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권소라-
dc.creator권소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5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5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5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533-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영어로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도록 함에 있다. 그리고 원활하게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듣기와 말하기와 같은 구두 언어에서 뿐만 아니라, 읽기와 쓰기의 문자 언어에 의한 학습이 모두 필요하다. 또한 우리나라 현 7차 교육과정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4가지 언어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교수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 수학 능력 시험 등이 듣기와 읽기의 이해도만을 측정하는 문제 위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현 교실 상황에서 말하기와 쓰기에 관한 교육은 매우 소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읽기 문제 풀이 또는 지문에 제공되어 있는 단순한 정보 찾기 등의 수동적인 읽기 활동을 하는 데서 벗어나 보다 능동적으로 읽기의 과정에서 의미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읽기 수업에서 쓰기 활동을 통합한 형태인 요약하기 활동과 관점 바꾸어 글쓰기 활동을 제시하고자 한다. 읽기와 쓰기의 상호 작용적인 관계를 논의한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ESL 또는 EFL 상황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읽기와 쓰기를 통합하여 진행할 수 있는 학습 모형 등을 제공한 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으며 특별히 읽기와 쓰기 통합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글 분석 및 종합하는 능력, 논리적 사고력 및 창의성 등의 고등 정신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활동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흥미를 줄 수 있으면서 교육적 시사점이 큰 활동인 요약하기 활동과 관점 바꾸어 글쓰기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이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읽기 및 쓰기 능력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학습자의 영어 학습 및 영어 읽기 및 쓰기 학습 태도의 정의적 영역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고등학교 2학년 학습자 56명을 대상으로 요약하기 활동과 관점 바꾸어 글쓰기 활동을 상ㆍ하위 수준별로 나누어 6주간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쓰기 활동에 제공된 읽기 자료는 학습자에게 친숙함과 흥미를 줄 수 있는 이야기체 글로 이루어졌으며, 주어진 글을 읽고 요약하기 또는 관점 바꾸어 글쓰기 활동을 각 실험 집단이 1주일에 1차시씩 진행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약하기 활동과 관점 바꾸어 글쓰기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요약하기 집단은 집단 내 읽기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두 집단 간 읽기 능력의 비교에 있어서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 집단을 상ㆍ하위 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에서 다소 다른 연구 결과를 보이는데, 읽기를 하향식 읽기와 상향식 읽기로 나누어 볼 때 상위 집단에 있어서 하향식 읽기 영역에서는 요약하기 집단이 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상향식 읽기 영역에서는 관점 바꾸어 글쓰기 집단이 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하위 집단에 있어서는 이와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그렇다 하더라도 상ㆍ하위 집단 모두 요약하기와 관점 바꾸어 글쓰기 집단의 집단 간 읽기 능력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본 실험의 기간이 6주로 매우 짧았기 때문에 두 실험 집단의 집단 간 읽기 능력의 차이를 기대하는 것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그러나 집단 내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는 영역이 있는 것을 고려할 때 본 실험 활동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된다면 읽기 능력에 있어 집단 간 차이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음을 엿볼 수 있다. 둘째, 요약하기 활동과 관점 바꾸어 글쓰기 활동이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본 결과 관점 바꾸어 글쓰기 집단은 집단 내 쓰기 능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두 집단 간 쓰기 능력의 비교에 있어서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ㆍ하위 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상위 수준의 학습자는 관점 바꾸어 글쓰기 집단이 요약하기 집단보다 더 높은 쓰기 평가 점수를 보이고, 하위 수준의 학습자는 반대의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상ㆍ하위 수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경우에도 전체 집단의 비교에서와 마찬가지로 두 실험 집단 간 쓰기 능력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이 역시 읽기 능력과 마찬가지로 실험이 단기간에 진행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연구 결과를 통해 읽기 능력과 쓰기 능력을 논의함에 있어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따라 활동의 결과가 다름을 확인했다. 따라서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고려한 적절한 단계의 활동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실험 활동이 학습자의 정의적 반응에는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약하기 집단의 학습자는 영어 읽기와 쓰기에서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영어 학습에 있어서도 관점 바꾸어 글쓰기 집단에 비해 대체적으로 더 긍정적인 정의적 반응을 보였다. 요약하기 활동을 진행한 학습자는 중요한 내용과 그렇지 않은 내용을 구별해 내어 읽기의 과정에 임하는 경험이 매우 교육적 효과가 큼을 경험하였으며, 이전의 수동적인 과정으로 읽기를 바라보았던 시각도 변화하여 읽기의 과정이 의미를 만들어 가는 과정임을 경험하였다고 밝혔다. 이들은 쓰기 활동에 있어서도 흥미를 가졌다고 말해 요약하기 활동이 학습자의 정의적 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관점 바꾸어 글쓰기 활동을 한 학습자는 일반적으로 본 실험 활동과 영어 읽기와의 관련성을 인지하지는 못하였으나, 쓰기에 있어서만큼은 매우 흥미로웠고 영어 쓰기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고 반응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언어 수준별로 정의적 반응이 달랐는데, 전반적으로 상위 수준의 학습자들이 하위 수준의 학습자들에 비해 본 실험 활동을 통한 영어 읽기 및 쓰기 능력의 향상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앞에서 요약하기 활동과 관점 바꾸어 글쓰기 활동이 학습자의 언어 수준별로 다른 학습 결과를 보였음을 설명하였다. 우리나라의 교실 현장에서 영어 읽기와 쓰기의 통합 활동을 제공하고자 할 때 교사는 학습자의 언어 수준을 잘 고려하여 학생들이 흥미를 잃지 않고, 활동을 통해 영어 읽기 및 쓰기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학습자에게 알맞은 단계의 활동을 제공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연구는 6주의 짧은 기간에 걸쳐 진행되었으나 보다 장기적으로 학습자가 읽기와 쓰기의 통합 활동을 진행한다면 그 교육적 효과는 매우 클 것으로 기대해 본다.;The ultimate goal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is to improve learners' communicative ability in English.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to acquire communicative competence not only in oral language but in written language. The current 7th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the integration of four language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However,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speaking and writing in Korean mid and high school English classrooms, for Korean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mainly requires students to respond to multiple-choice questions assessing only comprehension skill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esents two activities which encourage learners to integrate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efficiently and promote learners to participate in reading process more actively. Much effort has been expanded in the past on the interrelationships of reading and writing. But previous studies have not provided the practical learning models of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which can improve learners' logical and creative thinking.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ummarizing and writ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and language learning attitude. Hence, the experiments based on summarizing and writ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were conducted for 6 weeks, with 56 high school second graders. The text practices for reading materials were all narrative texts. Once a week, each treatment group performed summary writing or wrote an essay from a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one provided in the original text.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summarizing and writ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on learners'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were different. However, in general, the differences of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between two experimental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could well be explained in consideration of the very short period of experiments, and the more continuous practice of integrating reading and writing through current experimental activities might bring statistically different effects on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In detail, som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imply summarizing can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reading abilities because learners spent more time on reading when involved in summary writing than writ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nd that writ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can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rs' writing abilities for learners from this group found writing activity more pleasant and interesting. However, both learners from summary writing and writ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had been positively influenced on their writing abilities through experimental activities. Second, the effects of experimental activities were different based on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level. Hence, it is crucial to take learners' proficiency level into consideration in designing practices of integrating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Third, the result of surveys researching the effects of language learning attitude revealed that summarizing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attitude than writ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Learners from summary writing showed that they experienced new ways of reading process and realized that reading process could be interesting and challenging. On the other hand, learners from writ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did not realize any connection of reading and writing through their writing practices. Rather, they found the pleasure of creative writing. In this way, two activitie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have some positiv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providing a new model that can promote learners' creative,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and foster learners' interest on English learn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4 A. 영어 읽기와 쓰기 4 1. 읽기와 쓰기 정의 4 2. 읽기와 쓰기의 관계 5 B. 요약하기 7 1. 요약하기 활동의 특징 7 2. 요약하기 활동의 유용성 7 C. 관점 바꾸어 글쓰기 8 1. 관점 바꾸어 글쓰기 활동의 특징 8 2. 관점 바꾸어 글쓰기 활동의 유용성 9 D. 선행 연구 9 1. 영어 읽기와 쓰기에 관한 연구 10 2. 영어 읽기와 쓰기의 통합 모델에 관한 연구 14 3. 요약하기에 관한 연구 16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18 A. 연구 문제 18 B. 연구 대상 19 C. 연구 자료 20 1. 사전ㆍ사후의 읽기 및 쓰기 능력 평가지 20 2. 쓰기 채점 기준 21 3. 활동지 22 4. 설문지 25 D. 연구 절차 27 1. 실험 이전 절차 27 2. 실험의 주요 활동 31 3. 실험 이후 절차 38 E. 연구의 제한점 40 IV. 연구 결과 및 논의 41 A. 영어 읽기 능력의 비교 41 1. 실험 집단 간 영어 읽기 능력 향상도 비교 41 2. 실험 집단의 상ㆍ하위 수준별 영어 읽기 능력 향상도 비교 43 B. 영어 쓰기 능력의 비교 47 1. 실험 집단 간 영어 쓰기 능력 향상도 비교 47 2. 실험 집단의 상ㆍ하위 수준별 영어 쓰기 능력 향상도 비교 50 C. 영어 학습, 영어 읽기 및 쓰기 학습 태도 비교 54 1. 실험 집단 간 영어 학습, 읽기 및 쓰기 학습 태도 비교 54 2. 실험 집단의 상ㆍ하위 수준별 학습 태도 비교 58 D. 학습자 반응 분석 64 1. 사후 심화 설문 분석 64 2. 심층 면담 결과 분석 71 V. 결론 및 논의 78 참고문헌 82 부록 88 ABSTRACT 11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643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요약하기와 관점 바꾸어 글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읽기와 쓰기 능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ummarizing and writing from a differen perspective on Korean high schoolstudents'English readig and writing abilities and language learning attitude-
dc.creator.othernameKwon, So Ra-
dc.format.pagexii, 11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