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선희-
dc.creator백선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4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9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4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975-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presentation of the desirable learning program in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among the 6th education courses which will be enforced since 1995, and to the development of the effective courseware. Now the study for the computer basic theory in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is inactive in order to consider the efficient application method of CAI, this study applied the courseware to the practical scene of school and analyzed the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learning method. For the test application, the 1st grade students of the south and north middle schools of the Han River are divided into individual lesson group and small group, and again the former is divided into CAI application group and none application group, and the latter into preview group and review group according to the lesson method. The study applied for the spot was executed with the courseware suitable for the basic education for the computer field of the middle school I technique subject, suitable for the H/W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of school. For the result of this case study, we can reach the conclusion that the practically applied computer courseware of middle school technique subject has learning effects about using of CAI which makes individual learning possible during guoup learning. During this study, if there are some difference among the already established studies, selecting the relative large figures' speci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made the results of the study reasonable. Especially, the use of CAI is computer education is essential and efficient, because the learning through computers is effective by offering the opportunities of the experience that computers can be used in human life.;본 연구의 목적은 1995년부터 실시될 제6차 교육과정 중 중요시 되고 있는 중학교 컴퓨터 교육에 대한 전산 기초 이론분야의 연구가 미미한 현 시점에서 CAI의 효율적인 활용방법을 실제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일반적인 학습방법에 따라 분석 연구하므로서 중학교 컴퓨터 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학습방안 제시와 효율적인 코스웨어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있다. 실험 적용을 위해서 강남과 강북의 총 2개 중학교 1학년 학생을(880명)을 대상으로 개별학습 집단과 소그룹 집단을 구분하고, 개별학습 집단에서는 CAI 적용 집단과 비적용 집단으로 구분하고 소그룹 집단은 하습방법에 따라 예습과 복습 집단으로 4개의 실험 집단을 선정하였다. 실험 적용 학교의 교육환경에 따라 H/W 기종에 적합하고 실제 중학교 1학년 기술 과목 중 전산부문에 대한 기초교육에 부합되는 전산코스웨어를 선정하여 현장적응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사례연구의 결과로 집단수업 속에서 개별화 수업을 가능케 하는 CAI 활용에 대해서 중학교 기술과목 중 전산부문에 현장 적용 평가된 전산 코스웨어는 학습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기존의 연구들과의 차이점이 있다면 실험집단을 선정하는데 있어서 비교적 많은 숫자의 표본을 선정했다는 점이 보다 타당성 있는 연구결과를 내는데 도움이 되었다. 특히, 전산분야 교육에는 CAI의 사용이 필수적이면서도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컴퓨터가 인간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므로 컴퓨터를 통한 학습자체가 주는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4 C. 연구방법 및 범위 = 5 D.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CAI의 개념 및 정의 = 7 B. CAI의 유형 및 특성 = 9 C. CAI의 활용 방법 = 12 Ⅲ. 사례연구 = 17 A. 연구의 가설 = 17 B. 실험집단 = 18 C. 시범적용 단원 = 21 D. 실험 도구 및 절차 = 25 1. 코스웨어 = 25 2. 교육환경 = 28 3. 실험절차 및 시기 = 34 Ⅳ. 학습효과 분석 = 35 A. CAI를 적용한 학습효과 분석 = 35 B. CAI 학습에 대한 반응과 의견 = 43 C. 결과에 대한 논의 = 53 Ⅴ. 결론 및 제언 = 56 A. 결론 = 56 B. 제언 = 59 참고문헌 = 61 # 부록1 : CAI 학습에 관한 사전 설문 = 64 # 부록2 : 학업 성취 사전 평가 = 67 # 부록3 : 학업 성취 사후 평가 = 70 # 부록4 : CAI 학습에 관한 사후 설문 = 73 ABSTRACT = 7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3549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컴퓨터교육-
dc.subjectCAI적용-
dc.subject기술과목-
dc.title중학교 컴퓨터 교육을 위한 CAI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중학교 1학년 기술과목중 전산부문 중심-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CAI Application for Comput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 based in the Computer Lesson in Middle School I Technique Subject-
dc.format.pageviii, 7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전자계산교육전공-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전자계산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