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여미순-
dc.creator여미순-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1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0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5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075-
dc.description.abstractFrom the beginning of human history, the great nature has not only offered man the original dynamic of all the lives and big impression but also been a source of all the creations. Great Nature has given constant inspiration to man who has existed in her realm, and man has tried to embody the impressions from the nature in the various forms of art. Hence it is natural that every man at every place and period should give his permanent concern to Great Nature. It is because the people were supplied with all of their requirements and the models of life styles from the nature. Nature has always been the vast cache of precious treasure for art materials. As for art, it has been supplied with a continuous diversity of materials for its performance, and it , therefore, can be sometimes defined as a activity of imitating nature. Especially, Nowadays, as the environment of nature is getting worse and worse around human beings-this serious situations are threatening the lives of man more and more, we are calling for more careful attention to nature. The ways of representing this nature have changed all through the ages. These days modern fine art tends to reject such fixed ideas as "fine art is act toimitate just outward appearance of nature" in the past, and give more importance to the originality of artist which connects the external objects with the inner world in him. Consequently, This artist tried to experience her in my heart and identify her existence. dodging the simple description of nature. In addition, I "forced on extracting dyeing as a formative art into more creative inner world by modeling the image of nature in the form of geometrical model.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purpose, I give my important attempts to represent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man and nature, expression image inside human being, and embodying transformation formative expression. On the ground of those theories, I studied the work production process and experimented the works, so that produced 10 works and analyzed them like this. First, nature has been continuous object of expression by man, which has been completed by the representation of the inner world and originality of artist. It is definite that art is the creative expression activity on the supervision of artistic subject Second, This worker studied how the result occurred according to the dimension of cloths and kinds of starch and experimented on the effect of using the crack, when used, which adds aesthetic effect to works. In addition, I experimented on the effects which rise on the stark attached to tools. And through the experiment, I could chose and applied the right ways for work produ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new expression styles can be infinitely contrived by developing personal ways through grasp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s of works. This worker is about to analyzed thoroughly the deficiencies found this work production through more energetic and creative experiment. As the results of that, This worker will study more actively formative world harmonizing this conclusion with Modern sensitiveness;인간의 역사가 시작되면서 공존해온 대자연은 모든 생명의 원천일뿐 아니라 인간의 영혼을 감동시키는 창조의 원동력이기도 하다. 자연의 섭리안에서 자연의 일부분으로 존재해 오던 인간에게 자연은 인간에게 꾸밈없는 감동을 주며 인간은 그 감동을 예술이란 형식으로 형상화 시켜왔다. 동 서를 막론하고 사람들이 자연에 흥미를 갖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다를바 없다. 자연이 삶의 원천이고 표본이 되기 때문이다. 예술에 있어서 자연은 끊임없이 소재를 제공해주는 존재이며 또한 예술은 곧 자연을 모방하는 행위라고 정의를 내리기도 했다. 더구나 자연환경이 날로 황폐해 가면서 인간의 삶이 위협받고 있는 오늘의 세계는 더더욱 이런 관심이 절실한 것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자연의 표현 방식은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으며 현대미술은 대상을 그대로 묘사하는 고정관념을 거부하고 대상과 내면세계를 의식적으로 결합하는 예술가의 독창력을 중요시 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자연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기 보다는 자연과 대화하면서 자연을 안으로부터 경험하고 인간의 내면세계에 존재하는 자연의 이미지를 기하학적 형태로 형상화함으로써 조형예술의 염색을 보다 창조적 내면세계로 모색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예술의 표현 대상이 되는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인간의 내적 심상에 의한 추상표현, 변형과_형적 표현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자연과 인간에 대한 조형적 표현 방법으로 실험 연구 및 제작과정을 연구하여 10 점의 작품을 제작하고 분석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은 예술가에게 끊임없는 표현 대상이 되어 왔고 .그 표현은 예술가의 내면세계와 독창성의 표출로써 형성 되었다 할 수 있으며 예술은 작가의 주관에 따르는 창조적 표현 활동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험연구에 있어서 염색의 미적 효과를 더해주는 크랙을 표현하는데 천의 종류에 따른 호료의 두께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표현 효과와 호료를 바르고 도구를 사용하여 도구가 표면에 긁히면서 생기는 크랙표현효과를 실험연구 하였고 그 실험을 통해서 연구자의 작품 제작에 필요한 실험연구를 선택하여 적절하게 응용하였다. 셋째. 작품 제작 과정에 있어 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표현 기법의 실험연구로 개성적 기법을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표현 양식이 작가의 창조적 의도에 따라 무한히 개발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기반으로 본 연구자는 작업에서 나타나는 미흡한 점을 창의적 작품 활동과 실험 연구를 통해 보다 철저한 분석을 하고 현대적 감각과 잘 조화시킴으로써 좀더 적극적인 조형세계를 모색하고 연구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자연과 인간 = 3 B. 내적심상에 의한 추상표현 = 7 C. 변형과 조형적 표현 = 11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19 A. 작품의 형성 = 19 1. 표현소재 = 19 2. 실험연구 = 20 3. 제작과정 = 27 B. 작품분석 = 28 Ⅳ. 결론 = 48 참고문헌 = 50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1945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자연-
dc.subject인간-
dc.subject내적심상-
dc.subject호료-
dc.title자연과 인간의 내적 심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호료에 의한 작품 세계 제작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image inside between nature and human beings : Centered on Works production using starch-
dc.format.pagevi, 5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