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경아-
dc.creator김경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3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9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5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996-
dc.description.abstract오랜 세월동안 아동에 대한 우리의 끊임없는 관심이 이어져왔다. 과거와는 달리 현대에 이르러 생활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어린이의 정신건강이나 정서함양, 성장, 사회성 발달에 더 지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생활환경은 조기 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조기환경의 개선은 시급한 과제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아동의 미적 발달과 새롭게 창조 발견해 내는 능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어린이들의 입장에서 그들에게 필요한 생활공간을 조성하는 디자인을 중심으로 도제 벽장식을 표현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어린이가 오랜 시간동안 보내는 아동실로부터 그들이 자주 접하는 곳 중 무미건조한 주거환경이 될 수 있는 벽면을 활용하여 어린이의 상상력과 관찰력을 자극하고 교육적 효과를 줄 수 있는 형태나 색채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연구자는 형태적인 면에서 어린이의 시각적인 발달을 돕기 위해 한층 더 발달된 형태를 모색하였는데 우선 그 방법으로 첫째, 선과 형이 어린이의 성격에 중요한 판단기준이 된다는 것을 살펴보고 둘째, 어린이에 지각발달에 영향을 주로 도형의 인지도를 살펴보았다. 셋째, 선의 지적이고 명확한 기하학적 형태와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곡선의 유기적 형태를 기본으로 각 특성에 맞게 공간예술로 표현하기도 하였고 기하학적 형태와 유기적 형태를 적절히 조화된 형태를 창조해 냄으로써 어린이가 친숙하게 받아들이는 동시에 조형성의 추구와 미적 감수성의 발달을 돕고자 하였다. 색채 선택에 있어서는 어린이가 선호하는 색상의 범위 내에서 어린이에게 편안함을 주며 동시에 흥미를 잃지 않게 어린이의 성별이나 연령별의 공통된 선호색중 중간색을 사용하였고 명도나 채도에 있어서도 중명도와 중채도 이상의 색채를 선택하였다. 작품제작 방법에 있어서는 기하학적 형태와 유기적 형태를 기본으로 한 작품으로 볼 때 그 성격상 매끄러운 선의 표현과 명확한 선의 표현을 위해서 석고원형으로 석고틀을 만든 후 이장주입 성형과 압축성형, 판성형을 하였다. 태토는 백색자기토와 입자가 고은 샤못트를 10%가량 첨가된 점토를 사용하였으며 1차소성은 0.14㎥ 전기가마에서 810℃까지 8시간 동안 소성하였으며 색슬립과 색화장토를 스프레이건으로 분무시유하였으며 색의 선명함을 위해 다시 투명유를 분무하였다. 2차소성은 1.5㎥ 크기의 가스가마에서 산화소성으로 10시간 소성하였으며, 마침온도는 1260℃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본연구자는 기하학적형태와 유기적 형태를 통하여 각기 형태의 특징과 또 결합된 형태를 표현하였다. 다시말해서 기하학 형태의 간결하고 명확한 선·차갑게 느껴지는 것과 유기적 형태의 부드럽고 자연스러움을 조형적이고 미적인 조화된 형태에서 어린이가 정서적이고 시각적 공간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도제 벽장식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For ages, we're been interested in children. Children nowadays are more sensitive to their living environment than in the past. Their mental health, character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and socialization has been receiving more attention recently. Improving children's living environment is an. urgent task because this environment greatly influences thei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Therefore, this researcher believes there is good reason for investigating ceramic wall decoration designed to suit children's living spaces and to contribute to their esthetic development and their newly discovered creative ability. With regard to theoretical background, I want to study how the form and colour of ceramic wall decorations can be used in an uninteresting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kind where children of ten spend long periods of time) to stimulate children's imagination and produce an educational effect. This researcher, in terms of the formative aspect of children's visual development, searched for more developed forms. First of all, I examined how line and form act as important standards of judgement for a child's character. Second, primarily using a diagram recognition table, I investigated the stages in a child's perceptual development. Third, I also expressed line's intellectual, clear, geometrical form and natural, smooth curved lines, organic form in spacial art. By creating properly harmonized geometric and organic forms I tried to make it possible for children to accept these forms and develop aesthetic sensibility. When choosing colours, I worked within the range preferred by children of both sexes and different ages and tried to select colours which would be comfortable and interesting. I chose colours of above average brightness and brilliance. As a method of production, the works took into account works based on geometrical and organic form. The manufacturing was done by injection, compression, and plate methods after making gypsum molds using gypsum's original form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 smooth and clear lines. White porcelain clay and 10% shamroot was used. Baking was done at 810℃ in a 0.14㎥ electrical furnace. Glaze was applied by spraying colour slips and coloured clay (generally using a spraygun). Transparent liquid was then sprayed so as to emphasize clearness of colour. The final baking was done through in a 1.5㎥ gas furnace at 1260℃ for 10 hours. Based on this research, this researcher would like to present the possibility and even necessity of ceramic wall decorations, which can help children develop emotional and visual space. (i.e., the cold feeling of geometrical forms brief, clear line with its smooth natural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형태 = 4 a. 선과 형 = 4 b. 도형에 대한 어린이의 인지발달 = 10 c. 기하학적 형래와 유기적 형태 응용 = 13 1) 기하학 형태 = 13 2) 유기적 형태 = 14 B. 색채 = 16 Ⅲ. 어린이를 위한 도제벽장식 연구 = 21 Ⅳ. 작품제작 및 해석 = 31 A. 디자인 과정 = 31 B. 제작과정 = 39 C. 작품해석 = 41 Ⅴ. 결론 = 61 참고문헌 = 63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303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어린이-
dc.subject도제-
dc.subject벽장식-
dc.subject요업디자인-
dc.title어린이를 위한 도제 벽장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eramic Wall Decoration for children-
dc.format.pagevi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