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상애-
dc.creator이상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7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0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32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07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재일 조선학교 초급부의 국어 교육에서 사용하는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가 한국어 원어민들이 국어 교육에서 사용하는 교과서에 가까운지, 아니면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하는 교재에 가까운지를 밝히는 것과 더불어 조선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어휘 구성을 분석하여 그 어휘가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를 알아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두 종류의 어휘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교과서의 의미 분야별 어휘 구성과 등급별 어휘 구성을 살펴보았다. 또, 두 종류의 어휘 목록을 이용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조선학교 국어 교과서의 성격을 밝혔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설명하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최근에 들어 어휘에 관련된 연구는 점점 많아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조선학교 교과서를 분석 대상으로 한 어휘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지적하면서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국어 교육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대상 및 목표의 차이점을 밝힌 다음, 기본어휘의 개념에 대해 기존의 연구자의 정의를 살펴보고 국어 교육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기본어휘 개념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교과서의 분석 방법과 그 분석의 도구로서 사용한『분류어휘표-개정증보판-』(2004)과 『등급별 교육용 어휘 목록』(2003)에 대한 설명과 함께 사용 이유를 밝혔다. 또한 조선학교 교과서에 출현한 어휘와 비교하기 위해 사용한 신민철(2001)의『한국어 초등학생 기본어휘』와 이수현(2005)의 결과물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 교재『말이 트이는 한국어 Ⅰ~Ⅳ』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설명한 분석 도구와 비교 분석 대상인 어휘 목록을 이용하여, 전체 품사별 어휘구성, 전체 공통/비공통어휘 구성, 그리고 전체 등급별 어휘 구성을 제시하여, 조선학교 교과서와 비교 분석 대상의 대체적인 어휘 구성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다음에『한국어 초등학생 기본어휘』(2001)와『말이 트이는 한국어 Ⅰ~Ⅳ』(2005)의 어휘 목록을 각각 조선학교에 출현한 어휘와 비교 검토하여 교과서의 특징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조선학교 교과서는『말이 트이는 한국어 Ⅰ~Ⅳ』(2005)보다『한국어 초등학생 기본어휘』(2001)와의 공통어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조선학교 교과서는 한국어 원어민이 국어 교육에서 사용하는 교과서에 가깝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비교 분석을 통해서 드러난 조선학교 교과서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품사별로 보면 조선학교 교과서는 두 종류의 비교 분석 대상에 비하여 명사류가 낮은 비율로 나타난 반면, 동사류와 형용사류, 기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자치하였다. 둘째, 등급별로 보면, 조선학교 교과서는 세 자료 중 유일하게 2등급이 30%에 이르지 못했으나, 중요도가 낮은 0등급이나 4등급은 다른 자료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동사류와 형용사류, 가타의 품사에서 복합어와 의태어, 의성어가 대단히 많이 나타나 이것이 품사별의 비율 차이에 큰 영향을 미쳤다. 넷째, 동사류와 형용사류, 기타에서 나타난 복합어와 의태어, 의성어는 등급별로 보면 중요도가 낮은 0, 3, 4등급에서 많이 볼 수 있었다. 이 결과에서 조선학교 국어 교과서의 어휘 구성, 특히 다양하게 나타난 복합어와 의태어, 의성어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하여 제시하였다.;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vocabulary in Korean subject textbooks of for an elementary course of Korean Schools in Japan(Joseon Hakkyo or Chousen Gakko) is correspondent to that of Korean education materials for Korean natives, or it is rather similar to that of Korean education materials for foreigner language learners. In addition, the composition of vocabulary in Korean School textbooks was examin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For this purpose, two sorts of vocabulary analysis tools were utilized to investigate the vocabulary composition according to each meaning section covered in the textbooks and vocabulary grade. Besid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chool Korean textbooks are clarifi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two vocabulary lis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1 explains the necessity and goal of this study, which is followed by the preliminary study. While studies on vocabulary have been increased recently, vocabulary study on textbooks of Korean Schools in Japan as its subject has yet to conduct, which giv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hapter 2 clarifies the subject of Korean education in two folds, that is, those who learn Korean as a native language and those how learn as a foreign language, and the differences of their study goals respectively. Then comes the definition that existing scholars made on the concepts of basic words, which is followed by the presentation of the concepts of basic words suitable for each education for natives and for foreigners. Chapter 3 includes analysis methods of textbooks, and the explanation on and reasons to use such analysis tools as Classified Vocabulary Table - Revised and Enlarged Edition(2004) and Educational Vocabulary List for Each Grade(2003). In addition to that, the materials that were used to compare with the vocabulary appearing in Korean School textbooks, Elementary School Basic Vocabulary of Korean written by Shin Mincheol(2001) and Lee Suhyeon(2005)'s analysis on Pathfinder in Korean I to IV, used as a Korean material in Ewha Women's Univ. Chapter 4 presents the general composition of words according to each part of speech, general common/non-common vocabulary composition, and general vocabulary composition according to each grade, by using the analysis tools as mentioned in Chapter 3 and the list of words to compare so as to examine the general composition of vocabulary in Korean School textbooks and the comparative subjects. The next step was to compare the vocabulary appearing in textbooks of Korean Schools in Japan to those of Elementary School Basic Vocabulary of Korean and Pathfinder in Korean I to IV, which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xtbooks. The findings show that textbooks of Korean Schools in Japan have higher rates of common vocabulary used in Elementary School Basic Vocabulary of Korean than used in Pathfinder in Korean I to IV, which indicates that the composition of textbooks of Korean Schools in Japan is rather similar to that of education materials for Korean natives. The finding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of Korean Schools in Japa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it comes to parts of speech, Korean Schools textbooks have lower rates of Nouns compared to the two subjects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while the rates of Verbs, Adjectives, and Others were higher than all others. Second, as for the grades, among the three materials, Korean School textbooks were the only subject whose Grade 2 accounts for 30%, while Grade 0 and 4, with lower importance, have higher rates than other materials. Third, in Verbs, Adjectives, and Others have a great number of compound words, mimetic words, and imitative words, which affected a lot the rates of each part of speech. Fourth, the compound words, mimetic words, and imitative words appearing among Verbs, Adjectives, and Others are mostly Grade 0, 3 and 4, with lower importance in grade.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 regard to the vocabulary composition of Korean textbooks in Korean Schools in Japan, especially compound words, mimetic words, and imitative words, appearing quite often, should be considered more specifically. Chapter 5 summarizes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presen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it as well as the points to be sought in future stud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ⅴ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선행 연구 2 Ⅱ. 이론적 배경 6 A. 국어 교육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6 1. 국어 교육 6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7 B. 국어 교육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기본어휘 개념 8 1. 기본어휘 개념 8 2. 국어 교육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기본어휘 개념 10 Ⅲ. 연구 방법 11 A. 연구 대상 및 방법 11 1. 연구 대상 11 2. 연구 방법 12 B. 조사 분석 방법 13 1. 분석 도구로서의『분류어휘표』 13 2. 분석 도구로서의 『등급별 교육용 어휘 목록』 15 3. 비교 대상으로서의 교과서와 교재 16 Ⅳ. 조선학교 교과서의 특징 18 A. 전체 어휘 구성 18 1. 전체 품사별 어휘 구성 양상 18 2. 전체 공통/비공통어휘 구성 19 3. 전체 등급별 어휘 구성 20 B.『한국어 초등학생 기본 어휘』와의 비교 분석 20 1. 명사류의 어휘 구성 양상 20 2. 동사류의 어휘 구성 양상 30 3. 형용사류의 어휘 구성 양상 37 4. 기타의 어휘 구성 양상 43 C. 이대 교재 어휘 목록과의 비교 분석 47 1. 명사류의 어휘 구성 양상 47 2. 동사류의 어휘 구성 양상 57 3. 형용사류의 어휘 구성 양상 63 4. 기타의 어휘 구성 양상 69 Ⅴ. 결론 73 참고문헌 76 부록 1 79 부록 2 84 Abstract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116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재일 조선학교 초급부 국어 교과서의 어휘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the Vocabulary in Korean Subject Textbooks for an Elementary Course of Korean Schools in Japan-
dc.creator.othernameLee, Sangae-
dc.format.pagev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