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8 Download: 0

한국어 조사 {의}와 일본어 조사 {の}의 대조연구

Title
한국어 조사 {의}와 일본어 조사 {の}의 대조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stposition 'ui' of japanese and 'no' Korean languages
Authors
曺善景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Keywords
한국어 조사일본어 조사한국어 교육외국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Korean postposition 'ui' as the Japanese postposition 'no' have been studied in- respect to their morphologic and semantic points of view. It's generally true that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existing on the meaning of those postpositions, in the context, and many discussions of 'no' have been focussed on working out its function. This thesis pays no attention to the proper distribtion of the postposition 'ui', becouse of the character of the Korean language in Korean, we can easily find that the postposition 'ui' frequently is not present or can be easily omitted in the sentences. So this thesis sets a goal to the learners understanding systematically how to omit the postposition 'ui' in varoous situation and their proper adaptation to thr usage of 'ui', so as to speak the Korean languge fluently, while the learners learn the Korea languge. This thesis goes over the Japanese translation of 'ui' and sets noun phrase in order to develop varions arguments on the function its omittance of 'ui'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the Korean postposition 'no' already mentioned above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way of omitting 'ui'and its variances can be comprehended, af- ter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stuidy, we can easily find that the extent to which the standard of learning on the Korean learners use and the way they use 'ui', whileas some of the leaners who's respond to this study correctly are only restricted to the daily usage of words commonly spoken in daily life. Based on this stuided, the effective way of omitting and the proper use and understanding of the postposition 'ui'. The formation of the postposion of 'ui' should be made and fomalized in various steps of educational system in Korean, and therefore beginning with this, the subjective postposition and the objective should be also plac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postposition 'ui' in the context, I humbly suggest this thesis begain with the full understanding 'ui' and frequant omittance of it.;한국어 조사 {의}에 대한 연구나 일본어 조사 {の}에 대한 연구는 양국에서 형태론적, 통사-의미론적인 접근 및 화용론적인 접근까지 다양한 시각에서 연구되어온 것이다. 기존의 {의}에 대한 연구들은 대체로 {의}의 중의성(重意性)의 해결이나 {의}가 문장에서 가지고 있는 의미 해석 등으로 요약 할 수 있다. 그리고 {の}에 대한 논의들은 {の}의 통사적인 특징으로 말미암아 그 기능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한편, 격조사로서 생략이 잘되는 {의}에 대하여 그 실현과 생략의 분포의 문제에는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한국어는 통사적으로 조사는 말할 것도 없고 문장 성분의 생략이 두드러진 언어로 조사의 생략은 한국어의 보편적인 특성의 한 가지로 처리되어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를 외국어로서 학습하는 경우 격조사의 생략과 실현의 환경에 대해 이해하고 유형화하여 교육함으로써 원활한 한국어 구사를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보다 현실적이고 기능적인 {의}의 생략과 실현 여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의}가 나타나는 환경을 명사구로 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일본어를 번역하여 {의}의 기능을 검토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앞에서 정리한 한국어 조사 {의}와 일본어 조사 {の}의 통사 의미론적 기능과 분포를 바탕으로, 두 언어를 대조하여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들의 {의}학습의 난이점을 파악하고, 이어서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일본인과 교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한국어 조사 {의}의 생략과 실천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의 분석 결과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의 생략과 실현에 대한 이해도는 학습수준과 무관하며, 반면에 옳게 응답한 학습자는 거의 전적으로 교재나 수업에서 습득한 몇 가지의 예문이나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 어휘에 한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의 효과적인 한국어 조사 {의}의 생략과 실현에 대한 이해와 구사를 위한 방안으로서 {의}의 분포를 유형화한 것을 교육 단계에 상정할 것과, 이를 시작으로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의 생략과 실현의 문제도 같은 맥락에서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격조사는 생략이 잘 된다는 그 한 마디로 학습자들에게 전가된 수고와 부담을 격감시키는 방안으로 {의}의 실현과 생략 현상을 통사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입장에서 출발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