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인애-
dc.creator김인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1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0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5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076-
dc.description.abstract그림을 그린다는 일은 곧 自身의 世界를 表現하며 살아가는 삶의 한 방식이다. 그것은 살아가는 동안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어떤 고유한 경험들이 쌓여져 內面의 世界에서 걸러지고 녹아지며 응축되어 偶然히 스스로 드러내는 신비한 그 무엇에 대한 可視的인 表現方式이라고 하겠다. 이 신비한 그 무엇이 드러내는 모습은, 작가 자신이 미처 意識하지 못한 無意識 속에서 스스로 드러나는 自發的인 表出이며, 이 무의식적인 自發性이 외부로 드러나는 통로로 작가의 身體가 사용되어 질뿐이라고 하겠다. 작가의 신체를 媒介體로 하여 스스로 드러내는 이 무의식적 세계의 偶然性은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작가로 하여 必然化 되어진 必然的 偶然인 것이다. 바로 이러한 깊은 無意識의 世界로 부터 드러나는 신비한 內的 經驗이 그림을 통해 자기자신의 存在性을 표현하고자 하는 작가의 內的 動機로 발전하며, 이 표현물로서의 그림은 새로운 그들과 만나게 하는 의사소통의 言語的 機能을 갖게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視覺的 言語로서의 그림이 보여주는 응축된 象徵的 隱喩性은 이제 작가 개인의 세계를 떠나 또 다른 固有世界를 지닌 감상자의 內面構進에 의해 새롭게 태어나고 확장되어가는 생명성을 지닌 예술로서 승화되어지는 것이라고 하겠다. 상징 언어로서의 그림, 그것은 작가 자신에게 부여되는 세계에 대한 意味化의 결과물이요, 自身의 存在를 확인하는 삶의 진실한 태도이며 가치인 것이다. 자신의 내면세계로 부터 울려오는 깊은 自我의 어떤 울림에 진지하며, 내부로 열려 있는 意識에 순수할 때 만나지는, 이 말 너머의 세계를 통해 삶은 더욱 깊어지고, 신비한 存在로 意味되어 거듭 살아난다는 진리를 깨닫게 하는 것이다. 오늘날의 미술이 바로 이러한 世界와 나의 關係 속에서 그것을 어떻게 보아 내느냐의 「認識」적인 문제를 방법론으로 삼고 있다는 점은, 사물에 대한 단순한 아름다움의 再現이 아니라, 작가의 主觀的인 解에 의해 意味化 되어진 그 어떤 무엇을 어떻게 담아내고 表現하는 가의 指摘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시각에서 동양의 禪사상과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적인 사상으로의 전환적 사고를 중심으로 한 현상학적 내용을 線의 방법과 精神을 통해 통합적으로 살피면서 이러한 과정을 거쳐 스스로 드러나는 무의식적 自我의 깊은 內面世界를 경험하고, 자연스러운 書面에의 表現을 통해 그려진 그림을 媒介體로 하여 새로운 만남으로 열려지기를 바라는 바이다.;Painting a picture is expressing one's world and his one way of living. It is something mysterious that reveals itself by chance after many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s of living have been collected, thinned out, and condensed in the inner world of man. The revelation of this something mysterious is voluntary and unconscious one without the artist's knowing, and the artist's body is used only as a pathway that this unconscious voluntariness expresses itself on the outside. But the casuality of revelation of the unconscious world through the artist's body is not a simple one but a necessary consequence of the artist. The mysterious inner soul revealed from such a deep unconscious world develops to the artist's inner motivation of expression, and his painting as an expression begins to have a linguistic function for the communication and meet always new experience. the painting as a visual language shows a condensed symbolism which in turn to be newly born, expanded, and given a life by a new appreciator and becomes sublimated as a universal value and finally an art. The painting as a symbolical language thus is the results of painter's giving a meaning to his world, his sincere attitude, and value of life that can make him sure of his existence. therefore, a painter is the person who responds seriously to the echoes of deep self that rise from his inner world. When he is pure to the consciousness that is open toward inside, his life will be mature and take a meaning as a mysterious existence and therefore he will realize the truth that one can live a second life through a world beyond word. The fact that fine art today adopts such cognitive problems as how to understand a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world and painter himself as its methodology points out that it is not important for the artist to reproduce merely the beauty of things but to represent and express something meaningful through his subjective analysis.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enomenological theories of thoughts inclined toward a pluralistic idea including the Eastern Zenism and the Western Post modernism in total through the techniques and images of line. It is the author's hope of this study that individuals can experience the inner world of his of his deep down self that reveals itself voluntarily through such progress and meet wholly new world through the medium of a naturally painted pic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방법 = 3 Ⅱ. 본론 = 5 A. 이론적 배경 = 5 1. 포스트 모더니즘의 개념 = 5 2. 동양 禪사상과 指向性 개념 = 9 B. 방법적 연구 = 12 1. 현대드로잉의 개념 = 12 2. 內的自發性과 直接性의 표현 = 15 C. 드로잉 전개 = 21 Ⅲ. 결론 = 35 참고문헌 = 37 ABSTRACT = 3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8208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자아-
dc.subject내면이미지-
dc.subject동양 선사상-
dc.subject지향성 개념-
dc.title자아의 내면이미지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동양 선사상과 지향성 개념에 의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Inner Expression of Self-
dc.format.pagevi, 4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nbsp-
dc.identifier.major광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