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1 Download: 0

전공자를 위한 음악능력 테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전공자를 위한 음악능력 테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DEVELOPING MUSICAL ABILITY TEST FOR MUSIC MAJORS
Authors
박영윤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전공자음악능력테스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sical ability test for music major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has aimed to : (1) examine physical aspects of sounds such as pitch, intensity, and timbre. ; (2) refine the definition of the term 'music ability'by studying and theories concerned on the topic ; (3) map the history of music ability tests, and provide a guideline for developing music ability test. Through these procedures, the researcher has developed a musical ability test to measure four basic concepts of music - pitch, duration, intensity, and timbre. The developed test has been taped and is an aural-based test. The test was assessed to 35 music major students and the results are follows : (1) The students showed a gradual score variation - from high to low with the following order - the pitch(highest), duration, intesity, and timdre (lowest). (2) Music college students mostly have high musical aptitude. However, degrees of aptitude, achievement, and performance are not directly correlated. (3) It could be safe if we give more chance to the student who has achieved a high score on aptitude test, achievement test, and major instrument performance when we decicde the final candidates for entrance examination. In terms of developing the music ability test all the researcher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 (1) The developed test should have a high degrees of validity, discrinatory, and reliability. (2) The quality of test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point in administering the test. So it is advisible to use the best quality audio equipment in making the test. (3) The test answer score should be desinged to use ''a computer-based checking system" so to save to evaluate and energy and error should be minimized. (4) Basic musical ability test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n music classes.;1994년, 현재 입시제도에 의하면 대학에서 음악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은 수학능력시험과 내신성적, 그리고 실기시험으로 입학여부를 가리게 되어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의 정도는 실기점수만으로 평가되게 된다. 대학은 전문적인 음악인을 양성하는 곳이므로 전문음악인으로서의 자질을 가진 신입생을 선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문음악인이라면 음악의 본질개념에는 이미 익숙한 상태여야 한다. 따라서 음악대학의 신입생을 선발할 때에는 입시생들이 과거에 학습한 것의 달성도와 전문 음악인으로서의 미래적 가능성, 두 가지 측면을 모두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 입시제도 하에서는 입시생들이 대입을 목표로 한 입시곡만을 위주로 기계적인 실기연습에 주력하게 되고 그 결과 대학에 입학한 이들이 자신의 전공실기에 있어서 조차 비교적 간단한 리듬적 문제를 해결하는데도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상황은 개인의 음악적 감수성 개발을 통한 음예술의 실현과 자아실현의 성취를 이상으로 하는 음악교육의 목적에 어긋나는 일이 된다. 그러므로 음악대학의 신입생 선발시에는 실기시험 이외에 그들의 전문 음악인으로서의 음악적 능력을 적성과 성취, 양 측면에서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있어야 하겠다. 이와 같은 필요성을 감안하여 연구자는 청취를 통한 음악능력 테스트의 개발을 제안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다음의 세가지 주제를 연구과제로 삼는다. 첫째, 공기의 진동이 어떻게 우리에게 소리로서 감지되며 소리의 높낮이, 강도, 색이 어떻게 감지되는지를 물리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여 그것의 음악능력과의 관련성을 알아본다. 둘째, 음악 능력의 언어적 정의와 일반적으로 음악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되는 제한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음악능력의 본질에 접근하겠다. 셋째, 음악능력 테스트가 만들어지기 까지의 역사적 배경과 외국의 음악교육 심리학자들에 의해 고안된 다양한 음악능력 테스트들의 예를 살펴봄으로써 음악 능력 테스트 시안의 방향을 설정해보고자 한다. 연구자는 문헌을 통해 위의 과제를 연구한 결과 4가지 음악의 본유개념, 즉 음의 높이, 길이, 강도, 색 등에 촛점을 두어 학생들의 심미적 감수성을 측정할 수 있는 음악능력 테스트의 모형을 제작하였다. 테스트 모형의 제작은 포항공과 대학교의 대학원 전자계산학과 그래픽스 연구실과 서울의 비틀즈 녹음실에서 1994년 8 - 9월에 걸쳐 수행한 두차례의 녹음으로 완성되었다. 완성된 테스트의 모형은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관현악과 4학년 학생 35명에게 실제 적용해본 것으로서, 거기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에게 가장 친숙한 개념은 음높이이며 그 다음은 길이, 강도, 색 순이었다. 2. 음대를 지망하는 학생들은 대부분 높은 음악적 적성을 보유하고 있으나 적성도와 성취도 그리고 실기점수가 한 학생에게 있어서 반드시 정비례적인 것은 아니었다. 3. 적성도, 성취도 그리고 실기점수가 모두 높은 학생들은 전문인력의 양성소인 음악대학의 신입생 선발시 우선권을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은 음대 입시생들이 실기의 기계적인 연습에만 주력하지 않고 음악의 기본적인 개념에도 친숙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연구자는 테스트의 제작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음악능력 테스트 모형의 제작시에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개념의 난이도를 정하는데 있어서 변별과 문항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세심히 고려되어야 한다. 2. 청취를 통한 음악능력 테스트의 경우, 테스트의 청각자료의 녹음이나 테스트하는 기계적 장비에 있어서의 음질이 중요한 결정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최상의 조건이 요구된다. 3. 피험자가 답한 테스트의 답안지는 컴퓨터에 의해 처리 될 수 있도록 제작하여야 시간적으로 손실이 없고 평가하는데 있어서 노력과 실수가 최소화 될 수 있다. 4. 음악능력 테스트는 학생들의 음악적 잠재력의 측정뿐 아니라 그들의 학습 달성도를 평가하는데에도 이상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공자들을 위한 것 외에도 초·중·고 교육단계에 맞는 다양한 음악능력 테스트의 개발도 활성화 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