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영주-
dc.creator전영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5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4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5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기여하는 문법 교육의 실제 연구에 목표를 두고, 텍스트를 기반으로 문장종결표현의 지도 내용을 구성하고 그 지도의 실제에 대해 논의한다. 문법 교육이 궁극적으로는 ‘창의적 언어능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문법 교육은 여전히 지식의 이해를 강요하고, 사용 맥락에 대한 다양한 고려 없이 정확성과 규범성의 측면을 일방적으로 강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법 교육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텍스트 기반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문장종결표현을 대상으로 그 지도 내용과 실제를 구성한다.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문법 교육의 방향으로 ‘텍스트 중심의 문법 기술’, ‘방법적 지식의 강조’, ‘언어 활동 중심’을 제시하였다. 텍스트 기반 문법 교육에서는 단순히 문장보다 큰 단위로서의 텍스트가 아닌, 의사소통과정의 생산물로서의 실제 언어물인 텍스트를 통해 문법을 고찰해야 하며, 이때 다루어야 할 지식은 문법의 개념적 지식이 아닌 실제 언어 사용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적 지식이어야 한다. 또 언어 능력 신장을 위한 언어 활동을 중심 활동으로 삼아야 한다고 본 것이다. 문장종결표현의 지도 내용은 텍스트적 관점에서 상황맥락을 참여자, 장면, 소통 방식으로 설정하여 문장종결표현의 개념과 기능을 재정리하고, 기존의 문법 교육에서의 문장종결표현의 형식 체계와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이렇게 텍스트적 관점에서 구성된 문장종결표현의 개념은 ‘텍스트 생산자가 자신이 인식한 세계관을 바탕으로 자신의 의도를 드러내기 위해 문장종결에서 일정한 법칙을 수행하는 언어 현상’이며 그 기능은 ‘텍스트 생산자가 인식한 세계에 대한 의도를 표출하는 기능’이라 정리할 수 있다. 즉, 문장종결표현의 주된 기능은 의도를 표현하는데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 의도가 문장 차원의 명제적 사실에 관한 것인지, 혹은 상황맥락에 대한 인식을 텍스트로 드러내는 것인지에 따라, 각각 텍스트 차원과 문장 차원의 방법직 지식으로 구분된다. 문장차원의 문장종결표현의 기능은 평서표현, 의문표현, 명령표현, 청유표현의 이해와 표현에 대한 방법적 지식으로 연결되고, 텍스트 차원의 문장종결표현의 기능은 격식체와 비격식체, 구어체와 문어체, 상대높임법, 표준어와 비표준어를 사용한 문장종결표현의 이해와 표현에 대한 방법적 지식을 설명한다. 이렇게 문장종결표현의 기능과 의미가 재해석되면, 문장종결표현의 범위는 보다 넓어진다. 종결어미에 따라 실현되는 문장유형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상대높임법, 구어체와 문어체, 격식체와 비격식체 등의 기능과 실제 사용까지도 문장종결표현이 설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텍스트 기반 문장종결표현 지도의 실제는 언어 사용 활동인 쓰기 활동에 초점을 맞추되, 직접 교수법 모형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상황과 의도에 따라 적절한 문장종결표현을 사용하는 능력을 기른다는 목표를 고려하여, 의도와 상황 맥락 요소에 따라 문장종결표현을 구현하는 쓰기 활동을 직접 교수법의 단계에 따라 제시하고, 각 단 계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 그리고 필요한 활동과 전략, 텍스트 사례 등을 제안해 보았다. 이렇게 텍스트를 기반으로 문장종결표현을 지도하게 되면 하나의 고정된 문법 형태로서의 문장종결표현이 아닌 사용자의 의도와 상황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문법으로 지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현하는 과정에서 독자나 청자를 고려하여, 문장종결표현을 하나의 전략으로 상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국어과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도 기대할 수 있다.;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investigating the practical grammar education that contributes to students'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It constitutes the teaching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based on text, and discusses the practices of such teachings. Even though it sh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reative use of language, the present-day grammatical teaching exclusively demands the imposition of rules and accurate use of grammar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various contexts of language us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such education, I have stressed the necessity of text-based grammar education in the thesis, and have constituted the contents and practices of the teaching with the sentence-ending expressions. I have proposed as the courses of text-based grammar education the following: text-based grammar skill, emphasis on methodical knowledge, and focus on language activities -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listening. In the text-based grammar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view grammar not within the text that is a grammatical unit slightly larger than a sentence, but within one that is the product of a communication process. The knowledge to be taught should then be the methodical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the actual use of language, rather than the conceptual knowledge of grammar. The language activities should also be focusing on improving the use of language. The contents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teaching have been organized in such a way that the factors of situational context are defined as the participants, the background, and the method of communication, from which the concept and function of the sentence-ending expressions are found. The textual meanings (concept and function) are then matched against the syntactic system under the classic grammar education - such as kernel, interrogative, imperative, and exclamatory sentence. In the textual point of view, the concept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can be defined as a use of language in which the creator of the text exercises a certain set of rules in sentence-ending in order to demonstrate the intentions perceived from his/her own view of the world. The function of the above can be boiled down to 'expressing his/her intention about the world in the very eyes of the text creator.' When the concept and the function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are redefined, the range of it broadens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the 'sentence-ending expressions' now not only deal with the different types of sentenc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word-endings used, but it goes a step further to cover the actual use of the language and the situational functions such as the honorific word, literary style, colloquial form, formal and informal styles. The examples provided in the thesis, of the text-based teaching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focus on the writing activities, and demonstrate the method in which the direct instruction model is used. The object of these examples is in developing the ability to use appropriate sentence-ending expressions according to different situations and intentions. Based on this, I have presented the writing activities in which different sentence-ending expressions are used according to the steps in direct instruction method, and have proposed the teaching materials in each step, necessary activities and strategies, and some examples of text. With text-based sentence-ending expressions, we can teach strategic grammar that can be utilized according to the writer( or speaker)'s intentions and situational context, instead of those that serve as a fixed form of grammar. Moreover, in expressing his/her ideas, the writer (or speaker) can use the sentence-ending expressions in different circumstances as a strategical tool to consider the readers and listeners - which may lead to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n ultimate goal i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연구 검토 5 C. 연구 방법 및 제한점 10 D. 용어 정리 12 Ⅱ. 문장종결표현 지도에 관한 비판적 고찰 15 A. 문법 교과서의 문장종결표현의 지도 내용과 그 한계 15 B. 담화ㆍ텍스트적 관점에서의 문장종결표현 21 Ⅲ. 문장종결표현의 지도 내용 구성 27 A. 텍스트 기반 문법 교육의 방향 27 1. 텍스트 중심의 문법 기술 28 2. 방법적 지식의 강조 30 3. 언어 활동 중심 32 B. 텍스트 기반 문장종결표현의 지도 내용 35 1. 문장종결표현의 기능과 개념 35 2. 문장종결표현의 지도 내용 구성 43 가. 문장종결표현의 방법적 지식 구성 43 나. 학습 목표와 지도 과정 구성 48 Ⅳ. 텍스트 기반 문장종결표현 지도의 실제 52 A. 텍스트 기반 문법 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 설계 52 1. 목표와 방법 및 평가 52 2. 직접 교수법에 의한 수업 모형 설계 55 B. 수업 모형을 적용한 문장종결표현의 지도의 실제 60 Ⅴ. 결론 70 참고문헌 73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86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텍스트 기반 문장종결표현 지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eaching text-based sentence-ending expressions-
dc.creator.othernameChun, Young Ju-
dc.format.pagevii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