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7 Download: 0

Neo-Carmen의 무용의상 디자인 연구

Title
Neo-Carmen의 무용의상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 of Neo-Carmen costume
Authors
김이경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의상디자인전공
Keywords
무용의상디자인Neo-Carmen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Dance is a synthetic art that based on the humanbody-an expressional medium-, the fixed content of a work appears on the stage. Therefore, the costume for dance has a suggestive function which helps the interpretation of dance, thereby taking a role to bring the formative beauty and expressional nature of visual art into relief. The costume for dance, different from usual dress, is put on dancers on the stage, and therefore it should be harmonized with the stage setting, lighting, and other various elements. It should be not only consistent with the dancer's interpretation of a work but also it should be so produced that the significance and internal world of the original work can be expressed, thereby arousing the audience's sympathy. The content of this thesis is one that based on a ballet-carmen- composed by Roland Petit, the costume of the heroine, Carmen, produced in reinterpretation of it into a modern sense, has been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ased on Carmen, the heroine of gorgeous, dynamic and sensual charm, to search for a new expressional method of the costume, breaking from the expression of habitual, traditional ballet costume, and then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ballet costume and its possibility. The contents of analysis and the process of theoretical studies are as follows : In the first place, the basic role of costume was closely reviewed each element of costume design such as color, line and texture was reviewed respectively in terms of how each element affects costume and what relations exist between those elements. In the second place, the artistic background of ballet the 18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as reviewed the transitional process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ballet costume according to that background were studied. In the third place, Carmen who appears in a novel, one who appears in opera, and one who appears in ballet were comparatively studied, and specially Carmen who appears in the ballet composed by Roland Petit was illuminated, and then the character and content were analytically studied. Based on such process of studies, it was intended to newly interpret the traditional ballet costume, and total 8pieces of ballet costume were produced, focussing on the modern sense. Conclusions are as follows : First, regarding colors, black and red as colors to well correspond to the images of Carmen's passionate character and her tragedy could help to promote the unification of the space of the stage and the audience's emotion. Second,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lines, the simple, strong line applied to the costume could give effect to the dancer's role expressing Carmen's character and the dancer's empathy. Third, regarding the choice of a subject matter, the images of velet and a glossy subject matter breaking from the subject matter of typical dance costume were more suitable to express Carmen's character than those images of existing subject matter. Fourth, regarding three-dimensional formative beauty, based on the tights which can well express the line of the dancer's body and adding the three-dimensional formative beauty proper to dynamic spatial composition to that, a sense of 'effective space' could ge achieved. Fifth, the close relation between dance and costume wa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the methods of new expression and expressional communication were searched for, and it could he recognized that the ex- pression of the internal world of works is a significant part which brings a sense of integration with audience. This is reidentification that there is a necessary relation between dance and costume. It is deemed that there should be new attempt and studies on artistic, initiative, and effective expressional methods in the field of dance costume through which the nature of a work can look better, in the future. And the works of dance costume should be also well utilized in real performance. Also, the systematical refinement of the theory of costume should be achieved. And joint, experimental work both by choreographers and costume designers should be done, and through actual performance on the stage, more effective costume should be theorized.;무용은 인체를 표현매체로 하여 작품의 내용을 무대위에 재현하는 종합예술이다. 따라서 무용의상은 무용의 해석을 도와주는 암시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시각예술로서의 조형미와 표현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부각시켜야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무용의상은 일상복과는 달리, 무대 위에서 무용수에게 입혀지는 옷이므로 무대장치, 조명, 기타 여러 요소들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무용의상은 안무자의 작품해석과도 일치하여야 함은 물론, 원작품의 의의와 내면세계까지 표출하여 관객과 공감을 이룰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롤랑 쁘티(Roland Petit)가 안무한 발레 「Carmen」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주인공 카르멘의 의상을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한 Neo-Carmen의 의상을 제작하고 고찰한 내용이다. 화려하고 강렬하며 관능적인 매력의 주인공 카르멘을 대상으로 하여, 관습적인 전통적 발레의상의 표현에서 벗어난 새로운 표현 방법을 모색하고, 나아가 무용의상의 발전적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과 이론의 전개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의상의 기본적인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 디자인 구성요소를 색, 선, 질감으로 나누어 각 요소가 무용의상에 미치는 효과 및 요소 상호간의 관계를 알아 보았다. 둘째, 18C에서 20C 초까지 발레사의 예술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에 준하는 발레의상의 변천과정과 시대별 특징을 고찰하였다. 셋째, 작품 「Carmen」의 소설, 오페라 그리고 발레 「Carmen」에 대하여 비교 고찰하고, 그 중 롤랑 쁘티의 발레 「Carmen」의 성격과 내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기초로 하여 전통적 발레의상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현대감각에 중점을 둔 총 8점의 Neo-Carmen 작품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① 색상 : Black과 Red는 작품 카르멘의 열정적인 성격, 비극적인 결말의 이미지와 잘 부합되는 색상으로서 무대와 관객의 정서적 합일을 촉진시키는 데에 일조할 수 있었다. ② 선의 응용 : 단순하면서 강렬한 선의 사용은 카르멘의 개성을 표출하려고 하는 무용수의 역할과 감정을 전달하는 데에 효과를 줄 수 있었다. ③ 소재의 선택 : 전형적인 무용의상의 소재에서 벗어난 벨벳과 광택있는 소재의 이미지가 기존의 소재보다 주인공 카르멘의 개성을 표현하는 데에 적합하였다. ④ 입체적 조형미 표현 : 인체의 선을 가장 잘 표현해 낼 수 있는 타이즈를 기본으로 하여 그 위에 동적 공간구성에 적합한 입체적 조형미를 더한 효과적인 공간감을 얻을 수 있었다. ⑤ 무용과 무용의상의 필연적 연관성 : 본 연구를 통하여 종래와 다른 새로운 표현 및 전달방법을 모색하였으며, 무용의상이 작품의 내면세계까지도 표출하여 관객과 일체감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시킬 수 있었다. 이것은 무용과 무용의상 디자인과의 필연적 연관성에 대한 재확인이라고 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무용의상 연구에서는 무용의 작품성을 보다 돋보이게 하기 위한 예술적, 창의적, 효과적인 표현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도와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에 의한 무용의상 작품이 실제 공연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체계적인 이론 정립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안무자와 무용의상 디자이너의 공동 실험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실제 무대에서 공연을 통하여 더 효과적인 무용의상으로서 정립되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