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성신-
dc.creator박성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4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4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437-
dc.description.abstract장애영유아와 그 가족을 위한 조기 중재는 영유아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자연적인 환경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이에 가장 중요한 공간은 바로 가정이며 가장 중요한 사람은 부모를 비롯한 그 가족이다. 가정방문은 장애영유아와 가족이 자신들의 개별 가정에서 필요로 하는 광범위한 서비스를 지원받기에 유용한 프로그램이다. 가족을 중심에 둔 가정방문 프로그램은 가족이 아동에게 새로운 교수를 적용하고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가족이 일과와 가정 내 물건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가족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하는데 초점을 둔다. 즉, 가정방문을 통해 다양한 지원을 제공받은 장애영유아와 그 가족들은 자신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나아가 부모들 스스로가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뇌병변장애 영유아와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방문지원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어머니와 영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1세에서 5세 미만의 뇌병변장애 영유아와 그 어머니 20가정으로 중재에 참여하는 실험집단 10가정과 중재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 10가정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은 1회기의 중재 전 인터뷰와 12회기에 걸쳐 교수적 지원, 자연적 환경 지원, 정보지원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중재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의 성과로는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와 영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을 살펴보았다. 양육효능감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어머니를 대상으로 영유아 양육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Gross & Rocissano, 1988; 1998), 두 집단 간의 사전 사후 변화 정도가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어머니 상호작용 행동과 영유아 상호작용 행동은 어머니 행동 평정 척도(김정미 등, 2000; Mahoney et al., 1998)와 아동 행동 평정 척도(김정미 등 2000, Mahoney & Wheeden, 1999)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변화 정도가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종속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병변장애 영유아 가정을 위한 방문지원을 받은 어머니 집단의 양육효능감의 변화가 지원을 받지 않은 어머니 집단의 양육효능감의 변화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방문지원은 뇌병변장애 영유아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뇌병변장애 영유아 가정을 위한 방문지원을 받기 전의 어머니 상호작용 행동은 지원을 받은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방문지원은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뇌병변장애 영유아 가정을 위한 방문지원을 받기 전의 영유아 상호작용 행동은 지원을 받은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방문지원은 영유아의 상호작용 행동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뇌병변장애 영유아와 그 가족의 요구를 파악하여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방문지원은 어머니의 심리적 면과 실질적인 행동 변화 뿐 아니라 영유아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잠재적으로 어머니의 양육 행동 및 양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영유아의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장애영유아와 그 가족이 참여하고 그 가족을 지원하는 가정방문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다. 따라서 다른 발달지체 및 장애영유아 가족, 그 중에서도 특히 0-3세의 영유아 가족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요구에 맞는 방법과 내용을 가진 방문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home visit family support program for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n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and interaction behavior of mothers and children. In this study, twenty families of young children from 1 year to under 5 years old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10 families for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0 families for control group. Home visit program included preintervention interviews to examine the needs of families and 12 home-visit for intervention. During home visit, natural support, instructional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were provided by the investigator. The Toddler Care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MBRS) and Child Behavior Rating Scale(CBRS) were used to measure interaction behavior of mother and children. To assess parenting efficacy,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to assess interaction behavior,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nly for experimental group were analyzed using dependent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parenting efficacy of m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indicates that changes in parenting efficacy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Second, in interaction behavior of m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experimental group. This indicates interaction behavior of mother was significa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Third, in interaction behavior of childre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experimental group. This indicates interaction behavior of children was significacantly in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ome visit family support programs for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howed effectivenesses in increasing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and interaction behavior of mothers and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ii 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장애영유아 가족지원 7 1. 장애영유아 가족지원의 원리 7 2. 장애영유아 가족지원의 실행 9 3. 장애영유아 부모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 11 B. 장애영유아 가정방문 프로그램 16 1. 장애영유아 가정방문 프로그램의 정의와 필요성 16 2. 장애영유아 가정방문 프로그램의 구성 17 3. 장애영유아 가정방문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 22 C. 양육효능감 26 1. 부모 양육효능감의 중요성 26 2. 장애영유아 부모의 양육효능감 증진에 관한 선행연구 28 D.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31 1. 부모와 아동 상호작용의 역할 31 2. 어머니와 장애영유아의 상호작용 증진에 관한 선행연구 34 Ⅲ. 연구 방법 37 A. 연구대상 37 B. 실험 기간 41 C. 실험장소 42 D. 프로그램 성과 측정 42 E. 독립변인: 방문지원 46 F. 연구 절차 54 G. 어머니와 영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에 대한 관찰자간 신뢰도 64 H. 자료 처리 65 Ⅴ. 연구결과 66 A. 뇌병변장애 영유아 가정을 위한 방문지원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66 B. 뇌병변장애 영유아 가정을 위한 방문지원이 어머니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67 C. 뇌병변장애 영유아 가정을 위한 방문지원이 영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68 Ⅵ. 논의 및 제언 70 A. 논의 70 B. 제한점 77 C. 제언 78 참고문헌 80 부록 95 ABSTRACT 12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854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뇌병변장애 영유아 가정을 위한 방문지원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어머니와 영유아의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Home Visit Family Support Program for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n the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s and Child Interaction Behavior-
dc.creator.othernamePark, Seong-Shin-
dc.format.pageⅷ, 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