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1 Download: 0

환경디자인의 미학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Title
환경디자인의 미학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esthetic approach to environmental design : focusing on arnold berleant's the aesthetics of engagement
Authors
황윤선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환경디자인접근방법A, Berleant환경미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근대 미학사의 주도적 일면이 지극히 최근에 이르기까지 우리를 둘러 싸고 있는 세계에 대한 밀접한 관계로부터 예술을 분리시켜 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대체로, 예술의 양식과 사조는 매우 일반적인 방법으로 예술을 평가하고 있으며, 미학은 그 시대 외에는 예술에 비교적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근대의 미학은 예술이 무엇이며 그리고 예술 그 자체의 변화하는 현실에 대해 어떠한 것이 되어야만 하는가 하는 미학적 개념을 확립하는데 있어서 아주 뒤떨어져 있다. 그러나 시대와 지역을 막론하고, 예술과 그 시대의 예술이론간의 관계는 그 양자를 이해하기 위하여 또 그 양자가 작용하는 문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독립적인 미적 경험과 예술의 자율성을 지지하고 있는 여러 전통적 이론들은 현대예술의 새로운 국면들을 설명하는데 실패하고 있음은 물론 인간의 일상적 경험과는 유리된 이론들만을 반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공박을 받는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한 대안으로, 즉 근대미학의 전통에 대한 반성의 일환으로 예술론에 자리를 내주었던 자연과 자연미에 대한 논의가 다시 미학연구의 주제로 복권되기 시작하고 있는 것이다. 자연 혹은 환경에 대한 미학이론은 특히 1960년대 이후 거세게 대두되어 온 환경 문제와 맞물려 실천성을 담보할 수 있는 미학 연구의 주제로 부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토마스 먼로는 이와같은 새로운 영역의 출현은 일찍이 미학이 개념분석 대신에 현재적 문제들을 더 잘 파악해야 할 필요성애 있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조류는 우리의 생존조건의 총화이자 일상생활의 공간인 환경에서의 미적 문제를 주제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보장받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 논문은 현대미학에 있어서 미적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는 환경의 가치와 개념을 정의하고, 그에 대한 참여미학적 접근의 가능성을 고찰함으로써 총체적인 환경디자인의 접근 방법을 연구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그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근대 미학의 역사적 맥락과 영역을 고찰함으로써, 미학의 다양한 학문적 체계속에 현대의 미학이 어느 시점에 놓여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2. 전통적 견해에 입각한 미적 판단은 현대 예술 현상을 관망하기에 스스로 한계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미학사적 반성을 현대 예술이 걸어온 도전을 해결할 수 있는 한 가능성의 기점으로 제시하였다. 3. 미학적 연구의 대상을 환경으로 확장시켜, 포괄적인 환경의 개념과 미학사 속에 등장한 환경미학의 연구 영역을 고찰함으로써 현대미학의 문제 해결의 근거로 삼았다. 4. 미적 장으로서의 환경에서 참여미학이 경험적 환경에서 어떠한 원리를 인도할 수 있는가를 고찰함으로써, 미적 차원을 설명하는 환경미학의 방법론으로써 참여미학이 갖는 의의와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5. 참여적 환경의 공간 개념과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환경디자인 문제 해결을 위한 총체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6. 환경의 참여적 과정에 대한 조형적 기술과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공간 계획과 분석, 디자인 도출, 평가과정에 대한 예를 제시함으로써 모든 연구의 내용을 정리한다. 이와같은 연구결과 우리는 우리자신이 미학적 환경에 살고, 그것의 역동적인 힘에 공헌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것은 관찰자로서가 아니라 참여자로서 공간을 이해하는 것이며 환경이란 결국 포괄(inclusion)과 연속성(continuity)의 관념이 개입된 개념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인간과 환경에 대한 이러한 연속성과 인지를 통한 통합은 참여적 환경의 열쇠이며, 더 나아가 환경미학을 위한 기초로서 뿐아니라 환경 디자인의 이론적 접근방법의 모델을 제시하였음에 그 의의를 둔다.;This thesis starts from the recognition that leading theories of contemporary aesthetics have separated art from close relation between ourselves and a world surrounding ourselves. The mode and trend of art usually have applied very general ways to estimate art and aesthetics has not influenced on art except those days. Contemporary aesthetics falls behind on establishing aesthetic concepts that what is art and what art has to be in the world which is changing itself. Throughout ages and terrains,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art theory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ose each and culture affected by them. However, many traditional theories which support independent aesthetic experience and autonomy of art, now not only fail to explain new aspects of modern art but also is refuted, because those still insist repeatedly on theories far apart from ordinary human experience. As an alternation of this situation, nature and natural beauty substituted by theory of art, begin to be discussed again as a subject of aesthetic study. The stronger attention has been paid to environmental problems since 1960's, the more natural and environmental aesthetics has come up as a practicable subject of aesthetics. Therefore, Thomas Munroe early emphasized that it is essential to grasp actual situations rather than to analyze aesthetic concepts. This trend is guaranteed its own significance in that it subjects to aesthetic problems based on environment which is total of our life conditions and the space of our daily life. Accordingly, this thesis defines the value and the concept of environment which is being illuminated as an aesthetic paradigm on current aesthetics, Moreover, through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approaching the whole environmental design. this thesis will proceed to study the approaching ways of the whole environmental design. The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Through reviewing historical roots and region of contemporary aesthetics, I seek to where current aesthetics lies on among the various system of aesthetic studies. 2. Aesthetic judgement based on traditional view has self-limitation to explain various phenomenon of modern art and I suggest that this reconsideration can be a starting point of responding to the challenge of modern art. 3. By expending aesthetic subject to environment, considering comprehensive concept of environment and reviewing studies of regions of environmental aesthetics existed in aesthetic history, I suggest that these serve as basic solutions to aesthetic problems. 4. I suggest that aesthetic engagement be a meaningful and proper way to explain demention of beauty by considering that it is able to be a guiding principle applied to experimental environment as aesthetic field. 5. Through analysis of concepts and types of space, I suggest a wholly general metho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design. 6. This thesis arranges previous studies concerning environmental engagement by applying the approaching method for environmental engagement mentioned above and by presenting concret example on space planning and analysis of environmental engagement, design outcome, and evaluating proces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find ourselves inhabiting an aesthetic environment and contributing its dynamic field as a part. Hence, we come to understand space as a participator not as a spectator. It is also able to prove that environment is a inclusive and continuous concept, The integration between human being and environment throughout continuity and perception is keynote of the participatory environment. Moreover, it has significance itself because the model is offered to approach theorically to environmental desig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