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周殷-
dc.creator李周殷-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9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63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5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639-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주요 문제의식은, 한국 토착신학에서 한국인의 정체성과 기독교인의 정체성과의 관계이다. 이 문제는 서구의 '복음과 문화'에 대한 문제의식과 통해있다. 그러므로 우선 이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복음과 문화' 도식의 한국적 적용으로 감리교 전통의 토착화 신학을 고찰하였다. 기독교가 진정한 의미에서 한국의 종교가 되려면, 그것을 수용하는 한국인의 입장이 중요하게 여겨져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토착화 신학을 비판하는 데에 있어서 수용자의 측면에 서기로 한다. 일단 한국 토착화 신학의 발전과정을 짧게 다루었다. 그 후에 윤성범, 유동식, 변선환의 신학을 고찰해 보았다. 이 세 분의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토착화 신학자라고 볼 수 있다. 우선 윤성범의 토착화신화으로는 대표적으로 '誠의 신학'을 말할 수 있겠다. 그의 신학의 구조는 감, 솜씨, 멋의 직관적 변증법으로 보았다. 그리고 종자-토양의 모형을 토착화의 구체적 모형으로 보았다. 그 다음 그의 신학의 한국문화와의 구체적 만남인 단군신화론을 통하여, 그의 토착화신학의 완성으로 성의 신학을 다루었다. 이어서 성의 신학의 연장으로 전개한 孝論을 보았다. 유동식의 토착화신학으로는 대표적으로 '풍류신학'을 말할 수 있겠다. 일단 토착화의 방법론으로 성육신의 원리를 보았다. 그리고 그의 토착화의 완성으로 풍류신학을 다루었다. 변선환의 신학은 대표적으로 종교해방신학을 말할 수 있겠다. 그의 신학은 전기사상과 후기사상으로 나누어 보았다. 전기에는 그의 입장이 그리스도 중심적 포괄주의에 있었고, 후기에는 다원주의에 있었다. 그의 신학은 한편 '대화의 신학'이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는 이외에도 민중신학, 아세아 신학 등과의 대화와 합류를 제언하였다. 종합적 평가와 전망에서는, 마지막으로 수용자의 입장에서 세 분의 신학을 간략하게 평가해 보았다. 그리고 '혼합주의'라는 위협의 제거와 '여성신학'과의 만남을 통하여 토착화 신학의 미래를 전망하였다.;The study will deal with the relation between the Korean identity and the identity of the Christian within the theology of inculturation. This problem is also related to the western think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spels and the Culture. The Writer studies the inculturated theology of the Methodist Church tradition as the Korean ver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spels and the Korean culture. In order for Christianity to become a Korean religion, the attitude of the accepter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is going to criticize the theology of inculturation from the accepters point of view. A grade a short historical approach about the theology of inculturation is written. And then the theology of Sung Bum Yoon is known for the 'Sung(誠) theology'. A basis of his theological structure is dialectical theory of the kam, Somcei, and Mot. And the Model of the seed-land is a basis for his inculturation. And the theology meets Korean history in the theory of Dmgocin Shinhwa. Yoo'S theology is known as 'Poongryoo(風流)'. The methodology of his theology is incarnation. One side, Byun's theology is known as theology of religion-liberation. That is divided into the two periods of the general religious attitude which centers around Jesus Christ, and the secondary period during which the focus is switched to pluralism. The methodology is 'theology through dialog'. And he propose meeting of Minjung and asian theology. In the end, the desirable future of Christian theology in Korea can be approached t o minus the threat off syncretism and plus the elements of feminist theolog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ⅴ Ⅰ. 서론 = 1 Ⅱ. 서구 기독교에 있어서 복음과 문화와의 관계 = 9 Ⅲ. 복음과 문화 그 한국적 적용 : 한국 토착화 신학 = 14 A. 토착화론의 발전과정 = 14 B. 한국문화와 기독교 토착화신학 = 20 1. 윤성범의 성의 신학을 중심으로 = 20 가. 문제의식 : 전이해로서의 한국문화 = 20 나. 신학의 기본적 구조 : 감, 솜씨, 멋의 직관적 변증법 = 22 다. 토착화의 구체적 제안 : 종자-토양의 모형 = 25 라. 한국문화와의 구체적 만남의 시작 : 단군신화론 = 26 마. 토착화 신학의 완성 : 誠의 神學 = 29 바. 종합적 평가 = 34 2. 유동식의 풍류신학을 중심으로 = 37 가. 문제의식 : 한국의 종교적 영성 = 37 나. 토착화의 방법론 : 성육신의 원리 = 39 다. 토착화 신학의 구체적 형태 : 風流神學 = 43 라. 종합적 평가 = 49 3. 변선환의 종교해방신학을 중심으로 = 52 가. 문제의식 : 종교간의 열린 대화 = 52 나. 전기사상 : 포괄주의적 성취론에 입각한 불교와 기독교간의 대화 = 55 다. 후기사상 : 다원론적 종교해방신학 = 60 라. 종합적 평가 = 67 Ⅳ. 종합적 평가와 전망 = 70 A. 수용자의 신학의 입장에 선 신학 = 70 B. 혼합주의라는 걸림돌 : 중세성의 탈피와 관련하여 = 73 C. 복음 수용자로서의 한국 여성, 한국 여성신학과의 만남 = 79 Ⅴ. 결론 = 86 참고문헌 = 88 ABSTRACT-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767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토착화-
dc.subject신학-
dc.subject수용자-
dc.title韓國 土着化 神學에 대한 비판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受容者로서의 韓國人의 입장에서의 일고찰-
dc.title.translated(A) Critical Aproach to Theology of Inculturation in Korea : The Attitude of Korean as accepters-
dc.format.pagevi, 9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