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32 Download: 0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모형 연구

Title
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모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 Model for Teaching Korean through Songs
Authors
변혜원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second/foreign language teachers we try to encourage students to have the skills to understand authentic communication. Songs can empower students with a real world communication, telling slowed, rhythmic, and repetitious stories. Songs, "ideal marriage of poetry and music" (Salcedo, 2002, p. 127) are appropriate media for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because they repeat simple discourse with affective language and familiar words. In addition to that, songs provide the students with anxiety-free classroom environment. It has been proven that songs are valuable materials for teaching and reinforcing grammatical structures, vocabulary, pronunciation, listening comprehension, and cultur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show that students can benefit from the addition of musical activities to the classroom experienc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usic on the recall of target grammar patterns and vocabulary. The status of songs in KFL/KSL education and related problems were examined through the analyses of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f KFL/KSL teachers. It was also to reflect the needs of KFL/KSL teachers on using Korean songs in KFL/KSL classroom. The majority of teachers reported that lack of information about proper songs and appropriate song-based activities discouraged them from using the authentic materials. However, a few of them were generous enough to share their teaching experiences by recommending some useful songs to teach and reinforce grammar pattern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 list of useful Korean songs and some appropriate tasks or activities provided according to the traits of each song. Model teaching plans were also presented and applied to KFL/KSL students. The beginning students, which was composed of 23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using song-based activities and controlled group using traditional grammar translation and pattern drilling activities. For two times experiments, a pretest-posttest-delayed posttest system was used. A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s: The majority of students reported that music was a positive stimulus to their routine classroom.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in the level of memory loss. That is to say,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remembered more about what they had learned during the class. Results of the scores showed an advantage in delayed recall results for target vocabulary and grammar patterns. And some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reported the occurrences of SSIMH phenomen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use of song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may work as a memory aid. Memory after songs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phenomenon of involuntary mental repetition or musical din. When the learner gets input in the second language, the mind often involuntarily repeats the material over and over. This rehearsal may aid recall and production in the long run. The results evidenced that the occurrence of the musical din or SSIMH phenomenon is increased with music and therefore may be a more efficient way to stimulate language acqui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influence the use of songs in foreign language classroom practice. According to the results, using songs were effective and motivational, even though there were some limitations that affected the generalization of this study. This study should be replicated with a larger sample size and longer period of treatment. Even though music is not a panacea, replacing all other methods, it should be regarded as another important and useful teaching method.;외국어 학습의 최종 목표는 실제적인 의사소통의 기술을 갖추는 것이다. 따라서 외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라면 누구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교수 방법과 자료를 찾아 학습자들에게 적용시키는 데에 비상한 관심을 갖게 마련이다.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데에 효율적인 시청각 매체를 활용하는 수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시청각 매체 중, 학습자들의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는 멜로디와 반복적인 텍스트를 제시해주는 노래는 실제적인 외국어 학습 자료의 좋은 표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노래는 단순히 즐거움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 언어의 문법이나 어휘, 발음, 듣기, 그리고 문화까지 아울러 가르칠 수 있는 좋은 교수 자료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래를 활용한 수업의 모형을 개발하고, 이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여 노래 활용 수업이 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 및 인지적 영역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히는 데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연구자는 학습자들이 노래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잘 회상해 낼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런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쳤다. 먼저, 교수-학습 자료 선택의 가장 큰 변인이라 할 수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실시하여 KFL/KSL 현장에서의 노래 활용 수업의 현황 및 제반 문제점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교사들은 노래를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데 동의하지만, 한국어 학습에 적절한 노래를 찾는 것이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었다. 또 하나의 문제점은 노래를 선정한 이후에도 효율적인 학습으로 연결시킬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이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에 효율적인 노래들을 선정하고 노래의 특성에 맞는 교수-학습 활동을 포함하는 수업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을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제 수업의 대상은 일본의 오사카현 소재 S대학의 일본인 한국어 초급학습자들이었다. ‘사전-사후-지연된 사후테스트’의 틀에 맞춰 실험이 실시되었으며, 노래를 활용한 실험집단과 문법 번역식 설명 위주의 수업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학습 내용에 대한 단기기억 및 장기기억을 비교하여 보았다. 1차 실험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단기기억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대신 두 집단의 장기기억에서는 실험집단의 그것이 유의미하게 우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차 실험에 사용된 테스트의 난이도나 변별력이 단기기억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 도출의 실패 원인이라고 판단되어 2차 실험에서는 학습자의 언어 숙달도보다 약간 높은 난이도의 수업 자료와 테스트 자료가 제공되었다. 이 실험에서 실험집단의 단기 및 장기기억이 비교집단보다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종료 후에 실시된 설문이나 면담의 결과도 고무적인 내용이었다. 학습자들은 노래 활용 수업이 본인들의 정의적인 영역과 인지적인 영역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답하였다. 더불어 외국어 노래를 배운 후에 그 멜로디나 가사가 머릿속에서 끊임없이 맴도는 SSIMH현상을 경험하였다고 답하고 있었다. SSIMH현상과 외국어 습득의 구체적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한 단계이지만, 여러 학자들은 이 현상이 학습자들의 외국어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리라는 것에는 동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험 대상의 숫자가 너무 작고, 처치 기간 또한 짧아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또한 본 실험의 대상이 KFL 상황의 일본인 초급학습자이었던 관계로, KSL 상황이나 언어 숙달도가 다른 학습자 집단에 대해서는 또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다. 또한 노래를 활용하는 수업이 모든 학습자들에게, 그리고 모든 한국어 교수-학습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만병통치약은 아닐 것이다. 다만 새로운 교수법이나 교수 매체에 대한 실험 연구가 드문 한국어 교육 환경을 고려한다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수업의 한 가능성으로서의 노래 활용에 주목하고, 간략하게나마 실험을 실시하여 노래 활용 수업의 구체적인 효과를 살펴본 본 연구가 나름의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노래를 활용한 수업에 관심을 가진 교사들의 의견을 지지해 줄 수 있는 근거가 되고, 앞으로의 한국어 교육의 발전에 긍정적인 한 걸음이 되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