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승연-
dc.creator이승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9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8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5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819-
dc.description.abstract오랜 세월을 지나오면서 형성된 자인의 형태는 결코 제멋대로 이룩된 것이 아니며 그들의 크기조차도 환경과 상황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자연은 모든 형상의 기초이며, 조화와 균형의 척도라 할 수 있다. 인간이 미의식을 갖게 된 것은 아마도 이러한 자연을 접하면서 이것을 바라보는 가운데서 아름다움을 느끼며 시작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예술가는 자연으로부터 어떠한 이미지를 받게 되면 창작 욕구를 느끼게 되고, 그 다음 단계에서는 자신이 받은 이미지를 자기만의 독특한 심상에 의해 표출하여 창조적인 작품을 만들게 된다. 그러므로, 표현 대상으로부터 느낀 이미지가 없다면 사고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전개도 되지 않는다. 본 연구자는 광범위한 자연물 가운데 선인장의 다양한 종류와 형태에서 이미지를 얻어 선, 형, 색, 명암, 질감 등의 조형의 요소들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조형성있고 공간감 있게 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따라서 본인이 선인장에서 받은 싱싱하고 푸른 느낌, 며칠 꽃피는 동안의 화사함, 자신을 보호하려는 날카로운 가시, 메마른 사막에서 견디는 꿋꿋한 모습의 형상화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이미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작가가 이미지를 받아서 형상화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근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도예의 오브제화를 알아보며 현대도예의 변화된 큰 흐름을 살펴보았다. 작품을 디자인함에 있어서는 선인장의 다양한 기본형에 바탕을 두고, 그 형태에 조형미를 부여하기 위해 확대, 강조, 단순화, 절단하는 과정을 거쳐 또 다른 형태로 재창조하여 자연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또한, 선인장의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생태와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조형 작업에 도움이 되고자 현대 도예에 나타난 선인장의 형태를 참고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 성형방법은 본 연구자의 작품에 자유스러운 느낌을 최대한 살려줄 수 있는 타렴 성형 방법과 판 접합성형, 가압 성형을 병행하였고 태토로는 점력이 좋고 수축력이 적은 석기 점토와 산청토를 사용하였다. 표현 방법은 건조 전에 여러 가지 고온안료(Yellow, Pink, Orange, Brown, Green, Sky Blue, Turquoise)로 만든 색 화장토를 붓 터치를 살려 나타내거나, 거친 질감을 표현해 다양한 느낌을 연출해 주었다. 시유는 까칠까칠한 표면과 태토의 유백색을 우러나게 하기 위해 투명유를 얇게 분무하거나 부분적으로 무유처리 하고 필요에 의하여 갈색유와 유백색유를 일부분 사용하였고, 소성 방법은 0.7㎥석유가마에서 마침온도 850℃로 1차소성을 8시간 동안 하였으며 2차소성은 1.5㎥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1250℃로 10시간 동안 산화소성 하였다. 작품 3, 7, 8 의 경우에는 상회 안료나 미국duncan사의 유약을 사용한 후 3차소성을 하였고, 작품 10 은 제작 의도에 따라 원시 소성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선인장을 형상화하는데 있어서 형태에서만 느낄수 있었던 선인장의 색상과 이미지만이 아닌 선인장의 생태에서 느껴지는 인내력, 기다림, 강인함등을 작업에 표현해보려고 노력했으며 다양한 공간감이 느껴지는 형태를 찾는 작업이 조형에 대한 좋은 체험이 되었다.;Every shapes in nature formed through a long history of time have not been randomly appeared, even the size is determined by environments of circumstances that the nature is the foundation of all forms and a measure of harmony and balance. Perhaps, man began t o have his aesthetical sense after he contacted with nature and felt beauty in it. Therefore, an artist feels a desire to create after he has received certain images from nature, and in the next stage, based upon those images, produces creative works from his own unique mental pictures of them. So , we can say that if there isn't any image from outside, not a single thought could there be, nor any development. The author of this study has set the cactus, among other natural beings, as the theme of work, and tried to express many images felt from the various kinds and forms of cactus increasing the visual and special sensations. So those images of cactus such as fresh and green feeling, splendor when in full blossom, seemingly protecting sharp spines and strength enduring the dry desert have been given shape.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process includes investigations of image itself and the formative procedure after receiving images. And the indispensable elements of image formation such as line, form, color, shape, texture, unity and balance have also been looked at. It designing the work, various basic figures for cactus were given formative beauty by way of expanding, cutting, emphasizing and simplifying, and those figures were recreated into another form to project natural images. While reviewing the general character and kind of cactus, the author also refered to those cactus forms in the current ceramic art. In actual making, the author practised the coiling technique, step casting upon plate, pressurizing casting simultaneously to give free feeling at the most, and used stone clay and Sanchong clay which have good viscosity and few constractility. And before drying, the mouldings were put several color paints made of high-temperature proof colors (Yellow, Pink, Orange, Brown, Green, Sky Blue, Turquoise) with a brush while giving life brush touch and rough texture, thus having various images. In glazing, the course surface of material with milk while color was emphasized through thin spraying of transpatent glaze of partly non treatment fof glaze, and when needed the brown glaze and milky glaze partly used. As to the burning, the first burning lasted for eight hours toward 850℃ within an oil kiln of 0.7m^(3), and the second burning lasted for ten hours toward 1250℃ within a gas kiln of 1.5m^(3) size. In the case of work 3 ,7 and 8, they were glazed with general paints of glazes by the Duncan Corp. U.S.A., and put to gurning three times, while work 10 was burnt primitively according to the maker's intent.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has tried to make Unique expressions in shaping the strength, vital energy and splendor of cactus, and consequently could have an excellent experience about formation after seeking out forms of various specia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 = 2 C. 연구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이미지의 형상화 = 4 B. 현대 도예의 흐름 = 8 C. 선인장에 대한 고찰 = 13 Ⅲ. 선인장을 이미지화한 조형 연구 = 18 Ⅳ. 작품 제작 및 해석 = 27 A. 디자인 과정 = 27 B. 제작과정 = 35 C. 작품 해석 = 37 Ⅴ. 결론 = 60 참고문헌 = 62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123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선인장-
dc.subject이미지-
dc.subject도자조형-
dc.title선인장의 이미지를 이용한 도자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eramic Mouling Using Cactus Images-
dc.format.pagev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