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鄭賢周-
dc.creator鄭賢周-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0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0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3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004-
dc.description.abstractIn our country, unification policy has the important meaning as the national pursuit with achieving liber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supplying new aspect about the unification policy. And the analytic objects are President as the central variable and the other variables which are influencing to the President. The object periods of this study are divided the late-President Park Chung-hee, ex-President Chun Doo-hwan and Roh Tae-woo. In this article the analysis had been made in the three aspects, such as these three President's personal characters, staff structure which had aided President's policy -making in our unification policy each period., Presidential Secretary, Agency for National Security Planning (ex-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and Ministry of Unification. And as the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were influenced President-centered policy-making structure, international and domestic variables had been studied. First, in the analytic result of Park's policy-making, in the 3th republic, the nation dividing crisis intensified because of cold war system, the reinforced regional security system South Korea-USA. Also, the crisis was reinforced by the structural and military confrontation because of the use of armed force toward South Korea by the revolutionary strategy for attaining hegemony of North Korea. Domestically, owing to the weak social force and the blank of the non-governmental groups' unification argument, the crisis of legitimation coming to power had been internalized. With this circumstances, President Park's inferiority complexes which were resulted from his own ideology previous history and economic and military gap toward North Korea, had made much of anti-communism, and the economic and national security ideology. As the first policy he had pursued enlargement-centered economic development and unification policy in order to win communism. In this period, the leading variables in policy-making structure were Presidential Secretary. In the 4th republic, the detente mood between USA and USSR and the weakening regional security system between South Korea and USA caused by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 changes. Owing to the decreasing international status of North Korea and the adjustment of strategy toward South Korea, President Park had internalized Korea's dividing crisis as the only Korean's problem. Domestically the unification argument had limitedly started in the field of social force. There had been intensified the anti-government movement. Thus, legitimation crisis had been more intensified and President Park had to confront these problems positively. Owing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70's, he overcame the complex toward North Korea's system. By his attaining confidence he had tried to get in touch with North Korea in order to make up profitable circumstance for systematic rebuilding. He also stood on the nation revival as the governing ideology. The 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ad been the leading aide group at making unification policy. Second, in the President Chun' s unification policy,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dividing crisis had been deteriorated again by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s. For example, in the early 1980s' there are neo-cold war system between USA and USSR, 're-strengthening regional security system of South Korea-USA, refusing talk of North Korea toward the Chun's government, and trying terror toward South Korea's VIP. Domestically, social disorder had been deepening because of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crisis. And these had caused the crisis of Chun's legitimation. Unquetionably, President Chun had made much of anti-communism and national security personally and had the strong belief on the peaceful political power shift. Also he had propelled stabilization-centere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and competitive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t the beginning of the 5th republic, Army Security Agency and the military government authorities had been the central unification policy -making aide organizations, and their most important aims were keeping Chun's political power system. After the half of the 5th republic, USA's adjustment about the Korean policy, North Korea's flexible attitude toward the Chun's government and his propelling opening policy. Also, new detente mood appeared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Domestically, by enlarging and arising the unification movement and strengthening the anti-government struggling, the crisis of legitimation and liberalization demanding had been disclosed. Although Chun' s government suggested positively South and North Korea's talk in order to overcome these status, that resulted in only frequent talk and exchange. Agency for National Security Planning had been the leading aide group at making unification policy. Third, in the Roh's unification policy, in the late 1980's military detente and non-ideological national relation had been pursued by the international mood of opening and reconciliation. And in this time, new aspect had been showed in both Korea's dividing crisis and relationships. Also, North Korea had pursued leadership shift, actual policy toward South Korea, and reformation for opening policy. Domestically as social power group's liberalization demand had been matured and strengthened due to the Roh's declaration on July 29, 1987. The role of Parliament was more intensified, and the people unification movement became violent. President Roh couldn't help pursuing politic endeavor positively for overcoming the dividing crisis. Thus, as the government policy achievements he had established liberalization and the formation of unification foundation at his own inclination. And he achieved the amities with several community countries such as Russia and China. The 6th republic had showed the several new characteristics, for example, decreased national security ideology, intensified welfare policy. However Roh's policy priority had been disordered by these confusing elements. In this period the leading variable at making unification policy was also the Presidential Secretary. In conclusion, the unification policy making had been made by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environmental variables, the Presidents '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ff structures. In addition, those policy -making had been decided secretly. So, the aspect of the content in the unification policy had been realized in some extent, while other aspects of policy realization, such as the policy continuity, the subject and the procedure, had not actually showed changes and developments.;우리나라에 있어서 통일정책은 민주화와 경제발전과 함께 달성되어야 할 국가 목표로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일정책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통일정책의 결정에 대한 중심변수로서 대통령과 대통령의 정책결정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대상기간은 박정희 대통령, 전두환 대통령, 노태우 대통령의 세 시기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 세 대통령 개인의 특성에 대한 분석과 함께 우리나라 통일정책 결정구조에 있어 대통령의 정책결정을 돕고 보좌하는 제도적 장치와 보좌집단으로서 대통령 비서실, 국가안전기획부(전 중앙정보부), 통일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통일정책 결정구조에 영향을 주는 환경변수로서 국제적 변수와 국내적 변수를 살펴보았다. 첫째, 제 3공화국 박정희 대통령의 통일정책 결정에 관한 분석 결과를 보면, 미소냉전체제와 한미 지역안보체제의 강화, 북한의 패권적 혁명전략에 의한 대남 무력도발로 나타난 남과 북의 체제적·군사적 대립으로 분단 위기는 심화되었다. 그리고 국내적으로 사회세력의 취약과 비정부차원의 통일논의의 공백으로 인하여 정당성의 위기가 잠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여건과 함께 박대통령은 개인적으로 자신의 사상전력에 대한 콤플렉스와 북한에 대한 경제적·군사적 격차에서 기인한 열등감을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심리적 배경은 그로 하여금 반공이념과 경제·안보 제일주의의 통치이념을 중시하고, 팽창위주의 경제발전과 승공통일정책을 추진하게 한 것이다. 이 때 통일정책결정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변수는 이후락 실장을 중심으로 한 대통령 비서실이었다. 제 4공화국의 박정희 대통령은 당시 미소간의 긴장완화와 한미 지역안보체제의 약화와 함께 북한의 국제적 입지 약화, 대남전략의 수정이라는 국제적 환경변화는 한반도문제의 한반도화를 통해 분단위기를 민족 내부문제로 내재화시켰다. 그리고 국내적으로 사회세력의 통일논의가 제한적으로나마 이루어지기 시작하였고, 반체제 운동이 심화되게 되었다. 즉 박정권의 정당성 위기는 제 3공화국에 비해 더욱 심화되었고 박대통령은 이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만 했다. 그리고 그는 70년대 들어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북한에 대한 열등감을 극복할 수 있었고, 통치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됨에 따라 체제 개혁의 유리한 상황을 조성하고자 대북접촉을 추진하고, 민족 중흥의 통치이념을 부각시켰던 것이다. 제 4공화국의 통일정책의 결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보좌기관은 이후락 부장을 중심으로 한 중앙정보부였다. 둘째, 제 5공화국 전두환 대통령의 통일정책결정은 80년대 초반의 미소 신냉전 체제, 한미 지역안보체제의 재강화, 그리고 북한의 全정권에 대한 대화거부, 테러시도 등의 국제적 상황으로 인하여 남북 관계는 다시 긴장되고 분단위기는 심화되었다. 또한 국내적으로 정치적 위기 상황, 경제발전의 위기로 인한 사회혼란이 심화되고, 따라서 전정권의 정당성 위기는 극대화되었다. 全대통령은 내면화된 반공정신으로 인하여 반공·안보 이데올로기를 중시하였고, 평화적 정권교체에 대한 강한 신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안정 위주의 경제발전 정책을 추진하고, 남북관계에 있어서 대화있는 경쟁 시대를 제시하게 되었다. 제 5공화국 출범 당시는 보안사와 군이 정책결정의 중심적 보좌 기구였고, 정권유지, 체제유지가 그들의 최대목표였었다. 그 후 제 5공화국 중반 이후 미·소의 관계 개선과 미국의 對韓정책 조정과 함께 북한이 전정권을 대화의 상대로 인정, 유연한 자세를 보이고 개방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분단위기는 내부화되고, 남북간에는 새로운 긴장완화의 양상을 보이게 되었다. 그리고 국내적으로 통일운동의 확산과 통일문제의 부상, 반정부 투쟁이 가열되면서 정당성 위기와 민주화 위기가 표출되기 시작하자 全정권은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남북회담을 제의하였지만, 수적으로 빈번한 회담과 교류라는 성과만을 냈을 뿐이었다. 셋째, 제 6공화국 노태우 대통령의 통일정책 결정을 살펴보면, 80년대 후반 국제적인 개방과 화해의 무드는 군사적 긴장완화와 탈이데올로기적 국가 관계를 추구하도록 하여 한반도의 분단위기와 남북관계에 있어서도 새로운 양상을 보이도록 하였다. 또한 북한은 내부적으로 리더십의 변화와 대남정책의 현실성 추구, 개혁·개방정책을 추구하였다. 국내적으로는 6·29로 사회 세력의 민주화 요구가 성숙·강화되었고, 국회의 기능이 과거에 비해 강화되고, 민중의 통일운동은 이념적으로 격화되자 노대통령은 분단위기 극복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적극적으로 취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는 인기에 영합, 방어적·상황적응적 성향으로 민주화와 통일 기반의 조성을 국정 목표로 세웠고, 따라서 공산권, 중·소와의 북방외교를 적극적으로 시도, 수교를 이루는 성과를 보이기도 했다. 또한 제 6공화국은 과거와 달리 국가 안보 통치이념이 약화되고, 복지이념이 강화되는 등 새로운 통치이념이 부각되었지만 이념적 혼란의 양상을 보였고, 이는 노대통령의 정책 노선에도 반영되어 정책 우선 순위에 혼선을 빚게 된다. 이시기 통일정책 결정의 주도변수는 대통령 비서실이었다. 결론적으로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대통령의 통일정책 결정은 당시 국제, 국내 환경변수의 간접적 영향과 대통령의 개인적 특성, 그리고 대통령의 정책결정을 보좌하는 기구(보다 구체적으로 인물)에 의해 이루졌으며, 그러한 정책결정은 정치성과 폐쇄성을 띠는 것이었다. 따라서 통일정책의 내용면에서 상대적으로 보다 구체화되는 발전을 보이기는 했으나 정책기조와 통일주체, 통일절차 등의 정책실현의 측면에 있어서 실질적인 변화와 발전을 보이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Ⅰ. 서론 = 1 제1절 연구의 배경 = 1 제2절 연구의 목적 = 2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4 Ⅱ. 이론적 배경 및 분석틀 = 5 제1절 연구의 전제 = 5 1. 통일정책의 의의 = 5 2. 통일정책결정에 있어서 대통령의 지위 = 6 제2절 이론적 배경 = 7 1. 대통령 연구의 일반적 접근방법 = 7 1) 법적 접근방법 (legal approach) = 7 2) 제도적 접근방법 (institutional approach) = 8 3) 정치 권력적 접근방법 (political power approach) = 8 4) 심리학적 접근방법 (psychological approach) = 9 2. 대통령의 리더십에 관한 이론 = 10 1) 대통령의 개인적 성향과 리더십 = 11 2) 리더십 발휘 상황으로서 환경 = 12 3) 정책기관으로서의 대통령직 = 12 3. 대통령의 의사결정 보좌 방식 이론 = 13 1) 즉응적 방식 (adhocracy) = 14 2) 중앙집권적 관리방식 (centralized management) = 15 3) 복수창도 방식(multiple advocacy) = 16 제3절 분석틀 = 17 Ⅲ. 박정희 대통령의 통일정책결정 = 20 제1절 환경변수 = 20 1. 국제환경변수 = 20 1) 미·일·중·소의 동북아 4강 = 20 (1) 제 3 공화국 (1963년-1971년) = 20 (2) 제 4 공화국 (1971년-1979년) = 22 2) 북한 = 23 (1) 제 3 공화국 (1963년-1971년) = 24 (2) 제 4 공화국 (1971년-1979년) = 25 2. 국내환경변수 = 25 (1) 제 3 공화국 (1963년-1971년) = 25 (2) 제 4 공화국 (1971년-1979년) = 27 제2절 박정희 대통령의 역할 = 28 1. 개인적 성향 = 29 2. 리더십 스타일 = 30 3. 통치이념 = 32 4. 정책노선 = 34 제3절 대통령의 정책결정 보좌기구와 방식 = 35 1. 대통령 비서실 = 37 2. 중앙정보부 = 39 3. 국토통일원 = 41 제4절 박정희 대통령의 통일정책 = 42 1. 통일정책의 내용 = 42 1) 제 3 공화국 = 42 2) 제 4 공화국 = 43 2. 통일정책 평가 = 43 제5절 분석 결과 = 46 1. 제 3 공화국 = 46 2. 제 4 공화국 = 48 Ⅳ. 전두환 대통령의 통일정책결정 = 49 제1절 환경변수 = 49 1. 국제환경변수 = 49 1) 미·일·중·소의 동북아 4강 = 49 2) 북한 = 51 2. 국내환경변수 = 53 제2절 전두환 대통령의 역할 = 55 1. 개인적 성향 = 55 2. 리더십 스타일 = 57 3. 통치이념 = 58 4. 정책노선 = 59 제3절 대통령의 정책결정 보좌기구와 방식 = 61 1. 대통령비서실 = 62 2. 국가안전기획부 = 64 3. 통일원 = 67 제4절 전두환 대통령의 통일정책 = 68 1. 통일정책의 내용 = 68 2. 통일정책의 평가 = 69 제5절 분석결과 = 71 V. 노태우 대통령의 통일정책결정 = 74 제1절 환경변수 = 74 1. 국제환경변수 = 74 1) 미·일·중·소의 동북아 4강 = 74 2) 북한 = 77 2. 국내환경변수 = 78 제2절 노태우 대통령의 역할 = 80 1. 개인적 성향 = 80 2. 리더십 스타일 = 81 3. 통치이념 = 83 4. 정책노선 = 84 제3절 대통령의 정책결정 보좌기구와 방식 = 86 1. 대통령비서실 = 87 2. 국가안전기획부 = 90 3. 통일원 = 92 제4절 노태우 대통령의 통일정책 = 93 1. 통일정책의 내용 = 93 2. 통일정책의 평가 = 94 제5절 분석 결과 = 98 Ⅵ. 종합적 분석 및 결론 = 99 제1절 종합적 분석 및 비교 = 100 제2절 결론 = 105 ◎ 참고문헌 ◎ = 107 ◎ Abstract ◎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464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대통령-
dc.subject통일정책-
dc.subject박정희-
dc.subject전두환-
dc.subject노태우-
dc.title대통령의 통일정책 결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박정희·전두환·노태우 대통령-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Unification Policy-Making of the President in Republic of Korea : The President Park Chung-hee, Chun Doo-hwan, Roh Tae-woo-
dc.format.pagev, 10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행정학과-
dc.date.awarded199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