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安桂原-
dc.creator安桂原-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1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7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4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704-
dc.description.abstract자아교육은 과학학습을 통하며 학생의 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정의적 및 심체적 영역의 발달도 도모하여 학생 개인의 전인적 발달에 공헌한다. 다시 말해서 과학교육은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과학개념이라 법칙을 이해시키고 과학적 태도도 길러준다. 제 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정의적 영역의 교육목표가 명기되어 있으나, 현장에서는 정의적 영역을 소홀히 다루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의 과학성적, 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담당 과학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 중 어느 요인이 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가장 상관 관계가 높은지를 조사함으로써 학생들의 정의적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의의 중학교 1학년 학생 205명과 과학교사 9명이었고, 학생과 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조사는 TOSRA(1981)와 박승재(1980)의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검사는 이연우(1989)의 표준화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중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결과를 종합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점수는 평균 66.8점으로 다소 낮았으며, 학생이나 교사의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2. 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 점수는 평균 61.1점으로 다소 낮았으며, 학생이나 교사의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5). 3. 학생의 과학성적, 과학 탐구능력, 담당 과학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 중에서 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은 학생의 과학 탐구능력으로, 그 상관계수 R은 0.3102이었다(p<.05). 4. 남학생의 경우는 학생의 과학성적이(R=0.2746), 여학생인 경우는 하생의 과학 탐구능력이(R=0.4456) 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p< .05). 5. 상위성적집단의 학생인 경우는 학생의 과학성적의 상관계수 R이 0.3406으로 세가지 변수중에서 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가장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p< .05), 하위성적집단의 학생인 경우는 학생의 과학성적, 과학 탐구능력, 담당 과학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 모둔가 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상관이 없었다(p>.05). 6. 남교사에게 배우는 학생인 경우는 학생의 과학 탐구능력이(R=0.3220), 여교사에게 배우는 학생인 경우는 학생의 과학성적이(R=0.낀80) 세가지 변수중에서 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가장 높을 상관관계를 보였다 (p< .05). 따라서, 학생의 과학성적, 과학 탐구능력은 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담당 과학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A commonly voiced belief among educators is that affective domain is as important as cognitive domain in science education. But, in school affective domain is overlooked for many difficul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ich variable is the best predictor of students ' science-related attitudes. Three influence variables were tested : students ' science achievement,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and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This study has made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 from 205 1st graders in 5 different middle schools in Seoul. The instruments used for measuring attitudes were TQSRA and questionnaire developed by Sung-Jae instrument used for measuring science process skills was standardized test developed by Youne-Woo Lee. The results was analyzed by multiple-regression in the statistical packages SPSS/PC^(+).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was 66.8,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of students and teachers(p> .05) 2. The mean scores of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was 61.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of students and teachers(p> .05) 3.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was the best predictor of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among three influence variables(R=0.3102, p<0.5). 4. The best predictor of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was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for boys(R=0.2746) and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for girls(R=0.4456, p< .05). 5.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y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The best predictor of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was students ' science achievement for high level students(R=0.3406, p<.05). And there was no related variable to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for low level students(p> .05). 6. The best predictor of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was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for students taught by male teachers(R=0.3220) and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for students taught by female teachers(R=0.3480, p< .05).-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태도의 개념 = 5 B. 과학에 관련된 태도 = 6 C. 정의적 영역의 평가 = 6 D. 화학 탐구능력 = 8 E. 선행 연구 = 12 Ⅲ. 연구의 방법 및 절차 = 14 A. 연구 대상 = 14 B. 검사 도구 = 14 C. 검사 절차 = 18 D. 자료 처리 = 18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19 A. 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조사 결과 = 19 B. 과학 탐구능력의 조사 결과 = 21 C. 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 조사 결과 = 22 D. 학생의 과학성적, 학생의 과학 탐구능력, 담당 과학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의 다중 상관관계 = 23 Ⅴ. 결론 및 제안 = 34 참고문헌 = 36 부록 1. 학생용 과학에 관련된 태도 조사 설문지 = 40 부록 2. 학생용 과학 탐구능력 검사지 = 46 부록 3. 교사용 과학에 대한 태도 조사 설문지 = 51 ABSTRACT =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2187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생-
dc.subject과학-
dc.subject과학성적-
dc.subject과학탐구능력-
dc.subject과학교사-
dc.title중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과학성적, 과학탐구능력, 과학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상관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lation among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science achivement, science process skills, and Teachers' attitudes-
dc.format.pagevii, 5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