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그림면의 형태변화를 통한 표현 연구

Title
그림면의 형태변화를 통한 표현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EXPRESSION THROUGH THE CHANGE OF THE FORM OF PICTURE PLANE
Authors
박혜령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광고디자인전공
Keywords
그림면형태변화표현광고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Modern Art, which is strictly distinguished from classical art and Renaissance that emphasized the representation of external reality on canvas, has been observed and evolved at a great extent after the twentieth century. Along the evolvement, visual art has dissolved the tradition border that had been residing in between Fine Art and popular visual communication. At this point, based on the study of the forms of basic elements consisting of a picture, I, as the author of this thesis, has set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as the observation of formative effects and the influence of perspectives from the implementation of the effects caused by the change in picture plane to visual expression. Picture plane means the intended area where the creation of visual formation processed on a sheet of paper or other plane material and also traditionally the border of its plane functioned to distinguish the picture in which a new world exists from physical space. However, in modem art rejection of representation and recognition of flatness of the picture plane made the arts became more abstract and gradually emphasized the conditions of existence as the media called canvas than traditional function of canvas. At the age of Frank Stella, 'Shaped Canvas' came into existence and it showed newer visual arts that meant conform of the forms of the picture plane and the contents of the picture. Besides, I referred to Kenneth Noland who made possible to communicate in visual mode through the change of the form of picture plane and produced and analyzed pictures of my own. The results has been found as follows: First of all, as the form of picture plane is transformed from rectangular shape to various forms, the relational tension between the plane and formative elements on the basis of Gestalt theory that emphasizes the recognition of whole unity, leads to different visual effects and newer applied image combination. Secondly, in order to recognize the form of the picture plane, it is necessary to use minimum elements that composes the entire picture. Thirdly, those minimum elements which are in the form of simple geometric structure are found to be desirable for visual expression since mutual understanding of such pictures are formed from them. Fourth, black lines d same thickness used by the author makes the plane as a unified objet and makes the unstable expression of the shaped canvas more stable, thus are most recommendable for shaped canvas. On the other hand, this type of work would be shown unstable and be affected by its environment since the picture is shown without a rectangular frame. For the extension of research, if the possibility of unlimited geometric forms are utilized as the basis of picture with various experiments, they could be applied to creative visual expression.;외부현실을 캔버스위에 충실히 재현하려던 고전주의미술에서 벗어난 현대미술은 20세기에 들어와 실로 엄청난 변화와 실험이 있게 된다. 시각예술도 이러한 현대미술과 함께 많은 변화를 겪으며 순수미술과 대중적 시각 커뮤니케이션 사이에 전통적인 경계를 허물고 있다. 이러한 때에 본 연구자는 그림을 이루는 기본요소 중의 하나인 그림면의 형태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림면의 형태변화가 주는 효과를 시각표현에 도입함으로써 얻어지는 조형적 효과와 그 발전 가능성을 연구함을 본 논문의 목적으로 하였다. 그림면은 실제로 시각적 조형물이 창조되는 종이나 기타재질의 평탄한 의도된 영역을 발하며, 전통적으로 그 외각선은 그림을 방안의 물리적 공간과 구별하여 별도의 세계가 존재함을 느끼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현대의 모더니즘 회화에 있어서는 재현성의 거부와 평면성의 인식으로 회화는 점점 추상의 길을 걷게되고 점차 캔버스의 전통적 기능보다는 캔버스라는 매체로서의 존재론적 조건을 부각시키게 된다. 이것은 프랭크 스텔라에 이르러 "성형된 캐버스(Shaped Canvas)"를 탄생시키는데, 그림면의 형태와 그림의 내용이 일치되며 그림의 구성요소와 상호관계를 맺는 새로운 시각적인 미술을 보여주었다. 이외에도 그림면의 형태변화를 통해 새로운 시각전달을 가능하게 하였던 케네드 놀랜드를 참조로 하여 작품을 제작,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그림면이 사각형의 형태를 벗어나 변화하면, 전체성 지각이 우선되는 Gestalt 원리에 의해 그 긴장관계가 달라지므로 시각적 효과가 달라지고 새로운 이미지의 조합이 가능해진다. 둘째로. 그림면의 형태까지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그림면을 포함한 구성에 있어서 되도록 최소한의 요소에 의한 조화가 중요하다고 보여진다. 세째로, 이러한 최소한의 조형적 요소들은 가장 단순한 구조의 기하학적 형태를 이용하였는데 기하학적 형태의 그림면과 조형적 요소들은, 합의적 의미도출이 용의한 구조의 형태로 시각적 표현에 적합하다고 보여진다. 네째로, 본 연구자가 사용하게된 검은색의 일정한 굵기의 선들은 화면을 하나의 통합된 단일체로 보여지게 하며 불안해 보이기 쉬운 쉐이프트 캔버스를 견고하게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므로 쉐이프트캔버스에 적합한 조형요소하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작품이 갖는 단점으로는, 작품을 둘러싸는 액자나 안정감을 유지하던 사각형에서 벗어남으로 인해서 불안정한 느낌을 줄 수도 있으며 주변 요소들의 영향을 받기 쉽다는 것이다. 앞으로 보다 다양한 실험과 함께 기하학적 형태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다면 창조적 시각표현 발상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