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민-
dc.creator김수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2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0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3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082-
dc.description.abstractIt is important to forecast the demand of a new product in a market making rapid progress. For this reason, many research of demand forecasting methods based on various growth curve models are conducted in these days.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performance of demand forecasting methods based on three most popular types of growth curves, Bass, Gompertz, Logistic, applied to Korean films data. We use weekly and daily box office data of five recent Korean films. On the basis of the Q-Q plots and the estimated demands using OLS methods, we show that Bass model is superior to other models in most cases in forecasting the box office grosses for Korean movies.;빠르게 움직이는 시장에서 회사에서 새로 출시하는 상품이 얼마나 잘 팔릴 것인지 예측하는 것은 상품 마케팅에 있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성장곡선 모형을 이용한 수요예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분석방법을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한국 영화 시장에 적용하여 각 영화별 기간 관객수를 상영기간 전체와, 전체의 1/2, 개봉 후 2주 동안의 자료를 이용하여 Bass, Gompertz, Logistic 성장곡선 모형의 적합성을 비교, 어느 모형이 가장 잘 흥행수요를 예측하는지 분석해 보았다. 분석을 위해 최근 몇 년간 흥행한 영화 5 작품의 상영기간 전체동안의 누적 관객수를 일주일별로 묶은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좀 더 자세한 분석을 위해서 이 중 영화 2 작품에 대해서는 일별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Q-Q plot을 그려본 결과, 각 영화의 관객수요분포에 따라 예측력이 좋은 모형이 다르게 나타났지만 대체로 Bass와 Gompertz 모형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 개봉 후 빠른 시일 내에 통계적 모형이 흥행수요를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 알아보는데 있으므로 제한된 초기 자료를 가지고 모형의 예측력을 분석한 결과 Bass 모형이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고, 앞으로 한국 영화 흥행수요의 예측에 이 모형이 유용하게 쓰이리라 판단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초록 iii 1. 서론 1 1.1 문제 제기 및 연구목적 1 1.2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1 2.이론적 배경 1 2.1 성장곡선모형 1 2.1.1 Bass 모형 3 2.1.2 Gompertz 모형 4 2.1.3 Logistic 모형 5 3.연구방법 6 3.1 자료의 구성 6 3.1.1. 각 영화별 영화 상영기간 전체 data 7 3.2 모형의 설정 및 분석방법 11 3.2.1 모형의 설정 및 모수추정방법 11 3.2.2 Q-Q plot을 이용한 모형의 적합성 검정벙법 12 4. 연구결과 및 해석 13 4.1 모수 추정결과 13 4.1.1 각 영화의 상영기간 주별 자료를 이용한 결과 13 4.1.2 <괴물>,<왕의 남자>의 상영기간 전체일별자료를 이용한 결과 16 4.1.3 상영기간 전체의 1/2 일별 자료를 이용한 결과 18 4.1.4 개봉일로부터 2주 동안의 자료를 이용한 결과 19 4.2 Q-Q plot을 이용한 최적 예측 모형의 적합성 검토 20 4.2.1 상영기간 전체 자료의 주간 관객수를 이용한 Q-Q plot 20 4.2.2 전체 상영기간동안의 일별 관객수요 자료 이용한 Q-Q plot 29 4.3 모형의 예측 타당성과 적합성 결과 32 5. 결론 34 ABSTRACT 36 참고문헌 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497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성장 곡선 모형을 이용한 영화 흥행 예측-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Demand Forecasting Methods based on Growth Curves for Korean films-
dc.format.pageiii, 3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통계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통계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