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지현-
dc.creator박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1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3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173-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ocabulary glosses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ading by Thai learners of intermediate Korean. The study focused on how two types of vocabulary glosses (i.e., multiple-choice glosses and single glosses) would affect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nd word retentio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Will vocabulary gloss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2.Will the type of gloss affect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differently? 3.Will vocabulary gloss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retention of words incidentally learned? 4.Will the type of gloss have a differential effect on the retention of words incidentally learned?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ran an experiment with 60 university senio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studies at Burapha University, Silapakorn University and Songkla University in Thailand, from August 13, 2006 to August 30. This experiment adopted a 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 The study included two dependent variables (i.e.,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and an immediate and delayed vocabulary posttest) and one independent variable (i.e., type of glos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read the three versions of a text (i.e., an original text with no glosses, a text with multiple-choice glosses, and a text with single glosses). After the treatment, a reading comprehension test, a surprise immediate vocabulary posttest, and a retrospective vocabulary assessment were administered to each group. In addition, this experiment encouraged all participants to fill out a questionnaire to elicit their responses and suggestions abut glosses in depth. A week later, an unexpected delayed vocabulary posttest was administ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MANOVA and ANOVA, and the effect sizes were repor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Vocabulary glosses facilitated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e multiple-choice gloss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better result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immediate vocabulary post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ultiple-choice gloss group and the single gloss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Vocabulary glosses facilitated the retention of words incidentally learned. The multiple-choice gloss group and the single gloss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better result than the control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multiple-choice gloss group and the single gloss group. In conclusion, vocabulary glossing in the form of multiple-choice glosses and single glosses was found to help incidental learning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ords through reading.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contributed to providing a rationale and guidance for whether using vocabulary glosses in KFL textbooks and workbooks is effective. And lexically glossed reading materials are expected to be helpful for vocabulary self-learning.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learners should have more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various genres of reading materials with vocabulary glosses through extensive reading in order to promote and strengthen the positive effect of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본 연구는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태국인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어휘 주석을 제공하는 방법으로는 선다형 주석과 단일 주석을 제시하는 것이 우연적 어휘 학습과 어휘의 기억 효과 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둘째, 주석의 유형에 따라 우연적 어휘 학습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가? 셋째, 어휘 주석은 우연적 어휘 학습이 기억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 넷째, 어휘 주석의 유형에 따라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억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태국의 부라파 대학교, 실라파컨 대학교, 송클라 대학교 한국어학 전공생 4학년 60명을 대상으로 2006년 8월 13일부터 30일까지 실험하였다. 실험은 통제집단 사후 검사설계(posttest-only control group design)를 사용하고 1차 사후 어휘 평가, 2차 사후 어휘 평가의 두 개의 종속 변수와 주석의 유형인 한 개의 독립 변수를 설정하였다. 실험 참여자에 대하여 세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원문 텍스트, 단일 어휘 주석이 제공된 텍스트, 선다형 주석이 제공된 텍스트를 각각 제시하였다. 그리고 사전 평가와 읽기 이해 평가, 반성적(retrospective)어휘 평가, 1차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더불어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어휘 주석에 대한 실험 참여자들의 반응과 제안점 등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알아보았다. 그리고 실험 처치 일주일 후에 2차 사후 어휘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변량 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 Scheffé 사후 다중 검정, 메타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1차 사후 어휘 평가에서 선다형 주석 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았다. 한편, 단일 주석 집단과 통제집단, 선다형 주석 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억효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어 새로 접한 어휘를 기억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차 사후 어휘 평가 결과, 선다형 주석 집단과 단일 주석 집단은 통제 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그러나 선다형 주석 집단과 단일 주석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어 학습 상황에서 선다형 주석이나 단일 주석을 이용한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적인 측면에서 한국어 교재 및 부교재의 읽기 텍스트 내에서 주석을 어떠한 방식으로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가에 대한 근거 및 지침을 마련함으로써, 어휘 학습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어휘 주석이 제공된 텍스트를 통하여 학습자가 접하게 되는 어휘에 대한 자율적인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다. 더불어 우연적 어휘학습의 효과를 증진, 강화시키기 위하여 한국어 학습자에게 다독을 통하여 주석이 제공된 다양한 장르의 읽기 텍스트를 반복적으로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ⅵ 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용어 정의 5 1. 어휘 주석 5 2. 우연적 어휘 학습 6 C. 논문의 구성 8 Ⅱ. 이론적 배경 9 A. 읽기와 우연적 어휘 학습 9 B. 입력과 상호작용 11 C. 입력 수정을 통한 제2언어 학습 12 D. 어휘 주석 13 E. 선행연구 14 1. 텍스트 수정에 관한 연구 14 2. 어휘 주석에 관한 연구 16 F. 연구문제 및 연구가설 24 Ⅲ. 연구 방법 27 A. 연구 설계 27 B. 실험 참여자 28 C. 연구도구 30 1. 실험도구 30 가. 기본 어휘 목록 30 나. 읽기 텍스트 선정 30 다. 목표 어휘 선정 31 라. 어휘 주석이 제시된 텍스트 33 2. 측정도구 35 가. 사전 읽기 평가지 36 나. 읽기 이해 평가지 36 다. 1차 사후 어휘 평가지 37 라. 회고적 어휘 평가지 38 마. 설문지 38 바. 2차 사후 어휘 평가지 40 D. 연구 절차 40 1. 실험 도구 제작 41 2. 예비실험 42 3. 1차 시험 43 4. 2차 실험 43 E. 자료 분석 방법 44 1. 채점 44 2. 자료 분석 45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48 A.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48 1. 결과기술 및 분석 48 2. 결과해석 및 논의 50 B.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 학습의 기억효과에 미치는 영향 53 1. 결과기술 및 분석 53 2. 결과해석 및 논의 56 C. 연구 가설 검증 59 D. 설문지 분석 61 Ⅴ. 결론 66 A. 결론 및 시사점 66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8 참고문헌 70 부록 76 ABSTRACT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691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어휘 주석이 한국어 우연적 어휘 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vocabulary glosses on incidental L2 vocabulary learning in Korean-
dc.creator.othernamePark, Ji hyun-
dc.format.pagevii, 11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