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도시환경에 있어서 상징성 표현을 위한 디자인 모형 사례 연구

Title
도시환경에 있어서 상징성 표현을 위한 디자인 모형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 model for symbolic expressions in urban environment : phenomenologic approach for the cultural exhibition space
Authors
이선아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도시환경상징성디자인 모형전시문화공간현상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Environment shows the system of human value and represents the preference and attitude of man to environment itself. Furthermore, it is the symbolic creation of human being. The goal of environment is decided to the factors that a resident expects to it and those expected value is differed from time, space, cultural status and resident's character. That is, one environment is distinguished and memorized from others, and it is more important to grasp a sense of place and a environmental structure where man is located in space, which direction does he have. At this point, more significant social, cultural values are involved in physical form, and symbolism which a place suggests to the function must be taken. This research is the study on design method which tries to suggest the expansive modeling cas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environment. It has been processed as follows 1. Through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environment, this paper found out that man consists the environmental image based on imagination by perception and association, thus he has a memorable place within a space. And such procedure has same function in a social and spacial order, therefore represents the symbolic space. 2. As a research on approaching method for symbolic expression in urban environment, semiotic and phenomenologic method is considered. The one recognizes the environment as field of semiotics which transpers the meaning, and the man as a semiotic producer grasping the meaning and responding actually. The other tries to appreciate some objects through the description of experience which man is faced with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objects. 3. Following procedure for symbolic expression was done. First, considering the concept and social function of cultural exhibition space, the precondition which are suitable for the circumstances is established. Second, image of the Five Elements in the theory of Yin-Yang five elements, East, West, South, North, Center(fire, water, wood, metal, earth) are interpreted and represented by modern and semiotic perspective. Third, verifying the extracted language in form, spacial system and construction is consisted in the basis of an phenomenologic place. 4. As a step of designing, extracted forming language is adapted to objective The suggested model is estimated in space, then reinterpreted as a final plan. the view of space construction, user behavior, environmental aesthe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Man is the symbolic animal who gives the meaning and responds by the meaning to everything that he experiences. Man does not adapt himself to environments. Namely, this thesis has a value suggesting a new environmental model, through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his environments as a whole concept.;환경이란 인간의 가치 체계를 보여주고, 환경 자체에 대한 인간의 선호성을 나타내며, 인간의 태도를 반영하고 나아가 인간의 상징적 창조물이다. 이러한 환경의 목표는 거주하는 거주자가 그 환경에 기대하는 바에 따라서 결정되며 그 기대치는 시간과 장소, 문화 여건과 주거자 자신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르다. 즉 하나의 환경은 다른 환경과 다르게 식별되고 기억되어야 하며 개인이 시간과 공간적으로는 어디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떠한 방향성을 갖는가 하는 장소감(A sense of place)과 구조의 파악이 필요하다. 또 한 여기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사회·문화적 가치 요소 등이 물적 형태에 포함되어야 하고 담고 있는 기능에 대해 장소가 시사하는 상징성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인간과 환경의 관계성 연구를 통해 미래를 향한 발전적 모형 사례를 제시하는 디자인 방법의 연구로써, 다음과 같은 방법과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 인간과 환경의 관계성 연구를 통해 인간은 자신들의 의식을 통한 지각 작용과 연상 작용에 의한 상상력을 근거로 환경의 이미지를 형성하여 하나의 공간내에 기억될만한 훌륭한 장소를 가지며, 이러한 것이 사회적 질서와 공간적 질서 내에서도 같은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상징적 공간을 표현함을 밝혔다 2. 도시 환경에서 상징성 표현을 위한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로서 환경을 의미를 전달하는 기호의 장(field)으로 보고 인간은 환경 속의 기호를 풀어 의미를 파악하면서 행동하고, 능동적으로 기호를 만드는 기호학적(semiotics) 접근 방법과 어떤 대상을 그 대상과의 관계 속에서 인간이 겪게되는 체험의 기술을 통해 인식하고자 하는 현상학적(phenomenology) 접근 방법에 관해 고찰하였다. 3. 연구된 접근 방법에 의한 상징 표현의 기본 단계로서 첫째, 전시 문화 공간의 개념과 사회적 기능에 관해 고찰하여 대상지의 상황에 맞는 전시 문화 공간의 전제 조건을 설정하였다. 둘째, 음양오행설의 오행에 해당하는 동, 서, 남, 북, 중앙(불, 물, 나무, 금속, 흙)이 가진 이미지를 현대적으로 해석하여 기호학적 관점을 기초로 하여 형태 언어를 도출하였다. 세째, 도출된 형태 언어를 조합하는데 있어 현상학적 장소론을 기초로 하여 건축 구성과 공간의 체계를 형성하였다. 4. 디자이닝 단계로서 도출된 형태 언어를 기초로 대상 공간에 적용, 재해석하여 최종안을 확정하며 제시된 모델에 대하여 공간 구조적 측면, 이용자 행태 측면, 환경 미학적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인간이란 자기가 지각하고 체험하는 모든 것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그 의미에 따라 행동하는 상징적인 동물로서 환경에 그대로 반응하지 않고 환경에 의미를 부여하고 상징화한다 즉, 인간과 환경을 따로 떼어 분리될 수 없는 총체로서 인식함으로써 미래의 새로운 환경디자인 모형 제시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