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4 Download: 0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 교과서(8종)분석

Title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 교과서(8종)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middle-school music textbook(8different versions) based on the sixth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system
Authors
윤혜정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제6차교육과정중학교음악교과서가창학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1세기를 맞이하는 변환기의 시기에 적합한 교육의 기준이 되는 새로운 교육 과정의 필요로 인해 1995년 개정된 6차 교육 과정에 의해 개편한 중학교 8종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특히 교과서의 각 영역 중 가장 큰 비중을 가지고 있는 가창 학습 영역을 분석함으로써 제6차 교육과정의 목표와 개정 방향에 대한 개편 교과서의 적합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6차 교육 과정 관련 문헌을 연구하여 개정의 중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청소년 시기에 있어 가창교육의 중요성과 지금까지의 교육 과정 개편에 따른 가창 교육의 변천을 알아보아 학교교육에서의 가창 활동의 위치 등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6차 교육 과정의 이해를 토대로 6차 교육 과정에 의한 8종 음악 교과서를 필수 악곡과 선택 악곡으로 나누어 연주 형태, 조성, 박자, 음역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개정 교과서의 가창 영역의 구성과 조성, 박자 등은 6차 교육 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영역 구분, 조성, 박자등에 대체적으로 부합하고 있었으나 6차 교육 과정의 지시에 따르는 것에 충실한 나머지 심미적인 음악교육을 지향하고 있다기 보다 교과의 구조적인 것에 더욱 충실하고 있는 인상을 주고 있다. 개정 교과서의 대부분이 50%가 넘는 비율로 가창 곡을 제시하고 있어 6차 교육 과정이 지향하고 있는 통합적인 음악 교육의 실현은 가창 활동이 모두 맡고 있었다. 이것은 5차 교육 과정의 교과서와 별 다른 차이가 없는 것이다. 개정 교과서와 구 교과서에 대한 인식 및 사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내 중학교 음악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에 응한 음악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적극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들 역시 교과서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 되었다. 교과서의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개정 교과서 역시 가창을 통한 학습이 주도적이었다. 둘째, 개정 교과서에서 추구하고 있는 통합 음악 교육이란, 가창 활동을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지만 교과서의 형태상 실천 불가능하였다. 셋째, 필수 악곡의 제시에 있어서 동일한 악곡이라 하더라도 각 교과서마다 다른 조성과 연주형태로 제시되고 있는 등 각 교과서마다 일정한 일관성이 없었다. 넷째, 각 교과서의 선택 악곡은 대체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선택되어 있어 각 교과서마다 나름대로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이 연구는 음악 교육의 현장에서 효과적인 가창 지도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가창 영역뿐만이 아니라 각 영역이 모두 다루어져 개정 교과서의 전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것과 중학교 교과서가 전학년에 걸쳐 개정이 완성되는 시점에서 다시 한번 음악 교사에게 교과서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완성된 개정 교과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ritically eight different versions of middle-school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sixth curriculum of the educational system revised in 1995 which will be a new corner stone for the coming century. Above all, I gave much weight on analyzing the aspect of vocal music education and illuminating on the relevance and the fitness of the various revised music textbooks to the goal and direction of the amended educational curriculum. This paper proceeds in the following way. First, I tried to find out the insight of the amended curriculum by studying the related literature to the amended curriculum and examinig the historical transition and the position of vocal music education in middle-schooling. Based on the insight from the initial study, the contents of the eight versions of the textbooks were respectively categorized into the essential parts and optional parts in music education and then analyzed by the elements of music form, key, tempo, and musical range. Though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elements of music form, key, tempo, and range in the textbooks follow the goal and direction of the educational amendment, the textbooks are too faithful to the mechanics of music education presented by the curriculum rather than gaive high priority to creative and aesthetic activities of learning music. Most of the textbooks seem to have more than 50% of vocal stuff in their contents as in the fifth curriculum. To inquire the recognition and usage rate about the new textbooks and the old textbooks a questionnaire was devised and randomly distributed middle-school music teachers in Seoul. The respondents were very enthusiastic to the questions and concerned much about the new textbooks.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vised textbooks also focus mainly on vocal music. Second, the unified and integrated music edcation pursued by the revised textbooks were presented through various forms of songs but were practically impossible to achieve due to the limited and restricted structure of the textbooks. Third, the essential pieces of the textbook songs were not uniform and consistent through varios textbooks. Fourth, the optional pieces of the textbook vocal music were selected differently textbook by textbook and each textbook has some specialties respectively. This study impilcates the more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practical music training, The future reseach would involve more aspects of music education including vocal music covered in this paper. I look forward to giving another questionnaire and more thorough review of the music education at the point of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middle-school music textboo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