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주-
dc.creator김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6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1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5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119-
dc.description.abstract추간판 탈출증은 기능적 척추단위의 퇴행성 변화에 의한 질환들의 일부분이며 성공적으로 수핵을 제거하고 신경근을 감압하였다 하더라도 기본적인 병태생리적 과정을 차단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추간판 탈출증은 수술적 치료가 일반화되고 높은 성공률이 보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에서 요통, 신체적 수행능력의 장애, 정신심리적 장애가 있어 정상적인 생활로의 복귀에 문제가 있으며 수술 후 척추의 가동성이나 유연성, 복근, 척추배근등의 근력을 측정한 결과 정상인과 현격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추간판 탈출증 수술 후 환자들에게도 운동요법을 중심으로 한 재활요법이 필요하다. 재활요법 중 운동요법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25명의 추간판 탈출증 수술 후 환자들을 대상으로 운동요법을 교육시킨 12명의 실험군과 13명의 대조군으로 나누어 퇴원 1달 후까지 추적관찰을 통하여 통증점수, 일상생활의 장애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운동요법은 수술 2일 후부터 하지의 관절가동역 및 유연성의 증대, 근력 강화를 위한 3가지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수술 1주 후부터는 체간의 굴곡운동, 신장운동 4종류를 추가하였다. 평가 척도로는 수술 후 입원일수, 요통 및 하지 방사통의 통증점수, 활동능력의 장애도 등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의 환자들은 운동요법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순응도가 높았다. 그러나 수술 후 입원기간, 퇴원 1달 후 요통의 정도, 수술 1주 후에서 퇴원 1달 후까지 요통의 호전정도, 퇴원 1달 후 활동능력의 장애도는 양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수술 1주 후에서 퇴원 1달 후까지 하지 방사통의 호전정도는 실험군에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만 가지고 운동요법의 효과를 판단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음으로 앞으로 표본의 수를 늘리고 장기간 추적 관찰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구체적 운동방법의 선택 적용에 있어서도 그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본다.;Herniation of the lumbar disc is a portion of the spectrum of degenerative diseases of the functional spinal unit and, succerrful decompression of the nerve root by discectomy can not prevent the progression of the degenerative process. Despite of high success rate of surgery there are many patients who can not return to normal life and work due to postoperative pain, physical impairment, and psychologic distress. And threr are resports on postdiscectomy patients having significantly decreased mobility of the spine, strength and endurance of abdominal muscles and trunk extensors. So a rehabilitation program focused on exercise therapy is necessary in postdiscectomy patient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exercise therapy 25 postdiscectomy patients consisted of 12 patients educated on postoperative exercise and 13 patients of control group were followed-up for 1 month ahter discharge. In case group exercise therapy was started on the second postoperative day with 3 kinds of lower extremity exercises for the improvement of mobility and strength. And 4 kinds of flexion and stretching exercises of the trunk were added 1 week postoperatively. As scales of evaluation the duration of the postoperative admission, pain scores and duration of low back pain and radiating leg pain, and disability of nine basic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usaed. As results the patients in the case group showed very affirmative reponse to the exercise therapy and were very compliant. But the duration of postoperative admission, pain scores in low back pain at follow-up 1 month,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low back pain scores from postoperative 1 week to follow-up 1 month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disability index at follow-up 1 month also showed no statistically signficant difference. On the contrary,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leg pain scores from postoperative 1 week to follow-up 1 mon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p=0.0048) between two group. But these results are insufficient fot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therapy and further studies with more cases with long-term follow-up to optimize the exercise therapy program are necessary. In addition the roles of the nursing specialist as a manager of rehabilitation program educating and monitoring exercise therapy were identified. With the establishment of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rehabilitation program for the postdiscectomy patients with further studies the roles of the nursing specialist are expected to be more concrete and more importa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5 C. 용어의 정의 = 6 D. 연구의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고찰 = 8 A. 추간판 탈출증 수술후 재활의 필요성 = 8 B. 운동요법의 필요성 = 13 Ⅲ. 연구대상 및 방법 = 18 A. 연구설계 = 18 B. 연구대상 및 방법 = 18 1. 연구대상 = 18 2. 연구방법 = 19 3. 분석방법 = 20 Ⅳ. 연구결과 = 22 A. 대조군과 실험군의 일반적 특성 = 22 B. 각군 및 전체에서 수출 1주후와 퇴원 1달후 간의 통증점수 및 통증의 지속시간의 변화정도 = 23 C. 통증점수, 수술후 입원기간, 일상생활의 장애도의 양군간의 비교 = 25 Ⅴ. 고찰 = 27 Ⅵ. 결론 및 제언 = 32 A. 결론 = 32 B. 제언 = 33 참고문헌 = 34 부록 = 41 ABSTRACT = 5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314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추간판-
dc.subject탈출증환자-
dc.subject수술후-
dc.subject운동요법-
dc.title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수술후 운동요법의 교육이 수술후 입원기간 및 기능적 회복정도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education of postoperative esercise on postoperative admission and functional recovery in patients with herniated lumbar disc-
dc.format.pageviii, 53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