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9 Download: 0

話階(Speech level)와 呼稱의 관계 연구

Title
話階(Speech level)와 呼稱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 of Speech Level & Address Term : For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uthors
朴宣玟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Keywords
화계호칭외국어한국어 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어의 청자대우는 발화의 필수적인 요소라는 이유로 오랫 동안 다양한 시각에서 논의되어 왔다. 기존의 화계에 대한 논의들은 대체로 화계 등분의 설정이나 규칙화 그리고, 화계의 선택 요인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연구들은 언어학의 발전과 병행하여 이루어 졌다. 한편, 청자대우 실현의 화용상의 전제인 청자는 이인칭대명사, 호칭 등과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자에 대한 논의는 활발하지 못하였다. 왜냐하면 한국어는 통사적으로 주어를 비롯한 기타 문장 성분의 생략이 가능한 언어로, 이러한 특징은 담화상에서 더욱 뚜렷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청자대우의 화용상의 전제인 청자를 나타내는 언어상의 표현의 하나인 호칭을 화계와 연관지어 고찰함으로써, 화계 실현의 근거를 호칭어로 상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다 현실적이고 기능적인 청자대우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먼저 화계를 언어 현실과 담화의 상황을 고려하여 존대(Respect)와 평대(Plain)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담화상에서 화계의 지향 대상인 청자를 부르는 호칭어를 청자대우 기능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그 다음으로는 앞에서 정리한 담화상 화계와 호칭의 기능을 바탕으로, 화계와 호칭의 공기를 상호예측 가능성을 통해 검증하고, 이어서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81명의 외국인과 교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한국어 화계와 호칭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의 분석 결과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의 화계와 호칭에 대한 이해도는 한국어의 학습 수준과 무관하며, 반면에 화계와 호칭에 대한 선호도는 거의 전적으로 교재나 수업에서 습득한 형태나 어휘에 대해 집중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한국어 청자대우의 이해를 위한 방안으로서 화용상의 청자보다 통사상의 호칭어를 화계의 교육에 상정할 것과, 담화의 상황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화계의 형태와 호칭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해 보았다.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문장에서 독립적인 성분으로 처리되어 온 한국어의 호칭어가 화계와 기능적으로 공기함을 보임으로써, 화용에 근거한 한국어의 청자대우를 통사적으로 이해하도록 제안하는 데 그 의의를 둔다.;Korean Hearer-Honorification has been discussed under the various linguistic theories for a long time, by reason that it is the necessary factor in Korean utterance. Especially Korean Speech Level, as a sentence ender, has been the core of the studies. But the preceeding studies of Speech Leve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establishment of its grades, the regularization, the explanation of the primary factor of its selection. These studies are seemed to accomplished in con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linguistic theories. By the way, even though Hearer as a pragmatic presupposition is related to the Second Person Substitute, Address Term etc. , Hearer has not been lively discussed. Because Korean Language has a special feature that Subject or other components can be abridged in sentence and this feature appears more frequently in conversation than in text. Accordingly, this thesis aims to present Address Term as an actual base of of Speech Level in conversation, by examining Address Term, one of the verbal expressions for Hearer. In this thesis at first, Korean Speech Level is described as Respect Forms and Plain Forms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usage and the conversational situation. And then Korean Address Term is observed focused on its function of Hearer-Honorification. In result, the Co-Occurrence of Speech Level & Address Term is proved by their reciprocal predictability and a test is operated, in order to survey how they understand the Co-Occurrence of Speech Level & Address Term, with 81 persons who lear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or second language. The statistical result of the test reveals that their Korean-learning level is not related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Co-Occurrence. But their preferance is influenced by their learning and their text. As a device for the effective teaching of Korean Hearer-Honorification, this thesis introduces Address Term as one of Korean Hearer-Honorification and suggests the education of the various forms of Korean Hearer-Honorifi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rsational situation.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relation of Korean Speech Level & Address Term and to show their Co-Occurrence through their function of Hearer-Honorifi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