연 및 혼란, 응급구조구난체계의 다원화로 인한 비효율성, 응급의료체계 부재, 구조장비 부족의 문제가 제기된다. 넷째, 복구단계는 재난으로 인한 위기상황과 혼란의 모습을 신속하게 정상상태로 회복시키는 단계이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응급복구와 장기복구로 나누어진다. 삼풍의 경우 보상위주의 복구활동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상에서 위기관리단계별로 이루어진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분석의 문제점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효과적인 위기관리를 위해서는 법·조직과 같은 제도의 보강, 안전관리의 효율화, 장비 및 제반 여건의 확충, 공조체계의 일관성, 신속한 응급구조구난체계, 응급의료체계의 구축, 보상 및 복구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서울시 위기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이제까지 전무하였던 사전단계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비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졌던 사후단계에 대한 운영의 효율화가 균형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Ⅰ. 서론 = 1 제1절 연구목적 = 1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 3 제3절 연구의 흐름도 = 4 Ⅱ. 이론적 고찰과 분석틀 = 5 제1절 위기에 관한 이론적 기초 = 5 1. 위기의 개념 및 특성 = 5 (1) 위기의 일반적인 개념 = 5 (2) 위기의 특성 = 7 2. 위기의 유형 = 8 (1) 인적 재난 = 9 (2) 인적 재난의 특징 = 9 3.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위기의 개념 = 10 제2절 위기관리에 관한 이론적 기초 및 분석틀 = 11 1. 위기관리의 개념 = 11 2. 위기관리에 관한 기존의 연구 = 13 3. 위기관리의 분석모형 및 분석틀 = 18 (1) 완화(mitigation)단계 = 19 (2) 대비 또는 준비(preparedness)단계 = 20 (3) 대응(response)단계 = 21 (4) 복구(recovery)단계 = 21 (5) 분석틀 = 22 Ⅲ. 위기관리에 관한 사례연구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 26 제1절 서울시의 위기경험 = 27 1. 삼풍이전 서울시 위기경험 = 28 (1) 종로 5가 통신구 화재 = 28 (2) 오류역 화물열차 탈선 사고 = 28 (3)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사고 = 29 (4) 성수대교 붕괴사고 = 30 (5) 사례에 대한 종합평가 = 31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의 개요 및 발생원인 = 33 제2절 위기관리모형에 따른 삼풍사고 분석 = 34 1. 완화(mitigation)단계 = 34 (1) 법체계 - 人災管理 統合法의 不在 = 34 (2) 관리조직체계 = 37 (3) 부실한 안전점검 법규 - 「시설물안전관리특별법」 = 38 (4) 부실공사 = 40 2. 대비(preparedness)단계 = 45 (1) 안전진단 및 안전조치 내용 = 45 (2) 행정기관의 관리감독 및 건물유지관리 = 45 (3) 위기대비훈런 - 민방위훈련 = 48 3. 대응(response)단계 = 48 (1) 사고대책본부의 설치·운영 = 49 (2) 현장 지휘본부 설치 = 54 (3) 응급구조구난활동 - 민·관·군 합동구조체계 구축 = 56 (4) 응급의료지원활동 = 58 (5) 실종자 접수 및 실종자 가족에 대한 지원 = 59 (6) 정부지원활동 (특별재해지역 선포) = 60 4. 복구(recovery)단계 = 61 (1) 잔재처리 및 관리 = 61 (2) 잔여건물 철거 = 61 (3) 보상업무의 추진 = 62 Ⅳ. 서울시 위기관리행정체계의 분석 = 65 제1절 삼풍사고 분석에서 드러난 문제점 = 65 1. 미비된 위기관리행정체계 = 65 (1) 법체계상의 위기관리체계 = 65 (2) 관리조직체계 = 67 (3) 건축행정의 문제점 = 69 2. 위기관리행정체계의 비전문성 = 72 (1) 안전관리소홀 = 72 (2) 위기관리인력과 전문성 부족 = 74 (3) 위기대비훈련의 부적절성 = 74 3. 중복된 대응체계 = 75 (1) 공조체계의 지연 및 혼란 = 76 (2) 응급구조구난체계의 다원화로 인한 비호율성 = 78 (3) 응급의료체계 부재 = 79 (4) 구조장비부족 = 79 4. 보상위주의 복구체계 = 81 제2절 삼풍前後 위기관리행정체계의 변화 = 82 1. 삼풍이전 위기관리행정체계 = 83 (1) 법체계 = 83 (2) 조직체계 = 84 2. 삼풍이후 변화된 위기관리행정체계 = 87 (1) 체계의 변화 - 『재난관리법』의 제정 = 87 (2) 기관간 공조체계 = 93 (3) 응급구조구난체계의 변화 - 119 구조대 = 94 (4) 응급의료센터 건설계획 = 95 제3절 위기관리행정체계의 개선방안 = 97 1. 위기관리 전담조직의 설치 및 정비 = 97 2. 안전관리의 효율화 = 97 3. 장비 및 제반여건 개선 = 98 4. 공조체계 강화 = 99 5. 응급구조구난체계의 확립 = 101 6. 응급의료체계의 구축 = 101 7. 보상 및 복구 = 102 Ⅴ. 결론 = 103 ◎참고문헌◎ = 107 ◎Abstract◎ =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999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서울시-
dc.subject위기관리-
dc.subject삼풍백화점-
dc.subject붕괴사고-
dc.title서울시 위기관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삼풍백화점 붕괴사고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risis Management of Seoul City : Mainly around the Breakdown of Sampoong Department-
dc.format.pageviii, 11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