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민동주-
dc.creator민동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0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75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3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757-
dc.description.abstractThe suggested school-learning model by Carroll(1963) has initiated school learning as a significant metric to explain learning time and attracted academic attention. Since then, concept of learning time has been enlarged by many theorists and theory has been deeply studied through practical studies by researchers. However, traditional studies has included following problems : (1) Learning time has only been viewed as quantitative concepts such as allocated time or time-on-task and there was no consistent research on correla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2) The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on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in or out of instructional time. Even a few researches studied within and without instructional time, they do not have consistent results. (3) There was a limitation to analyze effectiveness of learning time since researches have concentrated on effectiveness of academic learning time either with instructor variables or with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defin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learning time (ALT). The aim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 (1) To conceptualize learning time as academic learning time according to the above problems and importance of research on learning time, (2) To prove effectiveness of academic learning time on grades, (3) To prove effectiveness of influencing factors appeared from theoretic background on academic learning time, (4) and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on academic learning time and effectiveness level of academic learning time on grades. The following hypotheses have been set up for the purpose of research. (1) Academic learning time as qualitative concept h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rades. (2) ALT within and out of instructional time have a difference of effectiveness level on grades. (3) Teacher effectiveness and learning attitude respectively have a difference of effectiveness level on ALT within and out of instructional time. (4) Teacher effectiveness and learning attitude respectively have a difference of effectiveness level on total ALT. (5) Teacher effectiveness and learning attitude respectively have a difference of effectiveness level on grades. (6) Teacher effectiveness, learning attitude, within and out of instructional time respectively have a difference of effectiveness level on grades. The subjects are 86 students who are in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ll subjects responded to ALT test - how they spent ALT after math instructional time for two weeks - through self-report method. Teacher effectiveness and learning attitude study have been done separately from learning time survey and total appraised grades on two weeks learning were implemented.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level of correlation and difference of explanation. Finally, by using path analysis, this paper defined effectiveness amo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1) ALT as qualitative concept derived from self-reported method h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grades. (2) ALT within instructional time has stronger effects on grade than ALT out of instructional time. (3) Teacher effectiveness and learning attitude respectively have stronger effects on ALT within instructional time than ALT out of instructional time. (4) Teacher effectiveness has stronger effects on total ALT than learning attitude. (5) Teacher effectiveness has stronger effects on grades than learning attitude. (6) Among teacher effectiveness, learning attitude, ALT within and out of instructional time, teacher effectiveness has the highest effects on grades and ALT within instructional time, ALT out of instructional time, and learning attitude have effects on grades in turn, respectively.;학습시간이 학교학습을 설명하는 의미있는 측정치로서 주목을 받기 시작한 것은 Carroll(1963)이 제안한 학교학습모형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그 후 많은 이론가들에 의해 학습시간의 개념이 확장되어 왔고, 연구자들에 의해 그러한 이론이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집중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런데 종래의 연구는 몇가지 점에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학습시간을 할당된 시간이나 과제집중시간 같은 양적인 개념으로만 파악함으로써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일관된 연구를 보이지 않아 왔다. 둘째, 수업시간에 보낸 학구적 학습시간과 학업성취도 또는 수업시간외에 보낸 학구적 학습시간과 학업성취도 중 어떤 학습시간이 학업성취도와 더욱 관련이 있는가를 연구함에 있어 어느 한 학구적 학습시간에 치중해 있고, 또 함께 연구한 것이 있다해도 일관된 연구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구적 학습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교수변인과 학구적 학습시간의 효과 분석 또는 학습자 개인의 특성과 학구적 학습시간의 효과 분석 중 어느 한 요인의 규명에만 치중함으로써 학습시간의 효과를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과 학습시간 연구의 중요성에 따라 학습시간을 학구적 학습시간으로 개념화 한 후, 학구적 학습시간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이론적 배경에서 학구적 학습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이 요인들이 학구적 학습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 학구적 학습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학구적 학습시간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효과의 정도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질적 시간 개념인 학구적 학습시간은 학업성적과 높은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2 학구적 학습시간을 수업중 학구적 학습시간과 수업외 학구적 학습시간으로 분류하였을 때, 수업중 학구적 학습시간과 수업외 학구적 학습시간은 학업성적에 대한 영향력의 정도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3 교수 행위와 학습태도 각각은 수업중 학구적 학습시간과 수업외 학구적 학습시간 각각에 대한 영향력의 정도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4 교수 행위와 학습태도는 전체 학구적 학습시간에 대한 영향력의 정도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5 교수 행위와 학습태도는 학업성적에 대한 영향력의 정도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6 교수 행위. 학습태도, 수업중 학구적 학습시간, 수업외 학구적 학습시간 각각은 학업성적에 대한 영향력의 정도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학교 6학년 86명을 표집하여 그 학생들에게 질문지를 이용하여 산수과목에서 이주동안 배운 어느 한 단원에 대하여 학구적 학습시간을 어떻게 보냈는가를 산수 수업시간 직후에 자기보고 방식으로 응답하게 하였다. 그리고 교수 행위와 학습태도는 학습시간의 측정이 끝난 후 별도로 실시하였고, 학업성적은 이주동안 배운 학습내용에 대한 총괄평가 성적을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단순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상관의 정도와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최종적으로 회로분석을 이용하여 변인간의 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밝혀진 결과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자기보고 방식으로 얻어진 질적시간 개념인 학구적 학습시간은 학업성적과 매우 유의한 높은 상관이 있다. 둘째, 수업외 학구적 학습시간보다 수업중 학구적 학습시간이 학업성적에 더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수 행위와 학습태도 각각은 수업외 학구적 학습시간보다 수업중 학구적 학습시간에 더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습태도보다 교수 행위가 전체 학구적 학습시간에 더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학습태도보다 교수 행위가 학업성적에 더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교수 행위, 학습태도, 수업중 학구적 학습시간, 수업외 학구적 학습 시간 중에서 교수 행위가 학업성적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수업중 학구적 학습시간, 수업외 학구적 학습시간, 학습태도 순으로 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쳤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학습시간의 개념화 = 7 B. 교수 행위 = 17 C. 학습태도 = 23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8 A. 연구 모형 = 28 B. 연구 대상 = 30 C. 측정도구 = 31 D. 자료처리 = 34 E. 연구절차 = 35 Ⅳ. 결과 및 논의 = 36 A. 결과 = 36 B. 논의 = 48 Ⅴ. 결론 및 제언 = 51 A. 결론 = 51 B. 제언 = 53 참고문헌 = 55 부록1 선생님의 수업시간중에 학습지도 방법 조사 = 61 부록2 산수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 검사 = 64 부록3 산수 수업시간의 학습시간 측정검사 = 67 부록4 학교 산수 수업시간이 아닐때 산수공부를 했을 경우의 학습시간 측정검사 = 70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325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수행위-
dc.subject아동-
dc.subject학습태도-
dc.subject학습시간-
dc.subject학업성적-
dc.title교수 행위와 아동의 학습태도 및 학구적 학습시간이 학업성적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eacher Effectiveness, Learning Attitude, Academic Learning Time on Grades-
dc.format.pageix, 76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