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5 Download: 0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학생의 전이계획에 대한 부모의 욕구 조사

Title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학생의 전이계획에 대한 부모의 욕구 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f the parent's need related with students' transition from secondary school for mental retardation
Authors
이송민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정신지체특수학교고등부 학생전이계획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Parent's participation and role is crucial in trasition plan for adulthood of young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s of parent's needs related with students' transition planning from secondary school for mental retardation, and to identify any differences in parent's needs according to several selected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is survey was sent to two hundred and five parents, all the 14 secondary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throughout Seoul/Kyoeng-gi. Of the two hundred and five parents, the final analysis subject was one hundred and forty parents. To analysis the degree of parent's needs, the mean and standard diviation(SD) was used, and to analysis the (differences of the parent's needs according to several selected variables,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 was used. The results from this surve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Parents' needs for transition's seven sub-categories. Among the transition's seven sub-categories, the strongest needs of parents were for student's future, and next were for student's adult services, student's residential services, student's work life, school, young adult life, family life. 2. As for the student's future, parents were extremly concerned general uncertainly and the degrees of parent's needs for young adult's future planing were very strong. 3. As for the student's adult services;, residential services, and work life, the degrees of parent's needs forh getting services were somewhat weals, but the degrees of parent's need for getting continuing services for future were very strong. 4. As for the school, the degrees of parent's needs for independent living skills training were very strong, but the degrees of parent's needs for academics traning were somewhat weak. And the degrees of parent's needs for with quality of services (for example. safety, adequacy or appropriateness of services) and for interact ions with providers were strong. 5. As for the young adult life, the degrees of parent's needs for capability and proper behaviors of young adult in a community, soci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 were strong, but the degrees of parent's needs for student's sexuality, marriages, and having children were very weak. 6. As for the family life, the degrees of parent's needs for finantial supportings were very strong, but the degrees of parent's needs for solutions for problems between family, and the mentally retarded and supporting for family strains were weak. 7. Among the several selected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arent's needs related with only transition. But among the several selected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arent's needs related with transition's seven sub-categorie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rent's needs for student's school, residential services, and adult services according to mother's level of education.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rent's needs for mutual cooperation of parents and teachers in setting up planning for student's transition according to family's income.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rent's needs for getting residential services and young adult's capability for adult liv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siblings.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rent's needs for getting a job according the severity of mental retard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a secondary school to focus on transition's seven sub-categories when setting up the transition plan for students. Also considering all aspects of adult life, a secondary school's curiculums should focus on developing living and functional skills that help students adapt themselves to daily life in a community. On the other hand a community should increase services and supporting programes with high quality for the mentally retarded and their family. When a school and a community recognize fully sigi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rent's needs related with transition according to variables, they can help successfully the students and parents with transition plan and services filling up relatede needs.;최근 정신지체 청소년의 전이계획에 부모가 참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정신지체 청소년의 부모는 자녀의 전이계획에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한 동의가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부모의 입장에서 전이 시기는 염려와 불안의 시기이며, 이러한 현실은 부모로 하여금 자녀의 전이계획에 대하여 독특한 욕구를 발생시킨다. 전이계획에 대한 부모의 참여와 역할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볼 때 정신지체 청소년의 부모의 욕구를 자녀의 전이계획에 반영하는 것은 매우 필요한 작업이며, 이러한 작업은 학교와 지역사회가 전이와 관련하여 정신지체 청소년과 그 가족의 욕구에 가장 적절한 훈련과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전이계획에 대하여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가 느끼는 욕구와 둘째, 가족이 가진 변인에 따른 정신지제 청소년의 어머니의 욕구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을 통하여, 졸업을 앞 둔 정신지체 청소년과 그 가족에게 학교와 지역사회가 지원하여야 할 훈련과 서비스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의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3학년 학생의 어머니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도구는 Thorin 과 Irvin(1992)이 전이시기에 가족이 가지고 있는 욕구를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던 질문지를 본 연구자가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처리하기 위하여 연구 문제 1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연구 문제 2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는 전이계획의 7개 하위 영역에 대하여 욕구를 느끼고 있었다. 자녀의 전이계획에 대하여 가장 강하게 욕구를 느끼는 하위 영역은 자녀의 미래 계획이었고, 그 다음은 성인 서비스, 주거 서비스, 직업생활, 학교 교육, 성인이 되어 지역사회 내에서 통합된 일상 생활을 하는 것, 가족 생활에 대한 지원에 대한 욕구 순이었다. 2.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는 자녀의 전이를 위한 준비 시기로서의 학교교육과 관련하여 독립적 생활 기술 훈련과 교사와 함께 전이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대하여 보통 이상의 욕구를 느끼고 있었고, 직업 훈련, 교사의 교수, 그리고 부모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대한 욕구는 보통으로 느끼고 있었으며, 학업 교과에 대한 욕구는 약하게 느끼고 있었다. 3.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는 직업 생활, 주거 서비스, 성인 서비스와 관련하여 직업과 주거 서비스를 가지는 것에 대하여 보통 이하의 욕구를 느끼고 있었고, 성인 서비스를 가지는 것에 대한 욕구는 보통으로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직업 생활, 주거 서비스, 그리고 성인 서비스의 질-직업 생활의 질인 월급과 승진을 제외하고-에 대하여 보통 이상의 욕구를 느끼고 있었으며, 주거와 성인 서비스의 담당자와의 상호작용과 직장 동료에 대하여 보통 이상의 욕구를 느끼고 있었다. 4.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는 장애 자녀가 성인이 되어 지역사회 내에서 통합된 일상 생활을 하는 것과 관련하여 자녀의 능력과 적절한 행동, 사회/대인간 관계에 대하여 보통 이상의 욕구를 느끼고 있었으나, 자녀가 결혼을 하고 임신을 하는 것에 대한 욕구는 약하게 느끼고 있었다. 5.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는 가족 생활에 대한 지원과 관련하여 재정적 욕구-특히 사회 보장 제도-를 강하게 느끼고 있었으나, 가족간의 문제 해결과 가족의 탈진에 대한 지원의 욕구는 약하게 느끼고 있었다. 6.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는 자녀의 미래 계획과 관련하여 일반적인 불확실성에 대하여 매우 염려하면서, 자녀가 미래에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가지는 것(예. 자녀에게 적함한 직업과 주거,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 사회적 지지)에 대하여 강한 욕구를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자녀가 미래 생활을 위한 능력을 가지는 것과 자녀의 미래의 삶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것에 대하여 보통 이상의 욕구를 느끼고 있었다. 7.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가 자녀의 전이계획 전체에 대하여 느끼는 욕구는 어머니의 학력, 가정의 총 수입, 비 장애 자녀의 수, 정신지체 자녀의 장애 정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자녀의 학교 교육과 주거 서비스, 성인 서비스에 대한 욕구에 차이가 있었고, 가정의 수입에 따라 부모와 교사가 함께 전이계획을 세우는 것에 대한 욕구에 차이가 있었고, 비장애 자녀의 수에 따라 자녀의 독립된 주거 기회와 자녀의 미래 생활을 위한 능력에 대한 욕구에 차이가 있었으며, 정신지체 자녀의 장애 정도에 따라 자녀의 직업 가지기에 대한 욕구에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는 자녀의 전이계획의 7개 하위 영역에 대하여 욕구를 느끼고 있었고, 특히 자녀의 미래계획에 대하며 가장 강한 욕구를 느끼면서, 미래의 일반적인 불확실성에 대하여 매우 염려하고 있었다.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는 자녀가 지역사회 내에서 통합된 일상 생활을 하는 것에 대하여 욕구를 느끼면서, 고등학교가 자녀의 전이를 위하며 독립적인 일상 생활을 위한 훈련을 실시하고 부모와 함께 전이계획을 수립하는 것에 대하여 욕구를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는 자녀가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에 지역사회에서 서비스를 가지는 것과 관련된 중복된 문항에서 욕구의 차이를 보였는데, 어머니는 자녀가 미래계획과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가지는 것에 대하여 강한 욕구를 느끼고 있는 반면, 직업 생활, 주거 서비스, 그리고 성인 서비스의 각각의 하위 영역에서 서비스를 가지는 것에 대하여 보통 이하 또는 보통의 욕구를 느끼고 있었다. 그러나 어머니는 직업 생활, 주거 서비스, 그리고 성인 서비스에서 공통적으로 서비스의 안전과 서비스의 자녀에 대한 적합성, 그리고 서비스 담당자와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욕구를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는 가족 생활에 대한 지원 방안으로서 재정적 욕구와 관련하여 장애인에 대한 사회 보장 제도가 생기는 것에 대하여 욕구를 느끼고 있었다.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가 자녀의 전이계획 전체에 대하여 가지는 욕구는 가족의 배경 변인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전이계획을 구성하는 몇몇 하위 문항에 대한 욕구는 가족의 배경 변인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정신지체 어머니의 욕구를 고려하여 볼 때, 고둥학교는 장애 청소년이 지역사회 내에서 독립적으로 일상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계획하고, 부모와 함께 전이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신지체 청소년에 대한 전이계획은 직업 생활뿐만 아니라 주거 서비스, 성인 서비스, 지역사회내에서의 통합된 일상 생활, 가족 지원, 미래 계획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이며 장기적인 차원의 계획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고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는 자녀가 서비스를 가지는 것에 대한 중복된 문항에서 욕구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였지만, 자녀의 미래에 대한 일반적인 불확실성에 대하여 매우 염려하며 자녀가 미래에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가지는 것에 대하여 강한 욕구를 느끼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볼 때, 지역사회는 정신지체 청소년이 미래에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가질 수 있도록 준비하여야 하고, 또한 그러한 서비스는 질적인 측면과 서비스 담당자와 부모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가 마련하는 장애인이 대한 사회 보장 제도를 정신지체 청소년의 어머니가 느끼고 있는 재정적 욕구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교와 지역사회는 가족의 배경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전이계획에 대한 욕구의 차이의 차이를 이해하고 정신지체 청소년의 전이를 계획하는 것을 통하여 정신지체 청소년과 그 가족이 그들의 욕구에 더욱 적절한 전이계획과 서비스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